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판 총 요약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판 총 요약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맨처음 1~ 9.15끝까지 요약

본문내용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한국문학통사
우리나라의 문학사는 나라 안에서는 ‘국문학사’라고 쓸 수 있으나, 우리끼리 전승하고 연구하던 문학은 이제 세계 도처의 외국인들도 함께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므로 ‘한국문학사’라고도 지칭하게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시대에 쓴 문학사’라는 뜻도 지닌다. 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둘을 함께 포용하는 것을 ‘우리문학사’라고 규정하게 되었다.
1.2. 문학의 범위
한국문학의 범위는 두 가지 각도에서 문제가 된다. 첫째는 무엇을 문학이라 하고 어디까지를 문학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마땅한지고, 둘째는 한국문학의 범위이다.
문학은 언어로 이루어진 예술이다. 문학은 말문학 또는 구비문학과 글문학 또는 기록문학, 이 두 가지로 존재한다.
문학은 언어예술이며, 예술은 형상과 인식의 복합체이다. 형상은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 또는 현실에서 떠나는 즐거움을 누리게 하며, 모르고 있던 진실을 알아차리는 행위인 인식은 실존하는 대상 또는 현실과 만나 무엇을 발견하는 보람을 가지게 한다. 이의 복합체인 문학은 이들의 두 가지 특징을 모두 누리게 한다. 문학과 문학 아닌 것을 구별하는 기준은 우선 형상 여부에 있다.
문학의 범위는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다, 한문학에서 ‘문(文)’이라고 하던 것은 ‘시(詩)’와 함께 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실용적인 글도 적지 않게 포함
  • 가격1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