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괄적인 문학의 흐름 정리
2. 시대별 문학의 성격 정리
1) 1910년대 문학
2) 1920년대 문학
3) 1930년대 문학
4) 8.15 직후의 문학
5) 1950년대 문학
6) 1960년대 문학
2. 시대별 문학의 성격 정리
1) 1910년대 문학
2) 1920년대 문학
3) 1930년대 문학
4) 8.15 직후의 문학
5) 1950년대 문학
6) 1960년대 문학
본문내용
한국현대문학사
(일제강점기~1980년대)
- 자료의 성격 -
- 목 차 -
1. 개괄적인 문학의 흐름 정리
2. 시대별 문학의 성격 정리
1) 1910년대 문학
2) 1920년대 문학
3) 1930년대 문학
4) 8.15 직후의 문학
5) 1950년대 문학
6) 1960년대 문학
한국현대문학사
(일제강점기~1980년대)
1. 개괄적인 문학의 흐름 정리
흐름
내용
흐름
내용
시
소설
개
화
기
개화시가
전통형태(4.4./4.5)+계몽사상/직설어법
개화기
신소설
내용-근대적 내용
형식-고전(일대기구성/우연성
ex. 이인직혈의 누최초
창 가
형태변모(6.5/7.5/8.5)+계몽,교육사상
-가창을 위해 창작/대한매일신보연재
신체시
형식자유+계몽,개화
-최남선이 대부분 창작
1910
(자유시형성)
김 억
자유시도입/작위적, 아음에 집착
1910
근대소설
-실험적 단편
어린회생, 소년의 비애
-무정발표 : 1917년
최초근대장편소설
황석우
자유시연결/지나친관념,한자난발
주요한
최초의 자유시/황석우 보안한 정도
이상화
근대시 변화의 완결
1920
초
국민문학파
시조부흥운동/“가갸날”추진/민족의식고취/조선문단중심
1920
사실주의
확립
김동인-예술적 단편소설창작 기여
현진건-하층민, 지식인 형상화
염상섭-지식인의 고뇌 사실적 기법
나도향-낭만성과 사회의식의 결합
최서해-자전적, 하층민, 저항의지
※전체적으로 볼 때 계급주의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었다.
카프계열
사회주의보단 민족적 자각 수준/개벽에 글 기고(처음-천도교기관지)
3.1운동 실패-패배의식 팽배
동인지시대(창조,백조,페허)/이상화 자유시완성
1920
중엽
사회참여시
이상화 외에 별 성과는 없음
민요시
김소월(전통정서+가락결합)
불교사유시
한용운(불교사유+시대상황)
1930
초
시문학파
-목적의식시 반발,감각적시어사용
-작가 : 김영랑,박용철,신석정
1930
사실주의
심화발전
※주제,표현방법다양/장편많이출시
농촌소설-흙상록수-이기영,이무영,김정한
도시소설-이태준,박태원,유진오,채만식
역사소설-단종애사대수양
장편소설-삼대탁류천변풍경
모더니즘
-감상배제한 주지주의/정지용(감각적언어)/이상(초현실주의)/김기림(비판시)
1930
말
생명파
청록파
문장에서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당
생명(서정주,유치환)청록파(박,박,조)
북쪽문인
이용악/백석
1930
말
문학의
우회현상
※장편축소,단편확대/
(일제강점기~1980년대)
- 자료의 성격 -
- 목 차 -
1. 개괄적인 문학의 흐름 정리
2. 시대별 문학의 성격 정리
1) 1910년대 문학
2) 1920년대 문학
3) 1930년대 문학
4) 8.15 직후의 문학
5) 1950년대 문학
6) 1960년대 문학
한국현대문학사
(일제강점기~1980년대)
1. 개괄적인 문학의 흐름 정리
흐름
내용
흐름
내용
시
소설
개
화
기
개화시가
전통형태(4.4./4.5)+계몽사상/직설어법
개화기
신소설
내용-근대적 내용
형식-고전(일대기구성/우연성
ex. 이인직혈의 누최초
창 가
형태변모(6.5/7.5/8.5)+계몽,교육사상
-가창을 위해 창작/대한매일신보연재
신체시
형식자유+계몽,개화
-최남선이 대부분 창작
1910
(자유시형성)
김 억
자유시도입/작위적, 아음에 집착
1910
근대소설
-실험적 단편
어린회생, 소년의 비애
-무정발표 : 1917년
최초근대장편소설
황석우
자유시연결/지나친관념,한자난발
주요한
최초의 자유시/황석우 보안한 정도
이상화
근대시 변화의 완결
1920
초
국민문학파
시조부흥운동/“가갸날”추진/민족의식고취/조선문단중심
1920
사실주의
확립
김동인-예술적 단편소설창작 기여
현진건-하층민, 지식인 형상화
염상섭-지식인의 고뇌 사실적 기법
나도향-낭만성과 사회의식의 결합
최서해-자전적, 하층민, 저항의지
※전체적으로 볼 때 계급주의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었다.
카프계열
사회주의보단 민족적 자각 수준/개벽에 글 기고(처음-천도교기관지)
3.1운동 실패-패배의식 팽배
동인지시대(창조,백조,페허)/이상화 자유시완성
1920
중엽
사회참여시
이상화 외에 별 성과는 없음
민요시
김소월(전통정서+가락결합)
불교사유시
한용운(불교사유+시대상황)
1930
초
시문학파
-목적의식시 반발,감각적시어사용
-작가 : 김영랑,박용철,신석정
1930
사실주의
심화발전
※주제,표현방법다양/장편많이출시
농촌소설-흙상록수-이기영,이무영,김정한
도시소설-이태준,박태원,유진오,채만식
역사소설-단종애사대수양
장편소설-삼대탁류천변풍경
모더니즘
-감상배제한 주지주의/정지용(감각적언어)/이상(초현실주의)/김기림(비판시)
1930
말
생명파
청록파
문장에서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당
생명(서정주,유치환)청록파(박,박,조)
북쪽문인
이용악/백석
1930
말
문학의
우회현상
※장편축소,단편확대/
추천자료
권영민 현대문학사 요약
[현대문학사] 청록파 시인들의 연보(年譜)와 활동(活動)
김남천의 생애와 작품소개 - '경영'과 '맥'의 전향논리를 중심으로
김동리 연구
현대문학사
'해에게서 소년에게' 문학사적 의의 연구
[한국현대문학A+] 1970년대 민족문학 분석 - 현기영,황석영,이문구 작가 중심으로
[남북한현대문학사A+] 북한 주체 시대의 영도사 총서 『불멸의 력사』작품분석
[현대문학사 과제물] 이기영의 『고향』에서 프로문학적 요소가 나타난 방식
한국현대시론 - 1950~60년대 후반기 동인에 대해 조사
[의복의 역사_ 개항 이후 복식]개항초기, 일제 강점기, 해방이후, 군사 정권, 1980년대 이후-...
[한국현대소설론] 1930년대 리얼리즘 소설과 모더니즘 소설 - 1930년대 소설가와 그의 작품들
[한국현대소설론] 1920년대 계몽소설과 순수소설 - 시대개관, 1920년대 소설(김동인, 현진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