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신생아실 (New born nursery) Check lis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신생아실 (New born nursery) Check lis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 잘 지지하면서 다른 손으로 아기 몸 전체를 닦아준다.
ㆍ몸이 물 속에 완전히 들어가면 아기의 가슴이 위로 향하게 하여 물속에 잠기게 하고 앞가슴과 배, 다리를 차례로 씻긴다.
ㆍ아기의 가슴 부분을 잘 잡고 등을 위쪽으로 하여 등과 엉덩이, 다리의 뒤쪽을 씻긴다. 이때는 아기의 얼굴이 물을 향하고 있으므로 아기가 빠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ㆍ비누칠을 해서 몸을 다 씻은 후에는 미리 준비해 두었던 깨끗한 물을 끼얹어 마지막 으로 헹구어준다.
② Parital bath
ㆍ 배꼽 : 75 % 알코올을 묻혀 탯줄과 배꼽을 소독한다. 발적이나 나쁜 냄새, 농성 분 비물 등 어떠한 감염증상도 보고되어야 한다. 제대염은 대개 패혈증의 전구증 상이다.
ㆍ 눈 : 눈꼽이 많이 끼었다 싶으면 가제 손수건에 오일을 소량 묻혀 눈 안쪽과 바깥쪽 을 조심스럽게 닦아준다.
ㆍ 코 : 목욕 후에는 습기로 해서 콧속의 이물질이 부드러워져 있기 때문에 면봉을 살 살 돌려 닦아낸다.
ㆍ 손톱 : 아기는 손톱이 길면 얼굴을 할퀼 위험이 있으므로 손톱 깎는 가위를 사용해 잘라준다. 끝 이 둥근 모양이 되도록 자른다.
③ Diaper rash care (기저귀발진 간호)
초기에는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는데, 만성화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껍질이 벗겨지며 거칠어지고 심하면 진물이 생기고 헐며 고름이나 피가 나오기도 한다. 이 부위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라게 되면 잘 낫지 않고 오래가며 증세가 더 심해지게 된다.
ㆍ예방
(1) 기저귀는 젖은 즉시 갈아준다.
(2) 기저귀를 갈 때는 물에 적신 부드러운 가제 손수건으로 엉덩이를 잘 닦은 다음 말 려준다.(공기에 노출) - 병원에서는 물 티슈를 사용한다.
(3) 1회용 기저귀 보다는 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ㆍ치료
치료는 2∼3시간마다 한 번씩 따뜻한 물로 씻어주고 완전히 말린 다음 산화아연 연고 같은 피부보호 연고를 발라서 자극을 피한다. 연고를 바를 때에는 엉덩이를 잘 말리고 연고를 바른다. 한꺼번에 연고를 많이 바르기 보다는 조금씩 일정한 시간을 두고 자주 발라주는 것이 조기치료에 도움이 된다.
④ Oral moniliasis care
대개 아기의 입에 하얀 백태가 있으면 2가지 경우이다. 하나는 우유 찌꺼기인데 이것은 쉽게 벗겨진다.
잘 벗겨지지 않고 억지로 떼어내면 피가 나기도 하는 것은 곰팡이에 의해서 생긴 아구창이다. 아기가 엄마의 질을 통해서 나올때 질에 있는 곰팡이에 오염되어서 생기기도 하고 공기 중에 떠돌아 다니는 곰팡이 포자가 엄마의 젖꼭지에 달라 붙었다기 아기의 입에 옮겨지기도 한다.
ㆍ예방
젖병의 소독을 항상 신경써야 하고 특히 소독한 젖병을 습기가 있는 두면 곰팡이가 더욱 잘 자라므로 습기를 제거해서 둔다. 엄마젖을 먹는 아기는 엄마의 젖꼭지가 항상 말라있도록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ㆍ치료
항진균제를 복용한다.
아기다루기
Cradle position
엎어 눕히기
① Cradle position :
인도에서 갓난아기들을 눕히는 자세인데, 먼저 두 다리를 쭉 편 채 벽이나 가구에 등에
기대로 앉는다. 그런 다음 양 무릎을 바깥쪽으로 굽혀 두 발꿈치가 서로 맞닿게 한다. 다리 사이에 두툼한 담요를 깔고 아이가 눕힐만한 자리를 만든다. 다리로 만든 요람에 얼굴을 마주 보도록 아기를 눕힌다.
ㆍ 베개를 하나나 둘 정도 무릎위에 놓아 아기를 받쳐준다.
ㆍ 팔꿈치 안쪽에 아기의 머리를 올려 놓는다.
ㆍ 아기의 가슴이 엄마의 가슴을 향하는 자세가 이상적이다.
이 자세는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고 온기를 보존할 수 있다.
- 출생 후 : 약 24시간 동안은 머리를 약 15도 가량 낮춘 체위가 바람직함
- 수유 후 : 구토로 인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30분에서 1시간정 동안오른쪽 측위로 눕 히거나 엎드려 눕힘
-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기위해 포로 잘 싸서 담뇨를 깐 침상에 눕힘
- 투명한 바구니에 담아두는 것은 환아의 움직임 등을 잘 관찰하기 위함
② 엎어 눕히기
ㆍ아기의 목을 받치고 엎드리게 해 준다.
ㆍ엎드렸을 때는 개구리 포지션을 취하게 해주며 베개를 평평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ㆍ안정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포로 잘 싸서 담요를 깐 침상에 눕히고, 투명한 바구니 에 담아주는 것은 환자의 움직임을 잘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수유
Bottle feeding
Medicine dropper feeding
트림
Gavage feeding
Assist with breast feeding
① Bottle feeding
ㆍ젖꼭지로 아기의 입가를 자극하여 rooting 반사에 의해 젖꼭지를 찾도록 한다.
ㆍ아기가 입을 벌리면 젖꼭지를 입 안에 넣는다.
ㆍ젖꼭지에 우유가 잠기는 각도로 병을 잡는다.
ㆍ수유 시간은 10~25분 정도이다. 수유 동안 아기와 눈을 맞출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 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야기하여 아기의 편안함을 증진시킨다.
· 주의점
- 병을 조심스럽게 잡아 젖꼭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 절대로 젖병을 세워놓고 아이에게서 눈을 떼서는 안된다. 아기가 구토시 흡인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 수유동안 보온한다.
② Medicine dropper feeding
- 우유를 빨 수 없는 신생아들은 영양제를 수액을 통해 먹여준다.
주사기를 주로 사용한다.
③ 트림
- 아기는 수유 동안 공기를 마시므로 공기의 배출을 도와 역류, 복부팽만, 불 편감을 완화시킨다.
ㆍ아기를 앉혀 앞으로 약간 숙이게 한 후 등이나 배를 부드럽게 문지른다.
ㆍ아기를 어깨가 닿게 엎드린 후 등을 부드럽게 두드리거나 문지른다.
ㆍ아기를 엎드린 후 부드럽게 등을 두드리거나 문지른다.
· 방법
- 카테터로 귓불에서 코 끝까지, 코 끝에서 검상돌기와 배꼽 중간부위까지 길이를 재 어 테이프로 표시한다.
- 무균수를 윤활제롤 사용한 후 카테터를 표시한 곳까지 삽입한다.
- 주사기로 위액을 뽑아본다. 만약 역류되지 않으면 위속으로 2~3cc정도의 공기를 부 드럽게 주입하면서 청진한다. 청진상으로 부글거리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삽입된 것 이다.
- 반창고로 카테터를 고정한 후 주사기를 가볍게 밀어넣고 수유를 시작한다.(이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