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호흡의 과정][호흡의 종류][호흡기계의 부위][호흡기계의 구조][호흡기계의 기능][호흡기계의 원리]호흡의 과정, 호흡의 종류와 호흡기계의 부위, 호흡기계의 구조, 호흡기계의 기능, 호흡기계의 원리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호흡의 과정][호흡의 종류][호흡기계의 부위][호흡기계의 구조][호흡기계의 기능][호흡기계의 원리]호흡의 과정, 호흡의 종류와 호흡기계의 부위, 호흡기계의 구조, 호흡기계의 기능, 호흡기계의 원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호흡의 과정

Ⅲ. 호흡의 종류
1. 흉식호흡(胸式呼吸, thoracic respiration)
2. 복식호흡(腹式呼吸, abdominal type of respiration)
3. 단전호흡(丹田呼吸)

Ⅳ. 호흡기계의 부위
1. 비강(코안-nasal cavity)
1) 구성
2) nasal vestibule(코안뜰)
3) respiratory region(호흡부위)
4) olfactory region(후각부위)
2. 코곁동굴(paranasal sinus)
3. 코인두(nasopharynx)
4. 후두(larynx)
5. 기관(trachea)
6. 기관지 나무
1) 기관지(trachea)
2) 세기관지(bronchiole)
3)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s)
4) 허파꽈리관(alveolar duct)
5) 허파꽈리(폐포-alveolus)

Ⅴ. 호흡기계의 구조
1. 상부기도(upper airway)의 구조와 기능
1) 코
2) 인두(Pharynx)
3) 후두(Larynx)
2. 하부기도(Lower airway)의 구조와 기능
1) 기관(trachea)
2) 기관지(main stem bronchus)
3) 폐(lungs)
4) 폐포(alveoli)

Ⅵ. 호흡기계의 기능
1. 호흡기계 방어 기전
1) 점액
2) 섬모
3) 대식세포
2. 폐의 호흡 조절 기능
1) 환기(ventilation)
2) 가스의 교환
3) 확산
4) 폐신장성, 탄성반동, 기도저항
5) 산소의 운반
6) 이산화탄소의 운반과 배출
7) 수소이온 불균형(hydrogen ion imbalance)
3. 호흡의 조절
1) 신경성 조절
2) 화학적 조절

Ⅶ. 호흡기계의 원리
1. 호흡의 기전
2. 탄력성(elastic recoil)

참고문헌

본문내용

2) nasal vestibule(코안뜰)
① 코안에 가장 앞쪽의 확장된 부위
② 짧은 코털, 고유판의 많은 혈관, 혼합샘, 기름샘, 땀샘이 있으며 흡입된 공기의 큰 입자를 거름
③ 표피 : 중층편평상피 (고유코안으로 들어가기 직전에는 전형적 호흡 상피로 이행)
3) respiratory region(호흡부위)
① 고유코안은 코중격에 의해 나뉘어짐. 그 사이에 돌출부인 nasal concha가 나온다.
* nasal concha : superior nasal concha : 거짓중층원주상피(후각상피)
* middle nasal concha : 전형적인 호흡 상피 : inferior nasal concha
② nasal concha의 기능
. 호흡 상피로 덮인 부위의 넓이를 넓히고
. 공기의 흐름에 소용돌이 발생=>흡입된 공기의 조절능력향상
③ nasal concha의 코선반에는 코선반 해먼얼기 cavernous plexuse of nasal concha라는 정맥얼기가 있다.
4) olfactory region(후각부위)
① 코안의 천정부위, 위코선반과 코중격(nasal septum)의 윗부분을 차지.
② 후각점막-냄새를 맡는 부위(거짓중층원주상피)
③ 후각세포는 다시 팽대하여 가지돌기 팽대를 만들고(dendritic bulb=olfactory bulb)를 만들고, 이 곳에서 6~10개의 섬모cillia가 나온다.
④ 후각신경섬유(olfactory nerve fiber) : 후각세포의 아랫부분도 가늘어져 축삭을 만들고 고유판으로깊이 들어간 것이다. 이것은 작은 다발(후각신경섬유다발 fila olfactioria)를 만들어 중추신경계로 이어진다.
⑤ 후각점막의 고유판에는 혈관과 림프관이 풍부하고 대롱꽈리샘(branched tubuloalveolar gland)인 후각샘(Bowman\' gland)가 있는데 이의 분비물은 작은 관을 통하여 후각상피 표면으로 분비되어 이곳에 있는 냄새나는 물질을 계속 씻어내어 후각점막의 자유면을 깨끗하게 한다.
2. 코곁동굴(paranasal sinus)
○ frontal, ethmoid, sphenoid, maxillary bone 속의 공간. 내면에 술잔 세포가 거의 없고 호흡 상피로 둘러 싸여있다.
○ 이 공간의 호흡상피에서 생성된 점액은 섬모세포의 섬모활동에 의해 코안으로 배출.
* 코곁동굴염(축농증) : 이곳에 염증이 발생하고, 코안동굴과 코안을 연결하는 작은 구멍이 막혀있는 상태. 만성 코곁동굴염은 Kartagener(섬모운동결실) 증후군의 일종.
3. 코인두(nasopharynx)
인두의 첫부분.뒷콧구멍의 뒤쪽부분. 연구개의 윗쪽. 호흡상피이다.
4. 후두(larynx)
○ 후두 윗부분 : 중층편평상피.
○ 후두덮개바닥부 :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로 이행.
○ 후두덮개 아래부분에서 점막은 두쌍의 주름을 형성.
○ 안뜰주름(vestibular fold)=거짓성대(false vocal cord) : 전형적인 호흡상피로 이루어짐.
○ 성대주름(vocal fold) : 비각질 중증편평상피로 되어있음. 성대주름 위에 후두실(laryngeal ventricle)이라 불리우는 길쭉한 함몰부가 있다.
5. 기관(trachea)
(1) C자형 연골과 이들을 연결한 얇은 막 그리고 후면에서 연골 양단을 연결하는 기관근으로 구성되는 관.
(2)기관의 점막상피 : 호흡상피
6. 기관지 나무
○ 구조
① 기관은 두 개의 일차 기관지(primary bronchus)로 나뉘어 허파로 들어감.
② 허파로 들어간 일차 기관지는 오른쪽 허파 세 개, 왼쪽 두 개로 갈라짐.(R3 L2)
③ 그것 하나하나가 허파엽(pulmonary lobe)에 분포한다. 이들 엽기관지(lobar bronchus)는 계속 아뉘어져 구역기관지 segmental bronchus가 되어 허파구역에 분포하고 다시 분지하여 세기관지라고 불리우는 작은 가지를 낸다. 각 세기관지는 허파소엽으로 들어가서 5-7개의 종말세기관지가 된다.
1) 기관지(trachea)
기관지 연골은 불규칙하여 큰기관지에서는 연골의 고리가 기관지를 완전히 두르지만 기관지가 가늘어질수록 기관지벽에서 불연속의 연골판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피밑의 기관지 고유판에는 민무늬 근육이 있는데 나선상으로 배열된 민무늬근육섬유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것이다.
2) 세기관지(bronchiole)
① 작은 직경을 가진 소엽 안의 가는 관.
② 세기관지의 점막에는 분비샘이 없다.
③ 상피 : 큰 기관지의 상피는 전형적인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이지만, 종말세기관지에서는 그 상피의 높이와 복잡성이 감소하여 단층섬모원주 or 단층섬모입방상피로 된다.
④ 세포바닥쪽에는 과립세포질세망(rough endoplasmic reticulum)이 있어 표면활성제(surfactant)를 분비한다.
⑤ 연골이 없음. 점막고유판에 민무늬근육섬유와 탄력섬유가 풍부.
⑥ 신경지배 : 미주신경과 교감신경계의 조절(미주신경의 자극-세기관지 지름 좁아짐. 교감신경-반대효과.)
3)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s)
① 도관부가 호흡부로 이행하는 부위.
② 호흡세기관지의 점막은 종말세기관지와 같다.
③ 가스교환 일어남.
④ 단층섬모입방상피로서 섬모세포와 세기관지세포(bronchiolar cell)로 되어있다. 허파꽈리의입구 주변에서 호흡허파꽈리세포(squamous alveolor lining cell)로 연결.
4) 허파꽈리관(alveolar duct)
① 아주 얇은 편평세포로 된 상피로 덮여 있다.
② 허파꽈리관 종말부에서는 민무늬 근육섬유 없어짐. 탄력섬유와 아교섬유가 허파꽈리관과 허파꽈리를 받치고 있음.
5) 허파꽈리(폐포-alveolus)
① 두개의 인접한 허파꽈리 사이에 있는 벽을 허파꽈리사이막(interalveolar septum)이라함.
② 약 3억개의 허파꽈리
③ 허파꽈리와 허파꽈리사이막에 있는세포들
. 종류 : pneumocyte type Ⅰ, pneumocyte type Ⅱ, 모세혈관의 내피세포, 사이막세포, alveolar macrophage
. pneumocyte type Ⅰ
○ 허파꽈리표면적의 90% 이상을 차지. 매우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7.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