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신생아실 - 데일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신생아실 - 데일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2월 4일 실습 첫째 날>

<12월 4일 실습 첫째 날>

<12월 6일 실습 셋째 날>

<12월 7일 실습 넷째 날>

< 12월 8일 실습 다섯째 날 >

< 12월 9일 실습 여섯재 날 >

< 12월 11일 실습 일곱째 날 >

< 12월 12일 실습 여덟째 날 >

< 12월 13일 실습 아홉째 날 >

< 12월 14일 실습 열 번째 날 >

본문내용

잡도록 한다. 나머지 한 손으로 아기를 안아 지지해 준다.
⑤ 엄마의 유두로 아기의 아랫입술을 가볍게 자극한다.
⑥ 아기가 입을 하품하듯이 크게 벌리면 아기를 엄마 쪽으로 당기면서 유륜 깊숙이 젖을 물린다.
⑦ 유두주위의 검은 유륜까지 아기 입술이 충분히 닿도록 하여 유관동을 빨도록 한 다. 정확하게 젖을 물었을 때는 유두의 통증이 없으며 아기의 혀가 잇몸을 덮고 입술은 유 방표면을 감싸면서 바깥쪽으로 나와 있다.
⑧ 아기에게 젖을 먹일 때 한쪽 젖을 10분이상 빨려야 한다. 이는 모유의 성분이 빠는 동 안 변화하기 때문인데 모유를 먹기 시작할 때의 젖을 전유라고 부르며 단백질, 무기 질, 칼슘 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젖을 빨면 점차로 지방 의 함량이 많아지 게 되는데 이때의 모유를 휴유라고 하며 이 젖을 먹어야 아기가 배가 부르고 살이 오 른다.
⑨ 아기가 젖을 충분히 먹고 난 후에 다른 쪽 젖을 먹인다.
- 수유횟수
모유는 소화흡수력이 좋아 굳이 트림을 시키지 않아도 되나, 아기는 트림을 시킨 후에 좀 더 젖을 더 잘 빠는 경우도 있다.
♣ 신생아 눈 간호
관찰 내용
어떤 신생아의 눈에서 자꾸 눈꼽이 끼고 찡얼거리자 선생님께서 생리식염수가 묻혀진 솜 으로 눈을 닦아주셨다.
문헌 고찰
임균(gonococcus)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선한 1% 질산은(silver nitrate)용액을 두 방을 정도 눈에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좋다고 증명된 방법이다. 간혹 화학적 결막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멸균 증류수로 씻어 내기도 하는데, 별효과가 없다고 하며, 생리적 식염수로 닦을 경우에는 염산은염의 침착이 생기므로 절대로 씻어 내지 않도록 한다.
최근에는 Chlamydia에 의한 결막염을 방지하기 위해 0.5 % erythromycin 또는 1.0 % tatracyline을 점안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최근 2.0% povidone iodine용액이 1회용 예방 제재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눈의 간호는 출생 후 아기와 산모와의 결합(bonding)을 촉진하기 위하여 처음 얼마 동안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12월 8일 실습 다섯째 날 >
♣ 분만 직후 신생아 간호
관찰 내용
오늘 아침 9시 35분에 3.180g 으로 태어난 아기가 있었다. 머리카락도 꼬불꼬불하고 미숙아들만 많이 보다가 봐서 그런지 아이가 무척이나 커보였다. 그러나 아기가 똑바로 누워있지 않고 머리가 밑으로 가게 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아기에게는 우유가 아닌 물을 주는것을 보았다.
문헌 고찰
1) VitK injection
신생아는 간에서 응고 인자들의 생성이 미숙하므로 prothrombin치의 저하를 막아, 신생아 출혈성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생 직후 수용성 비타민인 vitamin K1 1mg을 근육 주사한다.
다량을 정맥 주사하면 고빌리루빈 혈증이나 핵황달이 생길 수 있다.
2) Head down position
엄마 뱃속에서 먹었을 양수와 그 외 이물질등을 다시 뱉어내게 하기 위해 (기도유지) 약 24시간 정도15도 각도로 머리를 낮추어준다.
3) Warming
체중에 비하여 신생아의 체표면은 성인의 3배나 되며, 특히 저출생 체중아는 피하 지방의 절연층이 얇아서 열손실 이 성인의 4배나 된다. 보통의 분만실 실내 온도(20 --25℃)에서는 신생아의 피부 체온은 0-3℃/분씩, 심부 체온은 0.1℃/분씩 떨어져, 분만 직후에 대개 2-3℃(열손실 약200 kcal/kg)의 심부 체온이 저하된다.
열손실은 열에너지가 주위의 찬 공기로의 대류(convection),아기가 누워 있는 찬 것으로의 전도(conduction),아기로부터 가까이 있는 고형 물질로의 열복사(rad iation)및 젖어 있는 피부나 폐로부터의 수분 증발 (evaporatron,폐포 환기 기능)로 일어난다. 출생 직후에 추위에 노출된 만삭아에서 대사성 산증, 저산소증 및 저혈당증과 열손실의 보상으로 수분 및 용질들 의 신장으로의 배설 증가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대사량과 산소 소비를 증가시키거나 noreplnephrine을 분비하여 지방 조직, 특히 갈색 지방을 산화시켜 비전율 열생산(non-shivering thermogenesis)을 증가시키며, 근육 활동도 증가된다.
저혈당증과 저산소증이 있는 아기는 추운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산소 소비를 증가시킬 수 없어 중심 체온이 감소한다. 진통과 질식 분만 후에 많은 아기들이 경증 또는 중등도의 대사성 산증이 생기므로 과호흡(hyperventilatlon)으로 보상을 하게 되다, 축 늘어져 있거나 분만실의 추운 자극에 노출된 아기에서는 보상이 어렵다.
신체 계측시에도 체온이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아기 침대(crib또는 bassinet)에 뒬 때에는 담요로 싸서 15。정도 머리가 밑으로 되도록 다리 쪽을 4-5인치 가량 높여 주고, 우측 옆으로 뉘어 기도의 분비물들이 잘 배출되도록 해 준다.
4) Identification
출생 후 신생아가 모체의 곁을 떠나기 전에 신생아의 신분, 즉 산모의 이름, 성별, 분만 시간 등을 정확히 표시하고 손바닥, 발바닥의 지문을 동시에 찍어둔다. 이러한 신분표시는 병원 입원 중 다른 신생아와의 구별에 도움이 되고 정확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 신생아 G-tube 영양
관찰내용
다른 신생아들은 젖병에 우유를 먹지만 인큐베이터에 있는 신생아들은 대부분 G-tube를 하고 있었다.
문헌 고찰
대부분 코보다는 구강을 사용한다. 코로 삽입하는 경우는 비강호흡이 폐쇄되고 코점막을 자극할 수도 있다. 구강을 사용하는 경우 빠는 반사를 관찰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 방법
① 카테테로 귓불에서 코 끝까지, 코 끝에서 검상돌기와 배꼽 중간부위까지 길이를 개 어 테이프로 표시한다.
② 무균수를 윤활제롤 사용한 후 카테터를 표시한 곳까지 삽입한다.
③ 주사기로 위액을 뽑아본다. 만약 역류되지 않으면 위속으로 2~3cc정도의 공기를 부 드럽게 주입하면서 청진한다. 청진상으로 부글거리는 소리가 들리면 바로 삽입된 것 이다.
④ 반창고로 카테터를 고정한 후 주사기를 가볍게 밀어넣고 수유를 시작한다.(이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