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사 수업 아이디어
과제활동지
더나아가기
정리활동지
과제활동지
더나아가기
정리활동지
본문내용
역사 수업 아이디어
학 과
학 번
이 름
교육과정 주제
일제의 수탈과 근대 문물의 확산이 생활 문화에 미친 영향을 추론한다.
선정한 주제
일제시대 철도의 건설과정을 살펴보고, 당시 조선에 미친 영향을 추론해보자.
수업전개과정
동기유발 → 시대적 상황 → 철도건설과 당시조선에 미친 영향 → 서울역모습과 당시 민중들에 미친 영향 → 정리활동
① 동기유발
우리나라의 현재 철도지도를 제시하고, 무엇을 나타내는 지도인지 유추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선생님이 준비한 지도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선들이 보이죠? 이것은 무엇을 나타내는 지도일까요? - 고속도로, 강, 철도입니다.) 학생들이 철도를 이용해보았던 경험과, 우리생활에서 철도의 편리함을 발표해보도록 한다.
이러한 철도가 언제 건설되었는지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일제시대에 건설되었다는 사실 설명한다. 이때 현재의 철도지도와 일제시대의 철도지도를 비교하면서 동일한 철도노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당시에는 철도의 주된 목적이 현재와 같이 많은 일반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써의 역할이 아니다는 사실을 유추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당시에도 현재 우리가 이용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전국 방방 곳곳을 여행할 수 있도록 이용되었을까요? 오늘 공부할 내용은 바로, 일제시대의 철도건설과정을 통해, 당시 조선에 미친 영향을 대해 추론해 볼꺼예요. )
참고사진 - 현재철도 지도와 일제시대 철도 지도
선행 과제학습
학생은 일제시대에 수용된 근대문물을 조사해보고, 이를 이용했던 실제의 모습들의 사진이나 신문기사 자료를 스크랩한다.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는 수업단계에서 발표를 통해, 몇몇 대표적인 근대문물을 소개하고, 당시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발표한다.
첨부자료) 과제활동지
②시대적 상황
학생들이 전 시간에 미리 공지받은 과제를 통해 조사한 일제시대에 들어 온 다양한 근대문물을 반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교사는 참고사진과 참고기사를 제시하면서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이고, 근대화가 추진되었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여러 근대 문물들은 조선의 일반 민중들이 사용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일본인이나 일부 조선인들만이 이용하여 혜택을 누렸고, 오히려 일부는 이러한 근대 문물의 작업활동으로 노동력을 착취당하여 힘든 생활을 했다는 것을 제시한다.
참고사진
참고기사 - 동아일보 1924년 4월 21일
《경성부내의 삼월 말 현재의 뎐화 가입자 수는 일본인이 4875, 조선인이 951, 외국인이 143, 총계가 5969라 한다. 조선인의 서울인가 일본인의 서울인가. 문명의 이긔인 뎐화로 보아도 통곡하지 아니할 수가 업다. (중략) 우리는 조선의 오늘날 문명의 주인이 아니고 종이다. 우리는 이 문명의 주인이 되도록 전력을 다하자.》
교사의 지식
개화가 시작되면서 일본을 통해서, 그리고 서양인을 통해서 수많은 신문물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였다. 서울의 전화 가입자 82%가 일본인이었으며, 일본인 가구 100%가 전기불을 사용할 때에도 한국인 가구의 10%만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신교육이 늘어났다고 해도 한국인의 초등학교 진학률은 국내 일본인의 1/6에 불과 하였다.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이 예전보다 못해졌을 수도 있었다. 일본인들과 소수 한국인들의 편리함을 위해 수많은 소작 농민들은 50% 이상의 소작료를, 도시의 노동자들은 저임금과 극단적인 노동 조건을 강요당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명이 조선인의 주인이 되고, 조선인들은 문명의 종이 되는 기막힌 일이 벌어졌다.
③ 철도의 건설과 조선에 미친 영향
다양한 분야에서 근대화가 추진되었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 뒤, 교사는 철도가 건설되게 된 당시의 조선의 상황과 일제와의 관계에 관한 동영상으로 보여준다. 동영상을 통해서 철도가 조선인들의 편리함을 위해서 건설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유추하고, 이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동영상을 잘 보았나요? 동영상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이었나요? -조선 정부에서 미국인 모스에게 철도를 건설한 권한을 맡겼어요. 일제가 조선의 철도를 건설할 권한을 샀어요. 이제부터 일제가 어떻게 조선에 철도를 건설하였는지 그 과정을 살펴봅시다. 또 철도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알아봅시다.)
철도가 건설되는 과정을 사진자료와 신문기사를 통해 설명한다. 철도 건설은 식민지시대에 조선을 지배하고 대륙을 침략하는데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일제시대 철도는 일제의 수탈의 상징화 되어 의병들의 공격대상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동영상자료- KTV 한국철도 110년의 역사
http://video.naver.com/2009092414064059784 [6:54~8:28]
사진자료
교사의 지식
①철도의 건설과정
1899년 9월 18일, 노량진과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 33.2Km가 개통 되었다. 그러나 이 철도 개통식에는 태극기 대신 일장기와 성조기가 휘날렸다. 미국 기술로 만든 기관차가 일본인이 만든 철로 위를 달렸다. 이렇게 외국인들이 만든 철도는 그들의 이익에 봉사하며 달렸다. 경인선의 뒤를 이어, 경부선(1905)과 경의선(1906)이 완성되었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다시 신의주까지 하루거리로 좁혀졌다. 전국이 그만큼 가까워졌고, 사람도 물건도 순식간에 이동하였다. 철도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다, 철길이 지나는 것에는 전에 없던 도시가 탄생하였고, 역 앞에는 지역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②일제수탈의 수단1
일제가 철도 건설에 열을 올린 것은 한반도를 침탈하기 위해서였다. 중국과 러시아로 군수물자를 운반하고 한반도의 식량자원과 광산자원을 약탈해 실어 나르기 위한 의도였다. 일제의 의도가 이렇다 보니 철도를 이용하는 데에 한국인 차별이 빈번했다. 동아일보는 1923년 3월 6일자 사설에서 ‘다소의 편리를 이용하여 조선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주머니를 빼앗아가는 교통기관’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사정은 서울시내의 전차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조선 사람에게는 불공하기 짝이 없고 이따금 가증하고 밉살스러운 차장들은 뎡류
학 과
학 번
이 름
교육과정 주제
일제의 수탈과 근대 문물의 확산이 생활 문화에 미친 영향을 추론한다.
선정한 주제
일제시대 철도의 건설과정을 살펴보고, 당시 조선에 미친 영향을 추론해보자.
수업전개과정
동기유발 → 시대적 상황 → 철도건설과 당시조선에 미친 영향 → 서울역모습과 당시 민중들에 미친 영향 → 정리활동
① 동기유발
우리나라의 현재 철도지도를 제시하고, 무엇을 나타내는 지도인지 유추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선생님이 준비한 지도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선들이 보이죠? 이것은 무엇을 나타내는 지도일까요? - 고속도로, 강, 철도입니다.) 학생들이 철도를 이용해보았던 경험과, 우리생활에서 철도의 편리함을 발표해보도록 한다.
이러한 철도가 언제 건설되었는지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일제시대에 건설되었다는 사실 설명한다. 이때 현재의 철도지도와 일제시대의 철도지도를 비교하면서 동일한 철도노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당시에는 철도의 주된 목적이 현재와 같이 많은 일반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써의 역할이 아니다는 사실을 유추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당시에도 현재 우리가 이용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전국 방방 곳곳을 여행할 수 있도록 이용되었을까요? 오늘 공부할 내용은 바로, 일제시대의 철도건설과정을 통해, 당시 조선에 미친 영향을 대해 추론해 볼꺼예요. )
참고사진 - 현재철도 지도와 일제시대 철도 지도
선행 과제학습
학생은 일제시대에 수용된 근대문물을 조사해보고, 이를 이용했던 실제의 모습들의 사진이나 신문기사 자료를 스크랩한다.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는 수업단계에서 발표를 통해, 몇몇 대표적인 근대문물을 소개하고, 당시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발표한다.
첨부자료) 과제활동지
②시대적 상황
학생들이 전 시간에 미리 공지받은 과제를 통해 조사한 일제시대에 들어 온 다양한 근대문물을 반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교사는 참고사진과 참고기사를 제시하면서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이고, 근대화가 추진되었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여러 근대 문물들은 조선의 일반 민중들이 사용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일본인이나 일부 조선인들만이 이용하여 혜택을 누렸고, 오히려 일부는 이러한 근대 문물의 작업활동으로 노동력을 착취당하여 힘든 생활을 했다는 것을 제시한다.
참고사진
참고기사 - 동아일보 1924년 4월 21일
《경성부내의 삼월 말 현재의 뎐화 가입자 수는 일본인이 4875, 조선인이 951, 외국인이 143, 총계가 5969라 한다. 조선인의 서울인가 일본인의 서울인가. 문명의 이긔인 뎐화로 보아도 통곡하지 아니할 수가 업다. (중략) 우리는 조선의 오늘날 문명의 주인이 아니고 종이다. 우리는 이 문명의 주인이 되도록 전력을 다하자.》
교사의 지식
개화가 시작되면서 일본을 통해서, 그리고 서양인을 통해서 수많은 신문물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문화를 누릴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였다. 서울의 전화 가입자 82%가 일본인이었으며, 일본인 가구 100%가 전기불을 사용할 때에도 한국인 가구의 10%만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신교육이 늘어났다고 해도 한국인의 초등학교 진학률은 국내 일본인의 1/6에 불과 하였다.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이 예전보다 못해졌을 수도 있었다. 일본인들과 소수 한국인들의 편리함을 위해 수많은 소작 농민들은 50% 이상의 소작료를, 도시의 노동자들은 저임금과 극단적인 노동 조건을 강요당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명이 조선인의 주인이 되고, 조선인들은 문명의 종이 되는 기막힌 일이 벌어졌다.
③ 철도의 건설과 조선에 미친 영향
다양한 분야에서 근대화가 추진되었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 뒤, 교사는 철도가 건설되게 된 당시의 조선의 상황과 일제와의 관계에 관한 동영상으로 보여준다. 동영상을 통해서 철도가 조선인들의 편리함을 위해서 건설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유추하고, 이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동영상을 잘 보았나요? 동영상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이었나요? -조선 정부에서 미국인 모스에게 철도를 건설한 권한을 맡겼어요. 일제가 조선의 철도를 건설할 권한을 샀어요. 이제부터 일제가 어떻게 조선에 철도를 건설하였는지 그 과정을 살펴봅시다. 또 철도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알아봅시다.)
철도가 건설되는 과정을 사진자료와 신문기사를 통해 설명한다. 철도 건설은 식민지시대에 조선을 지배하고 대륙을 침략하는데 이용되었다는 사실을 설명한다. 일제시대 철도는 일제의 수탈의 상징화 되어 의병들의 공격대상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동영상자료- KTV 한국철도 110년의 역사
http://video.naver.com/2009092414064059784 [6:54~8:28]
사진자료
교사의 지식
①철도의 건설과정
1899년 9월 18일, 노량진과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 33.2Km가 개통 되었다. 그러나 이 철도 개통식에는 태극기 대신 일장기와 성조기가 휘날렸다. 미국 기술로 만든 기관차가 일본인이 만든 철로 위를 달렸다. 이렇게 외국인들이 만든 철도는 그들의 이익에 봉사하며 달렸다. 경인선의 뒤를 이어, 경부선(1905)과 경의선(1906)이 완성되었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다시 신의주까지 하루거리로 좁혀졌다. 전국이 그만큼 가까워졌고, 사람도 물건도 순식간에 이동하였다. 철도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다, 철길이 지나는 것에는 전에 없던 도시가 탄생하였고, 역 앞에는 지역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②일제수탈의 수단1
일제가 철도 건설에 열을 올린 것은 한반도를 침탈하기 위해서였다. 중국과 러시아로 군수물자를 운반하고 한반도의 식량자원과 광산자원을 약탈해 실어 나르기 위한 의도였다. 일제의 의도가 이렇다 보니 철도를 이용하는 데에 한국인 차별이 빈번했다. 동아일보는 1923년 3월 6일자 사설에서 ‘다소의 편리를 이용하여 조선 사람의 피를 빨아먹고 주머니를 빼앗아가는 교통기관’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사정은 서울시내의 전차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조선 사람에게는 불공하기 짝이 없고 이따금 가증하고 밉살스러운 차장들은 뎡류
추천자료
역사교육에 있어서의 과학적 설명 논리
구성주의에 기반한 교육학
[역사교육론] 미술자료와 문학작품 활용학습
교육학개론] 교육의 개념 기반 가능성 3대요소 교육의 과정과 교육목적
교육학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집단탐구수업(집단탐구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집단탐구수업(집단탐구학습)의 과정과 전개, ...
토론수업(토론학습, 토의수업)의 정의, 토론수업(토론학습, 토의수업)의 원리와 분류, 토론수...
[연표수업모형][연표학습모형]연표학습(연표수업)의 유형, 연표학습(연표수업)의 자료, 연표...
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의 의미, 가치탐구수업(가치탐구학습모형)의 의의, 가치탐구수업(가치...
토론중심수업 지도자료(교수학습자료), 발문수업 지도자료(교수학습자료), 교실놀이수업 지도...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유형,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교육...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조건,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설계, 수학수업(수학교육, 학습) ...
[좋은수업][좋은수업을 위한 방법]좋은수업의 개념, 좋은수업의 성격, 좋은수업의 설계, 좋은...
음악수업(음악과교육)의 성격, 음악수업(음악과교육)의 단계, 음악수업(음악과교육)의 지향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