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당한 못자.
2)신약성경에서-신약성경이 예수그리스도의 죽음에대하여 175회 이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약성경이 7,957절로 되어있는 점을 감안할때, 이숫자는 45절에 한번씩 이주제가 언급되고있음을 말해준다.
70.그리스도의 죽으심과 성육신과의 관계를 쓰라.(336-340)
1)성육신과의관계: 예수님은 그 자신이 죽임을 당하실수있도록 하기 위하여, 혈육을 덧입은 것이다. 그의 죽으심은 어떤 우발적인 사건이나 뒤늦게 만들어낸 뒷궁리가 아니고 성육신의 사건과 관련된 신이 정하신 목적의(전인구원)의 완성이다.
2)그것은 복음의 두가지 근본진리 중하나이다.
3)인간의 구원을 위해 필수적인 일이었다.
71. 그리스도의 죽음에 관한 오해들을 나열하고 간략히 설명하라.(340-343)
1)우발설: 이 이론은 그리스도를 단지 한 사람의 인간으로 보고, 그리스도의 죽음도 일반사람의 죽음과 동일시하는 견해이다.
2)순교설: 이 학설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후스나 폴리갑의 죽음처럼 거룩한 순교에 불과한 것이라 주장한다.
3)도덕감화설(또는 하나님의 사랑의설): 이 학설의 주장은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이 그가 육신을 취하신 지극히 자연적인 결과일 뿐이며, 그리스도는 단지 그의 피조물의 죄로 인해 피조물과 더불어 고통을 받으셨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4)통치설: 이 학설 속에 들어있는 기본사상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하나님이 죄를 증오하심을 보여주시기 위해 그리스도의 고통을 통하여 모범을 보이셨다는 것이다.
72. 그리스도의 죽음의 진정한 의미들을 나열하고 설명하라.(343-350)
1)그리스도의 죽음은 대리적 죽음이다:그리스도는 십자가 상에서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신 대속자이시다.
2) 그리스도의 죽음은 속죄를 위한것이다:하나님께서는 우리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하여 죄인들을 위하여 마련하신 전인적인 구원을 준비하셨다.
3)그리스도의 죽음은 화목제물이다: 하나님께서는 예수의 피로 말미암아 화목제물로 세우셨다.
4)그리스도의 죽음은 화목을 위한 것이다: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인간의 막힌담을 예수님께서 자신의 피로 허무셨다.
5)그리스도의 죽음은 하나의 대속물 혹은 구속이다:십자가 상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은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 댓가를 지불하신 사건이다.
73.그리스도는 누구를 위하여 죽으셨나(350-353)
1)교회를 위하여
2)온세상 사람들을 위하여
74.그리스도의 부활의 중요성을 설명하라(354-358)
1)그것은 복음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교리중 하나이다.
2)그것은 교회를 세워주는 주춧돌이되었다.
75.그리스도 부활의 성격과 방법들을 나열하고 설명하라(358-363)
1)그리스도의 부활은 성 삼위 일체께서 함께하신일이다.
가. 성부하나님에 의해서
나.그리스도자신의 능력에 의하여
다. 성령의 능력에 의해서
2)그것은 실제적인 부활이었다.
가. 군인들은 그리스도께서 죽었음을 확인했다.
나. 백부장이 그의 죽음을 확인했다.
다. 피와 물이 그의 옆구리에서 쏟아져나왔다.
라. 아리마대 사람 요셉은 그가 죽었다고 믿었다.
마. 십자가
2)신약성경에서-신약성경이 예수그리스도의 죽음에대하여 175회 이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약성경이 7,957절로 되어있는 점을 감안할때, 이숫자는 45절에 한번씩 이주제가 언급되고있음을 말해준다.
70.그리스도의 죽으심과 성육신과의 관계를 쓰라.(336-340)
1)성육신과의관계: 예수님은 그 자신이 죽임을 당하실수있도록 하기 위하여, 혈육을 덧입은 것이다. 그의 죽으심은 어떤 우발적인 사건이나 뒤늦게 만들어낸 뒷궁리가 아니고 성육신의 사건과 관련된 신이 정하신 목적의(전인구원)의 완성이다.
2)그것은 복음의 두가지 근본진리 중하나이다.
3)인간의 구원을 위해 필수적인 일이었다.
71. 그리스도의 죽음에 관한 오해들을 나열하고 간략히 설명하라.(340-343)
1)우발설: 이 이론은 그리스도를 단지 한 사람의 인간으로 보고, 그리스도의 죽음도 일반사람의 죽음과 동일시하는 견해이다.
2)순교설: 이 학설은 그리스도의 죽음이 후스나 폴리갑의 죽음처럼 거룩한 순교에 불과한 것이라 주장한다.
3)도덕감화설(또는 하나님의 사랑의설): 이 학설의 주장은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이 그가 육신을 취하신 지극히 자연적인 결과일 뿐이며, 그리스도는 단지 그의 피조물의 죄로 인해 피조물과 더불어 고통을 받으셨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4)통치설: 이 학설 속에 들어있는 기본사상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하나님이 죄를 증오하심을 보여주시기 위해 그리스도의 고통을 통하여 모범을 보이셨다는 것이다.
72. 그리스도의 죽음의 진정한 의미들을 나열하고 설명하라.(343-350)
1)그리스도의 죽음은 대리적 죽음이다:그리스도는 십자가 상에서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신 대속자이시다.
2) 그리스도의 죽음은 속죄를 위한것이다:하나님께서는 우리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하여 죄인들을 위하여 마련하신 전인적인 구원을 준비하셨다.
3)그리스도의 죽음은 화목제물이다: 하나님께서는 예수의 피로 말미암아 화목제물로 세우셨다.
4)그리스도의 죽음은 화목을 위한 것이다:인간의 죄로 하나님과 인간의 막힌담을 예수님께서 자신의 피로 허무셨다.
5)그리스도의 죽음은 하나의 대속물 혹은 구속이다:십자가 상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은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 댓가를 지불하신 사건이다.
73.그리스도는 누구를 위하여 죽으셨나(350-353)
1)교회를 위하여
2)온세상 사람들을 위하여
74.그리스도의 부활의 중요성을 설명하라(354-358)
1)그것은 복음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교리중 하나이다.
2)그것은 교회를 세워주는 주춧돌이되었다.
75.그리스도 부활의 성격과 방법들을 나열하고 설명하라(358-363)
1)그리스도의 부활은 성 삼위 일체께서 함께하신일이다.
가. 성부하나님에 의해서
나.그리스도자신의 능력에 의하여
다. 성령의 능력에 의해서
2)그것은 실제적인 부활이었다.
가. 군인들은 그리스도께서 죽었음을 확인했다.
나. 백부장이 그의 죽음을 확인했다.
다. 피와 물이 그의 옆구리에서 쏟아져나왔다.
라. 아리마대 사람 요셉은 그가 죽었다고 믿었다.
마. 십자가
추천자료
성령론 中 성령 세례에 대한 학설 연구요약정리
영산 조용기목사의 오중복음
기독교 수도원의 역사
현대교회의 예배실태와 개혁적 동향에 관한 고찰.hwp
어거스틴의 교회론
교회론 - 교회의 본질 소논문
순복음 영성과 예배
[베드로]베드로(시몬)의 생애, 베드로(시몬)의 사명, 베드로(시몬)의 부인, 베드로(시몬)의 ...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생애와 부활, 예수(예수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어록과 치유,...
[성경][성서][창세기][지대조세제][재림]성경(성서)의 구성, 성경(성서)의 창세기, 성경(성서...
2. 레위기의 5대 제사 7대 절기
개혁주의 세계관의 관점으로 본 코메니우스의 세계관 - 개혁주의 세계관, 코메니우스의 세계...
은사(恩賜)에 대한 입장 - 은사에 대한 현대적인 입장 및 기적적인 은사의 단절(은사 중지론)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