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 안내
1 단원 : 7. 전자석
2 대단원의 개관
3 단원의 학습 목표
4 단원의 학습 계열
5 대단원 지도 계획
6 대단원 지도 시 유의점
7 단원 학습의 평가
Ⅱ 사전 교수-학습 설계
1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및 교재 연구
2 본시 학습내용 관련 사전 연구
Ⅲ 학생 실태 조사․분석 및 지도 대책
1 학생 실태 조사 도구
2 학생 실태 조사․분석 및 대책 (숫자 단위: %)
Ⅳ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 평가 계획
4 판서 계획
1 단원 : 7. 전자석
2 대단원의 개관
3 단원의 학습 목표
4 단원의 학습 계열
5 대단원 지도 계획
6 대단원 지도 시 유의점
7 단원 학습의 평가
Ⅱ 사전 교수-학습 설계
1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및 교재 연구
2 본시 학습내용 관련 사전 연구
Ⅲ 학생 실태 조사․분석 및 지도 대책
1 학생 실태 조사 도구
2 학생 실태 조사․분석 및 대책 (숫자 단위: %)
Ⅳ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 평가 계획
4 판서 계획
본문내용
30.3
48.5
18.2
3. 실험을 하면 과학 공부가 쉬워진다.
21.2
60.6
18.2
.
(3) 전자석 단원에 대한 사전 준비도
문 항
아주 그렇다
그런 편이다
그다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1. 전자석 단원은 재미있을 것 같다.
12.1
48.5
30.3
9.1
2. 전자석 단원은 쉬울 것 같다.
3.0
33.3
51.5
12.1
3. 전자석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내용
전기회로 75.8
자석 6.1
잘 모르겠음 18.1
[분석에 대한 대책과 수업자 의도]
본 학급 아동들은 기본적으로 과학을 흥미로운 과목, 재미있고 신기한 과목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과학 공부에 대한 자신감은 이에 대한 흥미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이며,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로 실험이 재미있고, 신기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에 반해 과학을 싫어하는 이유로는 힘들고, 어려우며 복잡, 지루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실험은 대부분의 아동이 좋아하지만 과학을 싫어하는 아동이 적지 않게 있으므로 그 이유를 고려하여 실생활에서 전자석과 관련한 내용을 추출하여 전자석이 아동의 생활과 아주 밀접하다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어려운 실험과정 중 개선이 가능한 부분은 수정하여 교과서에서 제시된 방법과는 약간 변형된 실험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석을 코일로 감기 전에 종이로 감싸는데, 이때 쇠못을 감싼 종이가 너무 두껍거나 헐거우면 전자석이 잘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를 유지한 채 코일을 꼼꼼하기 감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종이 대신 셀로판테이프를 못에 잘 붙여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이 재미없다는 의견은 예상보다 낮았으며 이 역시 재미있고, 신기하며, 호기심이 발동한다는 의견과 직접 조립하므로 실감이 나며 쉽게 이해하게 된다는 의견이 비슷하게 나왔다. 실험을 싫어하는 의견으로 실험이 무섭고 어렵다는 의견이 각각 3%씩을 차지하였으므로 교과서에 나오는 전자석에 관련한 실험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변형하여 진행한다면 이에 대한 호기심이나 흥미는 그대로 유지한 채 실험에 대한 공포나 체감난이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평가요소로 전자석을 만드는 것도 포함되는 데 아이들이 이러한 평가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되도록 1~2명 당 하나의 전자석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석이 전기와 자기에 관련한 내용이라는 것을 대부분의 아동이 제대로 짐작하고 있으며,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아동의 경우는 1, 2차시에서 약간의 힌트를 얻었으리라 생각된다. 모든 금속으로 자석을 만들 수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 거의 반반씩 의견이 나뉘었는데, 이에 대한 오개념을 교정해주기 위해서 여러 가지 막대로 전자석 만들어볼 때 구리막대나 강철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못도 실험에 포함하기로 하였다. 한편 전기와 자기는 연관이 거의 없을 것이다’라는 문항에서 87.9%의 아동이 관련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보아, 본 단원의 1,2차시를 통하여 전자석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연관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한 4명 정도의 아동을 위해 전시학습를 상기를 위한 시간에 반드시 해당 부분을 분명하게 언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침반에 대한 사용법 중 제대로 알 고 있다고 대답한 아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자신이 느끼는 것과 실제 사용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차시에서 플래쉬 파일을 통하여 간단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3)좌석 배치도
교탁
문지석◎
곽석현△
오운학○
문승현○
권지현△
김선재○
채유진◎
이승연◎
용혜린◎
김지연◎
유승아◎
박수미○
민승기◎
박석태○
조성결○
최민식○
서기현○
손호근○
남정현○
김훈겸○
이윤수◎
오명진◎
김은진◎
장유진◎
이다은○
김내영○
김나령○
김연준○
이정무○
최선일◎
김명서△
김종혁○
김동욱○
*수업 흥미,성취도,태도 종합 특성
◎
매우 우수
○
양호
△
노력 요망
Ⅳ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
지도교사
실습부장
단 원
7. 전자석
학습 요점
본시 주제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고 전지 연결하기
-쇠막대, 즉 쇠못이나 두꺼운 철사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 때 가장 강한 전자석을 만들 수 있다.
-전자석도 N극과 S극이 존재함을 나침반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차 시
3~4/9
교과서
과학 80~81쪽
실험관찰 58쪽
수업 목표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 수 있다.
학습 자료
<전체>프리젠테이션 자료, 컴퓨터, 프로젝터, 동영상파일, 구리막대, 니퍼, 실물화상기, 나침반 플래쉬 파일, 학습지
<모둠별>코일, 막대자석 한 개, 가열해서 천천히 식힌 쇠못(5~8cm인 나무못), 나무젓가락, 콘크리트못, 지름 5mm이상의 5~8cm 철사, 플라스틱 막대, 유리막대, 에나멜선 1m20cm짜리 다섯 개, 알코올램프, 칼, 사포, DM사이즈 1.5V 전지 한 개, 전지 끼우개 한 개, 집게 전선 두 쌍, 스위치, 나침반 한 개, 셀로판테이프, 클립 한 상자, 침핀 한 상자, 실, 가위, 안전용 고글, 자침입체자력, 얇은 면장갑 3개, 전구와 소켓
수업 형태
순환학습
(탐색→용어도입→개념적용)
단계
학습 과정
교수 학습 활동
시간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탐색
용어도입
개념적용
정리
학습동기유발
전시학습 상기 및 사전 학습 확인
학습 목표 및 절차 확인
활동 1
활동 2
활동 3
학습내용 정리
차시안내
실험도구정리
영화 ‘할로우맨’(1’50”)
-냉동고에서 살아나가기 위해 린다가 선택한 방 법은?
자석 비슷한 것을 만들어 철제빗장을 벗겨냄
직선 전선과 고리모양의 에나멜선 주위에서 나침반의 방향을 관찰해서 알 수 있었던 점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긴다.
오늘 공부할 내용 확인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어 봅시다.
【활동 1】코일주제에~ 흥~!
자석과 고리로 만든 에나멜선 코일의 자성 세기 비교
【활동 2】자석 두고 보자~! 강해질테다~!
다양한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자기장 확인
【활동 3】내가 만든 전자석으로 으
48.5
18.2
3. 실험을 하면 과학 공부가 쉬워진다.
21.2
60.6
18.2
.
(3) 전자석 단원에 대한 사전 준비도
문 항
아주 그렇다
그런 편이다
그다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1. 전자석 단원은 재미있을 것 같다.
12.1
48.5
30.3
9.1
2. 전자석 단원은 쉬울 것 같다.
3.0
33.3
51.5
12.1
3. 전자석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내용
전기회로 75.8
자석 6.1
잘 모르겠음 18.1
[분석에 대한 대책과 수업자 의도]
본 학급 아동들은 기본적으로 과학을 흥미로운 과목, 재미있고 신기한 과목으로 인식한다. 하지만 과학 공부에 대한 자신감은 이에 대한 흥미에 미치지 못하는 정도이며,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로 실험이 재미있고, 신기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에 반해 과학을 싫어하는 이유로는 힘들고, 어려우며 복잡, 지루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실험은 대부분의 아동이 좋아하지만 과학을 싫어하는 아동이 적지 않게 있으므로 그 이유를 고려하여 실생활에서 전자석과 관련한 내용을 추출하여 전자석이 아동의 생활과 아주 밀접하다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어려운 실험과정 중 개선이 가능한 부분은 수정하여 교과서에서 제시된 방법과는 약간 변형된 실험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석을 코일로 감기 전에 종이로 감싸는데, 이때 쇠못을 감싼 종이가 너무 두껍거나 헐거우면 전자석이 잘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를 유지한 채 코일을 꼼꼼하기 감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종이 대신 셀로판테이프를 못에 잘 붙여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실험이 재미없다는 의견은 예상보다 낮았으며 이 역시 재미있고, 신기하며, 호기심이 발동한다는 의견과 직접 조립하므로 실감이 나며 쉽게 이해하게 된다는 의견이 비슷하게 나왔다. 실험을 싫어하는 의견으로 실험이 무섭고 어렵다는 의견이 각각 3%씩을 차지하였으므로 교과서에 나오는 전자석에 관련한 실험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변형하여 진행한다면 이에 대한 호기심이나 흥미는 그대로 유지한 채 실험에 대한 공포나 체감난이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평가요소로 전자석을 만드는 것도 포함되는 데 아이들이 이러한 평가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되도록 1~2명 당 하나의 전자석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석이 전기와 자기에 관련한 내용이라는 것을 대부분의 아동이 제대로 짐작하고 있으며,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아동의 경우는 1, 2차시에서 약간의 힌트를 얻었으리라 생각된다. 모든 금속으로 자석을 만들 수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 거의 반반씩 의견이 나뉘었는데, 이에 대한 오개념을 교정해주기 위해서 여러 가지 막대로 전자석 만들어볼 때 구리막대나 강철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못도 실험에 포함하기로 하였다. 한편 전기와 자기는 연관이 거의 없을 것이다’라는 문항에서 87.9%의 아동이 관련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보아, 본 단원의 1,2차시를 통하여 전자석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연관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한 4명 정도의 아동을 위해 전시학습를 상기를 위한 시간에 반드시 해당 부분을 분명하게 언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침반에 대한 사용법 중 제대로 알 고 있다고 대답한 아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자신이 느끼는 것과 실제 사용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차시에서 플래쉬 파일을 통하여 간단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3)좌석 배치도
교탁
문지석◎
곽석현△
오운학○
문승현○
권지현△
김선재○
채유진◎
이승연◎
용혜린◎
김지연◎
유승아◎
박수미○
민승기◎
박석태○
조성결○
최민식○
서기현○
손호근○
남정현○
김훈겸○
이윤수◎
오명진◎
김은진◎
장유진◎
이다은○
김내영○
김나령○
김연준○
이정무○
최선일◎
김명서△
김종혁○
김동욱○
*수업 흥미,성취도,태도 종합 특성
◎
매우 우수
○
양호
△
노력 요망
Ⅳ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1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자
지도교사
실습부장
단 원
7. 전자석
학습 요점
본시 주제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고 전지 연결하기
-쇠막대, 즉 쇠못이나 두꺼운 철사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 때 가장 강한 전자석을 만들 수 있다.
-전자석도 N극과 S극이 존재함을 나침반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차 시
3~4/9
교과서
과학 80~81쪽
실험관찰 58쪽
수업 목표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 수 있다.
학습 자료
<전체>프리젠테이션 자료, 컴퓨터, 프로젝터, 동영상파일, 구리막대, 니퍼, 실물화상기, 나침반 플래쉬 파일, 학습지
<모둠별>코일, 막대자석 한 개, 가열해서 천천히 식힌 쇠못(5~8cm인 나무못), 나무젓가락, 콘크리트못, 지름 5mm이상의 5~8cm 철사, 플라스틱 막대, 유리막대, 에나멜선 1m20cm짜리 다섯 개, 알코올램프, 칼, 사포, DM사이즈 1.5V 전지 한 개, 전지 끼우개 한 개, 집게 전선 두 쌍, 스위치, 나침반 한 개, 셀로판테이프, 클립 한 상자, 침핀 한 상자, 실, 가위, 안전용 고글, 자침입체자력, 얇은 면장갑 3개, 전구와 소켓
수업 형태
순환학습
(탐색→용어도입→개념적용)
단계
학습 과정
교수 학습 활동
시간
자료 및
지도상의 유의점
탐색
용어도입
개념적용
정리
학습동기유발
전시학습 상기 및 사전 학습 확인
학습 목표 및 절차 확인
활동 1
활동 2
활동 3
학습내용 정리
차시안내
실험도구정리
영화 ‘할로우맨’(1’50”)
-냉동고에서 살아나가기 위해 린다가 선택한 방 법은?
자석 비슷한 것을 만들어 철제빗장을 벗겨냄
직선 전선과 고리모양의 에나멜선 주위에서 나침반의 방향을 관찰해서 알 수 있었던 점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긴다.
오늘 공부할 내용 확인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어 봅시다.
【활동 1】코일주제에~ 흥~!
자석과 고리로 만든 에나멜선 코일의 자성 세기 비교
【활동 2】자석 두고 보자~! 강해질테다~!
다양한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아 자기장 확인
【활동 3】내가 만든 전자석으로 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