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학레포트-MI[1]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간호학레포트-MI[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1

Ⅱ 본 론

1. 정의 ・・・・・・・・・・・・・・・・・・・・・・・・・・・・・・・・・・・・ 1

2. 원인 및 병태생리 ・・・・・・・・・・・・・・・・・・・・・・・・・ 1

3. 촉진요인 및 병태생리 ・・・・・・・・・・・・・・・・・・・・・ 2

4. 임상증상 ・・・・・・・・・・・・・・・・・・・・・・・・・・・・・・・・・ 3

5. 진단적 평가 ・・・・・・・・・・・・・・・・・・・・・・・・・・・・・・ 4

6. 치료적 관리 ・・・・・・・・・・・・・・・・・・・・・・・・・・・・・・ 5

7. 합병증 ・・・・・・・・・・・・・・・・・・・・・・・・・・・・・・・・・・・ 8

8. 간호 관리 ・・・・・・・・・・・・・・・・・・・・・・・・・・・・・・・・・ 8

9. 재활중재 ・・・・・・・・・・・・・・・・・・・・・・・・・・・・・・・・・ 12

Ⅲ 결 론 ・・・・・・・・・・・・・・・・・・・・・・・・・・・・・・・・・・・ 18

▣ 참고문헌 ・・・・・・・・・・・・・・・・・・・・・・・・・・・・・・・・・ 19

본문내용

의 운동부터 시작하여, 점차 누운 상태에 서 관절의 운동, 일어나 서기, 가벼운 보행 등으로 운동량을 늘려 가는데, 보통 의사의 감독 아래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시행하며, 5분에서 20분간씩 하루에 2~3회 시행하고, 1.5MET 정도의 운동량에서 시작하여 3.5MET 정도의 운동으로 증가시킨다.
▣ 입원기의 심장 재활 프로토콜 : 침상과 병실에서의 활동과 운동
단계
간호활동
물리치료
Ⅰ(침상안정)
1MET
침실내 실내변기(1,5)
상지를 보조한 상태로 상지활동
하지 능동 보조 운동 평가
상지 능동 보조 운동 평가
심장 재활에 대한 소개
Ⅱ (병실내)
2METs
식사 시 의자에 앉기
한번에 20분 앉아있기
침상에서 스펀지로 목욕하기
단장하기
휠체어나 산소 탱크의 보조를 받으면서 병실내 걷기
하지 워밍업 운동 및 정리 운동
견관절 굴곡, 45˚ 외전, 내회전, 외회전
주관절 굴곡: 10회 반복
Ⅲ (짧게 걷기)
3METs
욕조에서 목욕하기(2.5)
샤워(3.7), 자기관리
휠체어로 병실 밖 이동
30~75m 걷기
견관절 굴곡, 90˚ 외전
주관절 굴곡: 15회 반복
Ⅳ (길게 걷기)
4METs
독립적인 일상생활 동작
75~300m 걷기를 워밍업 운동 및 정기 운 동과 같이 시행
+12개의 계단 오르내리기
③심실빈맥, 실실세동, 폐부종, 쇼크, 심방세동, 저혈압, 심근경색으 진행, 2도 또는 3도 방실 차단 등의 중한 합병증이 있는 환자들은 개별적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보행이 늦어질수 있다.
④연령에 따른 최대 가능 맥박수는 「220-연령」으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히 계 산하기 위해서는 「185-(0.7×연령)」으로 계산한다.
⑤운동량을 최대 가능 맥박수의 70% 이하 범주에 도달하게 조절하여야 하고, 운동 중의 맥박수 가 목표 맥박수보다 많거나 안정 시보다 20회 이상 증가하면 운동이 과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안정할 때 맥박수가 100회가 넘으면 심부전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심장병 전문의와 상의 해야 한다.
2) 퇴원 초기 (회복기, Phase Ⅱ)
①퇴원 후 8~12주의 기간이다.
②운동평가: 퇴원 전 운동 부하 검사를 기준으로 시작하며, 주기적으로 운동 부하 검사를 실시 하여 운동 능력을 평가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운동량을 처방한다.
③운동처방
㉠운동 형태는 대개 에어로빅 운동을 하는데, 이는 근육들을 많이 쓰는 동적 운동으로서 걷기, 달리기, 자전거타기, 수영, 체조 등이 이에 속한다.
㉡정적인 등척성 운동: 박동수가 증가하지 않고 혈압을 크게 상승시키며, 계속하면 심장에 허 혈증이 올 수 있고, 부정맥, 심부전증 등이 올 수 있다.
㉢운동 강도는 운동 평가할 때 구한 최대 맥박수의 70~85%를 목표 맥박수로 정하여 그 범위안 에서 시행하고, 운동 횟수는 대부분 1주일에 3번 정도로 하며, 운동 시간은 약 1시간이다.
㉣심장 재활 운동: 매운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자료에 의하면 235만명 환자-시간 당 21건의 심장 정지가 있었으며, 그중 3명만이 사망하여 사망률은 1/78만명 환자-시간으로 보고되고 있다.
④활동량 조절
㉠환자에게 맥박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교육하여, 스스로 활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55세 이하의 환자: 운동량에 대해 정상적 혈역학적 반응을 나타내며, 위험한 부정맥이 엇이 10MET 이상의 최대 기능 능력을 가지면 제2기를 끝낸다.
55세 이사의 환자: 8MET 이상의 최대 기능 능력을 가지면 끝낸다.
㉡모든 환자가 8~10MET 정도의 활동량까지 도달하는 것은 아니며, 환자의 신체 상황에 따라 조 절하여야 한다.
④운동의 결과: 협심증을 일으킬 수 있는 운동의 역치가 증가하고, 기능의 향상, 심리적 안정감 과 자신감을 갖게 된다.
3) 유지기 (Phase Ⅲ)
①발병후 4~6개월로 여전히 의료인의 감독을 필요로 하는 시기이다.
②환자의 영양상태, 정신적인면, 직업적/교육적 상태를 확인하고, 재강조할 수 있는 교육 프로 그램을 계획한다.
③심장 재활 훈련은 1주일에 3번 실시하며, 10분간의 워밍업 운동 후 30분간의 지구력 훈련을 시행하는데, 운동은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을 실시한다.
4) 안정기 (Phase Ⅳ)
①시기는 무한정이며 의료진의 감독도 필요하지 않은 시기이다.
②활동 능력이 최소한 9MET 이상이 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기간은 6개월에서 5년 정도다.
③주기적으로 운동 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운동량을 조절하는데, 운동시 나타나는 증상, 맥박수 가 다음 단계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좋은 지표가 된다.
④5℃에서 20℃ 사이, 상대습도 65% 이하가 이상적인 기후이다.
(2) 재활중재
1) 약물
①약물의 안정성, 효율성, 이행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관하여 알려줄 필요가 있다.
②약물의 기대된 반응에 익숙해야 하며, 기대하지 않은 작용에 관하여는 전문인의 충고를 받아 야 하고, 부작용이 생길 경우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익숙해야 한다.
③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개인은 약물의 안정성의 중요성과 혈액 검사를 통한 PT 간격의 감시가 필요하다.
④고혈압 환자는 대체로 약물 요법 이행정도가 낮으므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행률이 낮은 것은 건강하다고 느끼며, 약물요법이 너무 복잡하고 불편한 부작용을 초래하 기 때문이다.
㉡혈압의 주기적 평가와 약물 조절이 필수 요소이다.
2) 식이
▣ 고지혈증 조절을 위한 식사요법
①총지방섭취량을 제한한다.
②포화지방 섭취를 제한한다.
동물성식품(갈비, 햄, 베이컨, 소세지, 삼겹살), 유제품류(우유(전유), 버터, 치즈, 아이스크림, 생크림), 일부 식물성 기름(팜유(커피프림), 라면, 과자류), 코코넛류(초콜릿 류)등이 있다.
③불포화지방을 적정량 사용한다.
지방섭취가 허용된 범위내에서 불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보다 2배정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식물성 기름(들기름,옥수수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견과류(호두,잣,땅콩), 등푸른 생선류(꽁치, 정어리, 고등어)등이 있다.
④중성지방을 조절한다.
㉠적당한 열량을 섭취한다.- 지방이 많이 함유한 식룸이나 조리법, 당분, 고얄량 간식(피자,
  • 가격3,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2.28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2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