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족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족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어족이란?

★어족의 구성과 분류

★세계의 어족

★언어의 분류

★유럽(Europe)

★남북아메리카(North and South America)

★셈어족 [Semitic languages]

★함어족 [Hamitic languages]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Malayo-Polynesian languages]

★우토아즈텍어족(Uto-Aztecan) = 나우아틀어

★드라비다어족 [Dravidian languages]

★아이마라어 [Aymara language]

★우랄알타이어족 [Ural-Altaic languages]

본문내용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그 이유는 몇몇 고전어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언어들이 상대적으로 최근의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교언어학적 방법들을 적용함으로서 조어의 많은 특징들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원 과정은 주로 여러 언어들의 낱말들 사이에 나타나는 말소리의 규칙적인 대응관계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된 연구방법론은 비교 재구(比較再構:copmarative reconstruction)라고 불린다. 비교재구는 19세기 초기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라스크(Rasmus Christian Rask), 야콥 그림(Jakob Grimm), 아우구스트 슐라이허(August Schleicher), 젊은이 문법학파(독: Junggrammatiker/영: neo-grammarians) 등등의 일군의 비교언어학자들에 의해 정교하게 발전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비교언어학적 방법은 아래에 제시된 수많은 어족들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어족은 더 작은 계통적, 발생적 단위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관습적으로 어족의 하위 부류는 ‘어파’라고 불린다. 하지만, ‘어족’이라는 용어가 계통수에서 어떤 특정한 단계를 지칭하는 데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르만어족은 인도유럽어족의 하위 부류이다. 일부 학자들은 ‘어족’이라는 용어를 특정 단계에만 사용하려고 하지만 이러한 용어 사용에 대해서는 어떤 합의나 동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어파’의 하위부류를 ‘어군’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어족’보다 큰 단위를 ‘대어족’이라는 용어로 지칭하기도 한다.
<고립된 언어> 언어들 중에서 확실히 어느 어군으로 분류할 수 없는 언어를 고립된 언어(language isolate)라 한다. 어족 내에서도 다른 어족 내의 언어들과 친족관계가 밝혀지지 않아 별개의 어파로 분류해야 하는 고립된 언어가 있다. 인도유럽어족의 경우에는 그리스어가 여기에 해당하며,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고립된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보다 좀 더 극단적인 고립된 언어로 바스크어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바스크어는 오늘날까지도 쓰이고 있는 완전한 형태의 고립된 언어이다. 바스크어의 경우, 어휘, 음성, 통사구조의 역사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을 뿐더러, (비록 주위지역의 스페인어, 프랑스어 등의 로망스어의 영향을 받긴 하였지만) 현존하는 어떤 다른언어와도 친족어 관계를 설정할 수 없다. 이외에도 한국어, 일본어, 수메르어 등이 고립된 언어에 포함된다. 이러한 고립된 언어들은 각각 하나의 작은 어족을 형성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일례로, 바스크어를 바스크어·나바로라부르댕 바스크어·술탱 바스크어로 나누어 이들이 바스크어족을 형성한다고 보거나 류큐어 여러 방언을 각각 다른 언어로 간주하여 일본어와 함께 일본어족을 형성한다고 보는 등 언어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고립된 언어가 될 수도 있고 아주 작은 어족이 될 수도 있다.
<크리올어·피진어·통상어> 이들 언어는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끼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생겨난 혼합어로 어떤 언어를 토대로 했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또 이들이 분화되어 생겨진 언어들의 친족 관계도 살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영어를 기초로 한 크리올어인 비슬라마계 언어, 즉 비슬라마어·톡 피신어·솔로몬 제도 피진어 등은 서로의 유사성이 확연하며 어느 정도 상호 의사 소통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세 언어는 멜라네시아라는 한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피진이기 때문에 멜라네시아 외 지역에서 발생한 영어 피진, 즉 하와이 크레올 영어, 자메이카 크레올 영어등과는 상호 이해도가 아주 낮아 토대 언어가 같다고 해서 한 갈래로 나누기에는 문제가 제기된다는 의견도 있다.
<인공어> 에스페란토 등의 인공어도 이론상 자연어와 같이 변화·분화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인공어는 역사가 짧기도 하고 성격상 언어 형태가 정립되어 있어 분화가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에스페란토에 기초하여 이도가 만들어진 예와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자연어의 분화와는 다르지만 인공어간의 친족 관계를 거론할 수도 있다.
<대어족> 여러 어족들에 대해 여러 학자들 간에 그 당위성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지만 더 나아가서 여러 어족들을 묶어 대어족을 제안하기도 한다. 일부 대어족은 가설로 여겨지는 정도가 아니라 상당수준 재구되어 있기도 하지만, 이러한 대어족에 대해 대부분의 학자나 학파는 그 존재를 부정하거나, 보류하고 있는 상태이다.
오스트로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따이까다이어족, 몽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