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개념과 유형
Ⅱ.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특징
Ⅲ.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구성
1. 실연자
2. 디렉터
3. 무대
4. 관객
Ⅳ.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기능
Ⅴ.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준비
Ⅵ.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사례
1. 주제
2. 중점 목표
3. 자료
4. 교수-학습활동
Ⅶ.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과 심리극의 비교
참고문헌
Ⅱ.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특징
Ⅲ.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구성
1. 실연자
2. 디렉터
3. 무대
4. 관객
Ⅳ.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기능
Ⅴ.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준비
Ⅵ.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의 사례
1. 주제
2. 중점 목표
3. 자료
4. 교수-학습활동
Ⅶ. 사회극(사회극놀이, 소시오드라마)과 심리극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이 두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장면을 이어나가면서 주인공의 감정을 다루어 나가지만, 사회극에서는 주제가 어느 정도 표현된 경우, 불완전하거나 왜곡되어진 경우나, 수정, 보완, 확대, 극대화 등이 필요한 경우, 기타 질문과 토론이 필요하거나 역할의 세분화, 초점의 명료화, 연기자의 교체 혹은 보강, 집단 전체의 의견 수렴 등이 필요한 경우 장면을 중단할 수 있으며 새롭게 보다 극적이고 효과적인 드라마를 만들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심리극은 집단이 참여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사회극에서는 집단원들 모두의 집단 카타르시스를 위해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극은 사회적 상황을 개선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교육적인 면에 중점을 두는 반면에, 사이코드라마는 한 개인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해결해주려고 하기 때문에 치료적인 면에 중점을 둔다.
사회극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사이코드라마의 과정과 같으며, 준비단계, 행위단계, 나누기 단계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사이코드라마에서는 개인적인 주제를 가지고 과정이 진행되지만 사회극은 집단원들이 원하는 주제를 가지고 진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주제의 선정에 있어서, 사이코드라마는 먼저 주인공이 주제를 선정하고 주인공의 지금-여기의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지만 사회극에서는 집단원들이 모두 참여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를 토대로 사회극이 진행된다.
또한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집단이 참여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사회극에서는 집단원들 모두의 집단 카타르시스를 위해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코드라마는 주인공이 관객들 앞에서 짧은 시간 내에 개인적인 문제들을 많이 노출시키기 때문에 자존감이 낮거나 자기노출에 대한 부담감을 갖는 사람들에게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윤리적인 측면에서 주인공의 자기노출에 대한 비밀보장을 확신할 수 없는 면도 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한다는 것은 매우 많은 위험이 뒤따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개적인 상황에서 사이코드라마를 진행하기보다는 주인공과 집단의 안전을 위해 사회극을 실시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 사회극은 개인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인 노출의 부담이 없이 예방, 발달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박정은(1996), 사회극놀이를 통해서 본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신금선(1993), 사회극적놀이가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순종(1994), 사회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정은영(2002), 통합된 유치원에서의 사회극놀이 활동이 3세 자폐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임희
패트리시아 스턴버그(1999), 사회극을 통한 우리들의 만남, 학지사
한홍석(1995), 사회극놀이 지도가 자폐증 아동의 놀이 행동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사회극은 사회적 상황을 개선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교육적인 면에 중점을 두는 반면에, 사이코드라마는 한 개인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해결해주려고 하기 때문에 치료적인 면에 중점을 둔다.
사회극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사이코드라마의 과정과 같으며, 준비단계, 행위단계, 나누기 단계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사이코드라마에서는 개인적인 주제를 가지고 과정이 진행되지만 사회극은 집단원들이 원하는 주제를 가지고 진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주제의 선정에 있어서, 사이코드라마는 먼저 주인공이 주제를 선정하고 주인공의 지금-여기의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지만 사회극에서는 집단원들이 모두 참여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를 토대로 사회극이 진행된다.
또한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집단이 참여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사회극에서는 집단원들 모두의 집단 카타르시스를 위해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코드라마는 주인공이 관객들 앞에서 짧은 시간 내에 개인적인 문제들을 많이 노출시키기 때문에 자존감이 낮거나 자기노출에 대한 부담감을 갖는 사람들에게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윤리적인 측면에서 주인공의 자기노출에 대한 비밀보장을 확신할 수 없는 면도 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한다는 것은 매우 많은 위험이 뒤따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개적인 상황에서 사이코드라마를 진행하기보다는 주인공과 집단의 안전을 위해 사회극을 실시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 사회극은 개인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인 노출의 부담이 없이 예방, 발달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문헌
박정은(1996), 사회극놀이를 통해서 본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신금선(1993), 사회극적놀이가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순종(1994), 사회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정은영(2002), 통합된 유치원에서의 사회극놀이 활동이 3세 자폐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임희
패트리시아 스턴버그(1999), 사회극을 통한 우리들의 만남, 학지사
한홍석(1995), 사회극놀이 지도가 자폐증 아동의 놀이 행동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사회극놀이
유아의 사회극놀이
[사회극][사회극놀이][사회극(사회극놀이) 기법][사회적 기술]사회극(사회극놀이)의 기본요소...
[사회극][사회극놀이][사회극(사회극놀이) 진행과정]사회극(사회극놀이)의 목표, 사회극(사회...
사회극(소시오드라마, 사회극놀이)의 개념과 특성, 사회극(소시오드라마, 사회극놀이)의 교육...
사회극놀이(사회극, 소시오드라마)의 발달, 사회극놀이(사회극, 소시오드라마)의 정의, 사회...
사회극놀이(소시오드라마, 사회극) 특성과 효과, 사회극놀이(소시오드라마, 사회극) 지도영역...
소시오드라마(사회극, 사회극놀이)의 정의와 기원, 소시오드라마(사회극, 사회극놀이)의 필요...
사회극놀이(소시오드라마) 의의와 목표, 사회극놀이(소시오드라마) 기본요소, 사회극놀이(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