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수학습이론의 역사적 발달
1.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2.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3. 능력별그룹/반 편성 강조 시기
4.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5. 협동학습 시기
6. 구성주의 학습 시기
Ⅱ. 교수학습이론의 종류
1. 수용학습과 발견학습
1) 수용학습
2) 발견학습
2. 유의미학습과 기계적 학습
1) 유의미학습
2) 기계적 학습
3) 유의미학습과 기계적 학습의 차이
Ⅲ. 교수학습이론의 성격
Ⅳ. 교수학습이론의 원리
1. 자발성의 원리
2. 개별화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4. 통합의 원리
5. 직관의 원리
6. 목적의 원리
7. 생활화의 원리
8. 과학성의 원리
9. 자연화의 원리
Ⅴ. 교수학습이론의 주안점
Ⅵ. 교수학습이론의 실제
1. 학습 자료 제작 활용 방안
2. 교사의 역할 증대
1) 정확하게 가르치도록 하자
2) 교사간에 합의된 교육 철학이 있어야 한다
3)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3. 교수․학습 지도안의 필요성
4. 교수․학습 지도안이 갖추어야 할 조건
5.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작성할 때의 참고 문헌
6. 교수 - 학습 지도안의 항목별 작성 요령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교재 연구
5) 학급의 실태
6) 차시별 지도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의 평가 계획
9) 본시 교수 - 학습 활동의 실제
Ⅶ. 향후 교수학습이론의 실천 방안
1. 능동적인 참여를 위한 환경
2. 사회적 참여를 증진시키는 활동
3. 의미 있는 학습활동
4. 기존지식과 연계된 새로운 정보
5. 전략적 학습
6. 자기통제와 반성적 사고
7. 기존지식의 재구조화
8. 암기보다는 이해에 초점
9. 전이를 위한 학습 장려
10. 충분한 학습시간 제공
11. 발달적 차이 및 개인적 차이 인정
12. 학습동기가 충만한 학습자 창출
Ⅷ. 교수학습이론의 시사점
참고문헌
1.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2.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3. 능력별그룹/반 편성 강조 시기
4.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5. 협동학습 시기
6. 구성주의 학습 시기
Ⅱ. 교수학습이론의 종류
1. 수용학습과 발견학습
1) 수용학습
2) 발견학습
2. 유의미학습과 기계적 학습
1) 유의미학습
2) 기계적 학습
3) 유의미학습과 기계적 학습의 차이
Ⅲ. 교수학습이론의 성격
Ⅳ. 교수학습이론의 원리
1. 자발성의 원리
2. 개별화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4. 통합의 원리
5. 직관의 원리
6. 목적의 원리
7. 생활화의 원리
8. 과학성의 원리
9. 자연화의 원리
Ⅴ. 교수학습이론의 주안점
Ⅵ. 교수학습이론의 실제
1. 학습 자료 제작 활용 방안
2. 교사의 역할 증대
1) 정확하게 가르치도록 하자
2) 교사간에 합의된 교육 철학이 있어야 한다
3)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3. 교수․학습 지도안의 필요성
4. 교수․학습 지도안이 갖추어야 할 조건
5.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작성할 때의 참고 문헌
6. 교수 - 학습 지도안의 항목별 작성 요령
1) 단원명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교재 연구
5) 학급의 실태
6) 차시별 지도 계획
7) 지도상의 유의점
8) 단원의 평가 계획
9) 본시 교수 - 학습 활동의 실제
Ⅶ. 향후 교수학습이론의 실천 방안
1. 능동적인 참여를 위한 환경
2. 사회적 참여를 증진시키는 활동
3. 의미 있는 학습활동
4. 기존지식과 연계된 새로운 정보
5. 전략적 학습
6. 자기통제와 반성적 사고
7. 기존지식의 재구조화
8. 암기보다는 이해에 초점
9. 전이를 위한 학습 장려
10. 충분한 학습시간 제공
11. 발달적 차이 및 개인적 차이 인정
12. 학습동기가 충만한 학습자 창출
Ⅷ. 교수학습이론의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식의 재구조화
8. 암기보다는 이해에 초점
9. 전이를 위한 학습 장려
10. 충분한 학습시간 제공
11. 발달적 차이 및 개인적 차이 인정
12. 학습동기가 충만한 학습자 창출
Ⅷ. 교수학습이론의 시사점
참고문헌
Ⅰ. 교수학습이론의 역사적 발달
교육자들은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추세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으나, 그들 나름대로의 세계관과 그들에게 익숙한 학습 형태와 경험에 의해 교수-학습의 이론을 형성해 왔다. 시대에 따라 기존의 이론들이 비판되기도 하고, 비판되어 이미 사라졌던 이론들이 다시 회생하기도 하는 반복의 과정을 겪기도 한다. 교수-학습 이론들은 당시 사회의 환경을 반영하면서 효율적인 수업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교육에 관한 많은 문헌들이 학습 이론을 수없이 밝혀 주고 있으나, 새로운 교사상 정립을 위해 연구하고 있는 Walker와 Lambert(1995) 교수들은 교수-학습의 시대적 발전을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능력별 그룹/반 편성 시기,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협동학습 강조 시기, 구성주의자 시기 등으로 나누었는데, 다음과 같이 그 특성을 요약할 수 있다.
1.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암기를 통한 권장된 지식을 학습하며, 그 지식은 진리이며 변하지 않는다고 간주됨
학습 전략은 지식의 근원으로서의 교사와 지식의 수용자로서의 학생들에게 초점
교사의 권위에 대한 복종이 강조; 중요한 학습 목적으로 민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 육성에 두지만, 교실에서는 학생들에게 민주주의적 과정에 대한 경험이 주어지지 못하거나 반영되지 못함.
Jefferson, Rush, Mann, Swett 등
2.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학습이란 큰 덩어리의 지식이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졌을 때, 또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해서 보상이 주어졌을 때 일어남
학생들의 행동은 측정진단예측이 가능하다는 전제아래 직접교수 전략이 지배적임
교실에서의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해진 학습 목표나 학습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규정하는 것
Mager, Thorndike, Popham, Skinner, Hunter 등
3. 능력별그룹/반 편성 강조 시기
학생들의 능력이 넓은 폭으로 다르다는 행동주의 이론으로부터 나온 가정에 근거하여 능력이 비슷한 학생들에게는 같은 수업을 제공하는 동질적 그룹/반 편성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노력은 낮은 수준의 학생들을 높은 수준의 학생 그룹/반에 끌어올리는 데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그대로 남아 있었음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따라 학습 활동의 형태와 종류도 차이가 있었음
Thorndike, Binet, Dunn & Dunn, Gregoric 등
4.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학생들은 교육과정 목표가 확실하게 묘사되었을 때와 수업과 평가가 그 교육과정과 일치했을 때 많이 배움
능동적인 학습 활동 시간과 학업 성취 정도와는 상관관계에 있음
교수 행위와 학교 요인은 함께 학습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행동주의에 근거함.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대한 교사들의 높은 기대 수준과 학업 수행에 대한 압력이 있을 때 학생들은 높은 성취를 보임
모든 학생들은 학습할 수 있다는 핵심적인 신념이 지배
Lezotte, Edmonds, Brookover, Good, Brophy, Murphy Weinstein, Weil, Hunter 등
5. 협동학습 시기
학생들은 협동적으로 공부하고 지식을 공유했을 때 학습이 향상됨
협동학습을 북돋우는 보상 체제와 개별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인 성장을 평가하는 방법 채택
학습 내용과 더불어 학습하는 과정에도 높은 가치 부여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배우며, 그룹 기능과 상호교류를 강조
교사의 역할이 지식의 제시자(提示者)로부터 지식의 촉진자로 바뀜
수업의 과정이 보다 민주적으로 변화
교육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과 교사들의 수업 형태와 밀접한 관련
학생들의 능력이나 지능은 타고난 성질의 것이 아니라 교육적인 맥락으로 간주됨
Johnson & Johnson, Slavin, Cohen, Costa, Goodlad, Oakes, Eisner, Dora, Egan, Bowers, Flinders, Joyce, Sternberg 등.
6. 구성주의 학습 시기
학생들은 그들의 개인적 가치, 신념, 그리고 경험으로부터 의미 형성 또는 지식을 구성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얻어진 개별적인 인지구조와 능력의 발달이 교수-학습 이론의 기초가 됨
전통적인 사고와는 달리 지식은 학습자 내부에 존재한다고 믿음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
학습자들간의 협동적인 탐구가 교수-학습 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함
복합적인 학습 결과를 기대하고 권유함
평가 또한 단순한 정답만을 기대하지 않고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중점을 둠
인간의 성장은 필수적으로 간주
Dewey, Bruner, Piaget, Vygotsky, Resnick, Perkins, Brooks & Brooks, von Glasersfeld 등
Ⅱ. 교수학습이론의 종류
수용학습, 발견학습(획득 방식에 따라):학교안과 밖에서 학습자가 획득하는 이해의 대부분이 발견되기 보다는 제시되는 것이기 때문
기계적 학습, 유의미 학습(자신의 의미구조에 통합시키는 방식에 따라)
<학습의 종류>
발견학습
시행착오적
수수께끼 풀이
과학자들의
일상적 연구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
문제풀이에 공식을 적용하기
학교실험수업
시청각기자재를 이용한 수업
수용학습
구구단외우기
강의 또는 교제를 통한 학습
개념간의
관계명료화
기계적 학습
유의미 학습
1. 수용학습과 발견학습
-학교교육에서 수용학습의 역할을 강조
1) 수용학습
유의미수용학습이나 기계적 수용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다.
· 유의미 수용학습 : 교사에 의해 주어진 잠재적으로 학습과제나 학습자료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유의미하게 연결 될 때의 수용학습
· 기계적 수용학습 : 학습과제가 잠재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내면화과정에서도 유의미하게 연결 되지 않을 때의 수용학습
2) 발견학습
학습 할 주요내용이 주어지지 않고 학습자에 의하여 발견된다.
발견학습은 학습내용이 먼저 발견되고 그 후에 수용학습에서처럼 내면화된다.
· 기계적 발견학습 : 과학자들이 논리적 추리가 아닌 직관를
8. 암기보다는 이해에 초점
9. 전이를 위한 학습 장려
10. 충분한 학습시간 제공
11. 발달적 차이 및 개인적 차이 인정
12. 학습동기가 충만한 학습자 창출
Ⅷ. 교수학습이론의 시사점
참고문헌
Ⅰ. 교수학습이론의 역사적 발달
교육자들은 사회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추세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으나, 그들 나름대로의 세계관과 그들에게 익숙한 학습 형태와 경험에 의해 교수-학습의 이론을 형성해 왔다. 시대에 따라 기존의 이론들이 비판되기도 하고, 비판되어 이미 사라졌던 이론들이 다시 회생하기도 하는 반복의 과정을 겪기도 한다. 교수-학습 이론들은 당시 사회의 환경을 반영하면서 효율적인 수업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교육에 관한 많은 문헌들이 학습 이론을 수없이 밝혀 주고 있으나, 새로운 교사상 정립을 위해 연구하고 있는 Walker와 Lambert(1995) 교수들은 교수-학습의 시대적 발전을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능력별 그룹/반 편성 시기,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협동학습 강조 시기, 구성주의자 시기 등으로 나누었는데, 다음과 같이 그 특성을 요약할 수 있다.
1. 전통주의적 접근 시기
암기를 통한 권장된 지식을 학습하며, 그 지식은 진리이며 변하지 않는다고 간주됨
학습 전략은 지식의 근원으로서의 교사와 지식의 수용자로서의 학생들에게 초점
교사의 권위에 대한 복종이 강조; 중요한 학습 목적으로 민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 육성에 두지만, 교실에서는 학생들에게 민주주의적 과정에 대한 경험이 주어지지 못하거나 반영되지 못함.
Jefferson, Rush, Mann, Swett 등
2. 행동주의적 접근 시기
학습이란 큰 덩어리의 지식이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졌을 때, 또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해서 보상이 주어졌을 때 일어남
학생들의 행동은 측정진단예측이 가능하다는 전제아래 직접교수 전략이 지배적임
교실에서의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해진 학습 목표나 학습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을 규정하는 것
Mager, Thorndike, Popham, Skinner, Hunter 등
3. 능력별그룹/반 편성 강조 시기
학생들의 능력이 넓은 폭으로 다르다는 행동주의 이론으로부터 나온 가정에 근거하여 능력이 비슷한 학생들에게는 같은 수업을 제공하는 동질적 그룹/반 편성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노력은 낮은 수준의 학생들을 높은 수준의 학생 그룹/반에 끌어올리는 데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그대로 남아 있었음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따라 학습 활동의 형태와 종류도 차이가 있었음
Thorndike, Binet, Dunn & Dunn, Gregoric 등
4. 효율적인 학습/학교 시기
학생들은 교육과정 목표가 확실하게 묘사되었을 때와 수업과 평가가 그 교육과정과 일치했을 때 많이 배움
능동적인 학습 활동 시간과 학업 성취 정도와는 상관관계에 있음
교수 행위와 학교 요인은 함께 학습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행동주의에 근거함.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대한 교사들의 높은 기대 수준과 학업 수행에 대한 압력이 있을 때 학생들은 높은 성취를 보임
모든 학생들은 학습할 수 있다는 핵심적인 신념이 지배
Lezotte, Edmonds, Brookover, Good, Brophy, Murphy Weinstein, Weil, Hunter 등
5. 협동학습 시기
학생들은 협동적으로 공부하고 지식을 공유했을 때 학습이 향상됨
협동학습을 북돋우는 보상 체제와 개별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인 성장을 평가하는 방법 채택
학습 내용과 더불어 학습하는 과정에도 높은 가치 부여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배우며, 그룹 기능과 상호교류를 강조
교사의 역할이 지식의 제시자(提示者)로부터 지식의 촉진자로 바뀜
수업의 과정이 보다 민주적으로 변화
교육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과 교사들의 수업 형태와 밀접한 관련
학생들의 능력이나 지능은 타고난 성질의 것이 아니라 교육적인 맥락으로 간주됨
Johnson & Johnson, Slavin, Cohen, Costa, Goodlad, Oakes, Eisner, Dora, Egan, Bowers, Flinders, Joyce, Sternberg 등.
6. 구성주의 학습 시기
학생들은 그들의 개인적 가치, 신념, 그리고 경험으로부터 의미 형성 또는 지식을 구성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얻어진 개별적인 인지구조와 능력의 발달이 교수-학습 이론의 기초가 됨
전통적인 사고와는 달리 지식은 학습자 내부에 존재한다고 믿음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
학습자들간의 협동적인 탐구가 교수-학습 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함
복합적인 학습 결과를 기대하고 권유함
평가 또한 단순한 정답만을 기대하지 않고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중점을 둠
인간의 성장은 필수적으로 간주
Dewey, Bruner, Piaget, Vygotsky, Resnick, Perkins, Brooks & Brooks, von Glasersfeld 등
Ⅱ. 교수학습이론의 종류
수용학습, 발견학습(획득 방식에 따라):학교안과 밖에서 학습자가 획득하는 이해의 대부분이 발견되기 보다는 제시되는 것이기 때문
기계적 학습, 유의미 학습(자신의 의미구조에 통합시키는 방식에 따라)
<학습의 종류>
발견학습
시행착오적
수수께끼 풀이
과학자들의
일상적 연구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
문제풀이에 공식을 적용하기
학교실험수업
시청각기자재를 이용한 수업
수용학습
구구단외우기
강의 또는 교제를 통한 학습
개념간의
관계명료화
기계적 학습
유의미 학습
1. 수용학습과 발견학습
-학교교육에서 수용학습의 역할을 강조
1) 수용학습
유의미수용학습이나 기계적 수용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다.
· 유의미 수용학습 : 교사에 의해 주어진 잠재적으로 학습과제나 학습자료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유의미하게 연결 될 때의 수용학습
· 기계적 수용학습 : 학습과제가 잠재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내면화과정에서도 유의미하게 연결 되지 않을 때의 수용학습
2) 발견학습
학습 할 주요내용이 주어지지 않고 학습자에 의하여 발견된다.
발견학습은 학습내용이 먼저 발견되고 그 후에 수용학습에서처럼 내면화된다.
· 기계적 발견학습 : 과학자들이 논리적 추리가 아닌 직관를
추천자료
브루너의 발견적 교수-학습 이론의 평가 및 전망
인지주의 학습이론 요약-통찰학습,발견학습,설명적교수학습
교수.학습 이론에 관한 고찰
반 힐레의 기하학습수준이론을 토대로 하여, 피타고라스정리의 교수학습에 대한 사고실험
[교수학습]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교과에 어떻게 적용할까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유형,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역사와 특징, 구...
행동주의학습이론의 발전과정과 학습의의, 행동주의학습이론의 기본전제와 교수학습설계원리,...
구성주의수업(구성주의학습이론)의 원칙, 구성주의수업(구성주의학습이론) 교수학습원리와 이...
[교육학A+] 교수학습에 입각한 미술지도안 (커뮤니케이션 기본 모형,Skinner,구성주의 학습이...
유아교육 교수-학습 이론들 가운데 놀이를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활용하려는 이론이...
행동주의,인지주의,구성주의 교수학습방법에서 평생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 학습 방법 (스키...
사회학습이론,교수학습,반두라,반두라연구,사회학습,교육,사회교육(2)
Vygotsky와 교수-학습 이론 (근접발달영역과 그 적용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