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에티쿠스를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모에티쿠스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모 에티쿠스 - 윤리적 인간의 탄생
1. 너 자신을 알라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2. 한 이상주의자의 절망과 동경 플라톤
3. 행복이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
4. 삶의 덧없음과 도덕의 숭고함 스토아 학파
5. 참된 쾌락이란 무엇인가 에피쿠로스
6. 참된 종교와 참된 행복 아우구스티누스
9. 의무의 윤리학 칸트
10. 법칙 속에 있는 선 칸트

본문내용

나 방종한 행위에 빠져든다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크라테스는 악덕과 방종을 무지(amathia)의 소산이라 보았으며 절제의 앎(sophia)이나 인식(episteme)과 같은 것이라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윤리적 덕의 본질은 곧 앎이었던 것입니다. 행복하고 선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참된 앎이 요구됩니다. 소크라테스의 주장은, 선을 향한 우리의 노력이 먼저 선이 무엇인지를 바르게 인식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2. 한 이상주의자의 절망과 동경 플라톤
플라톤주의는 이상주의의 원형입니다. 트라시마코스는 현실주의자입니다. 트라시마코스는 불의한 사회 속에 사는 사람들의 평균적 의식을 대변하는 것입니다. 어쩌면 그런 트라시마코스는 현실에 대하여 절망하는 플라톤 자신의 다른 모습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똑같이 현실에 대하여 비관적 태도를 취한다 하더라도 이상주의자는 본질적으로 두 가지 점에서 현실주의자와 다릅니다. 첫째로 이상주의자는 현실에 대하여 절망하되, 결코 불의한 현실을 정당하고 필연적인 것으로 승인하고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둘째로 이상주의자는 불의가 현실을 지배한다는 것을 사실로서 인정한다 하더라도 불의가 현실의 존립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존재원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리하여 이상주의자에게 현실은 평면이 아니라 깊이입니다. 그리고 이상주의자는 눈앞에 드러난 불의한 현실너머에 있는 참된 현실을 향한 초월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입니다.
3. 행복이란 무엇인가 아리스토텔레스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이라는 유명한 그림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이상주의자인 플라톤에 대비시켜 땅 위의 경험적 현실을 중요시한 철학자로 그려보이고 있습니다. 트라시마코스적인 의미에서는 아니라 할지라도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동의하지 않았던 또 다른 현실주의자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윤리학의 궁극적인 관심은 좁은 의미의 선이 아니라 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좋음입니다. 일면적인 선한 삶이 아니라 총체적으로 좋은 삶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추구한 이상적 삶이었던 것입니다. “모든 기술과 모든 학문적 연구, 마찬가지로 모든 행위와 선택은 어떤 좋은 것을 지향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좋은 것이란 모든 것이 지향하는 것이라는 주장은 적절한 것이라 하겠다.” 좋음에 대한 정의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좋음을 다분히 주관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설은 매우 인간적인 데가 있습니다. 좋은 것을 정의하면서 각자가 바라는 것이라 한 것은 뜻깊은 일이라 하겠습니다. 선이든 좋은 것이든 그 모든 것은 마지막에는 우리 자신의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것이어야만 합니다. 오직 그런 경우에만 선은 우리의 자발적 의욕의 대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좋은 것은 때마다 행위의 목표이지만 대개의 경우 동시에 또 다른 목표의 수단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모든 목표는 때마다 좋은 것이므로, 우리가 삶에서 추구해야 할 궁극목적은 가장 좋은 것, 모든 좋은 것들 가운데서 최고로 좋은 것이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3.18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7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