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학습문제의 요소
1. 학습전 요인
1) 학습동기
2) 학습 유능감의 문제
2. 학습중 요인
1) 독서능력(조직화 전략)
2) 집중 전략 문제
3) 기억력 전략문제
4) 시간관리 문제
3. 학습후 요인
1) 시험전략의 문제
2) 시험불안의 문제
3) 전반적 자신감
Ⅱ. 학습문제제시의 중요성
Ⅲ. 학습문제제시의 주의점
Ⅳ. 학습문제제시의 사례
1. 멀티미디어의 이용
2. 소리정보
3. 문자정보
4. 영상정보
1) 그림
2) 정지사진
3) 애니메이션
4) 비디오 영상
Ⅴ. 학습문제제시의 방법
1. 국어과
1) 학습목표
2) 학습문제
2. 사회과
1) 학습목표
2) 학습문제
참고문헌
1. 학습전 요인
1) 학습동기
2) 학습 유능감의 문제
2. 학습중 요인
1) 독서능력(조직화 전략)
2) 집중 전략 문제
3) 기억력 전략문제
4) 시간관리 문제
3. 학습후 요인
1) 시험전략의 문제
2) 시험불안의 문제
3) 전반적 자신감
Ⅱ. 학습문제제시의 중요성
Ⅲ. 학습문제제시의 주의점
Ⅳ. 학습문제제시의 사례
1. 멀티미디어의 이용
2. 소리정보
3. 문자정보
4. 영상정보
1) 그림
2) 정지사진
3) 애니메이션
4) 비디오 영상
Ⅴ. 학습문제제시의 방법
1. 국어과
1) 학습목표
2) 학습문제
2. 사회과
1) 학습목표
2) 학습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 : (인지) 산과 들에 사는 동식물의 이름과 특징 알아보기
(기능) 동물과 식물의 특징을 여러 방법으로 나타내 보기
다. 학습문제를 가급적이면 학생의 발표를 통해서 나온 내용을 판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학생들을 통해서 학습문제가 노출하지 않으면 교사가 직접 바로 제시할 수 있다.
Ⅳ. 학습문제제시의 사례
1. 멀티미디어의 이용
멀티미디어 자료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선전 광고물 등 모든 미디어에서 빠짐없이 접할 수 있다. 즉, 소리정보와 문자정보, 그리고 영상정보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2. 소리정보
소리는 정보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킨다. 예를 들어 체육교과에서 축구를 가르치는 시간에 축구 선수가 골을 넣는 사진을 보여주며 “오늘은 축구를 공부하겠어요”라고 일방적으로 학습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녹음기에서 아나운서가 ‘슛 골인’ 하며 관중이 환호하는 함성이 들리는 것이 아이들로 하여금 축구에 대해 많은 상상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3. 문자정보
교실에 멀티미디어 시설이 있다면 애를 써서 칠판에 색 분필을 이용하여 공부할 문제를 쓰지 말자. 미리 준비하여 프레젠테이션을 하면 좋겠지만, 준비하지 못했다고 해도 즉석 글자체나 글씨의 크기, 글자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공부할 문제를 제시하는 방법이 있으며, 신문이나 잡지에서 공부할 문제에 해당되는 글자 찾기를 하여 아이들이 직접 공부할 문제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4. 영상정보
1) 그림
시각적 효과를 가장 빨리 나타내는 것은 그림이다. 아이들이 쉽고 정확하게 볼 수 있는 큰 그림이 좋고, 그림의 크기가 작다면 실물화상기를 이용해서 확대하여 보여주고,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하여 그림을 작게 보여주다가 점점 크게 보여주거나 그림을 가리고 있다가 조금씩 보여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아이들이 알아볼 수 없는 작은 그림은 오히려 비효과적이다.
2) 정지사진
교사가 사진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신문, 잡지, 책 등에서 정지사진을 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에서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어도 좋고, 실물화상기를 이용하여 확대하며 보여주는 것이 좋다. 정지사진은 일부분만 보이고 숨겨진 부분을 그리게 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3)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이다. 이미 편집 정리된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수업 상황에 딱 맞아떨어지는 애니메이션은 좀처럼 구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학습문제 제시방법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외하면 좀 섭섭하지 않을까? 이럴 경우에는 교사가 직접 만들어 사용하자.
4) 비디오 영상
“백 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비디오 영상을 이야기한 것이 아닐까. 요즘은 교육방송뿐만 아니라, 많은 교육자료 회사에서 다투어 좋은 비디오 영상을 제작하기 때문에 구하려는 생각이 있으면 쉽게 구할 수도 있다.
Ⅴ. 학습문제제시의 방법
대부분의 교과에는 학생들이 곧 바로 학습에 돌입할 수 있는 학습문제들이 제시되고 있고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면 학습목표와 문제를 빨리 도출해 낼 수 있다.
1. 국어과
5학년 읽기 1단원 1차시
1) 학습목표
비유가 나타나 있는 시를 읽고, 시의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2) 학습문제
시를 읽고 비유적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기
2. 사회과
5학년 1학기 1단원 2-4차시
1) 학습목표
- 평야, 산간, 분지, 해안, 도시 지형의 특징을 알고 , 지형과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이해한다.(인지)
- 각 지형과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이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 할 수 있다.(기능)
- 자연 환경을 바르고 슬기롭게 이용하려는 태도를 가진다.(태도)
2) 학습문제
2차시(사람들이 살고 있는 여러 곳의 땅 모양과 사람들이 사는 모습은 서로 어떻게 다를까?)
3차시(가상 지형도를 보고 살기를 희망하는 지역에 대해 토론해 보기)
4차시(우리나라 인구 분포도와 지형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기)
참고문헌
* 김규(1993), 방송매체론, 서울 : 법문사
* 김영채(1995), 사고와 문제해결심리학, 박영사
* 박숙희·염명숙(2002),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 학지사
* 오승연(1993), 국민학교 아동의 충동성과 부적응 행동 및 가정환경과의 관계연구, 미발표 한국 교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임철일(1997), 문제해결 시나리오 교수학습 환경 설계 모형, 한국교육공학회
* 황윤한(1999), 잠은 학교, 공부는 학원, 학교교육 공동화 가능성, 미래교육신문
(기능) 동물과 식물의 특징을 여러 방법으로 나타내 보기
다. 학습문제를 가급적이면 학생의 발표를 통해서 나온 내용을 판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학생들을 통해서 학습문제가 노출하지 않으면 교사가 직접 바로 제시할 수 있다.
Ⅳ. 학습문제제시의 사례
1. 멀티미디어의 이용
멀티미디어 자료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선전 광고물 등 모든 미디어에서 빠짐없이 접할 수 있다. 즉, 소리정보와 문자정보, 그리고 영상정보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2. 소리정보
소리는 정보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킨다. 예를 들어 체육교과에서 축구를 가르치는 시간에 축구 선수가 골을 넣는 사진을 보여주며 “오늘은 축구를 공부하겠어요”라고 일방적으로 학습문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녹음기에서 아나운서가 ‘슛 골인’ 하며 관중이 환호하는 함성이 들리는 것이 아이들로 하여금 축구에 대해 많은 상상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3. 문자정보
교실에 멀티미디어 시설이 있다면 애를 써서 칠판에 색 분필을 이용하여 공부할 문제를 쓰지 말자. 미리 준비하여 프레젠테이션을 하면 좋겠지만, 준비하지 못했다고 해도 즉석 글자체나 글씨의 크기, 글자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공부할 문제를 제시하는 방법이 있으며, 신문이나 잡지에서 공부할 문제에 해당되는 글자 찾기를 하여 아이들이 직접 공부할 문제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4. 영상정보
1) 그림
시각적 효과를 가장 빨리 나타내는 것은 그림이다. 아이들이 쉽고 정확하게 볼 수 있는 큰 그림이 좋고, 그림의 크기가 작다면 실물화상기를 이용해서 확대하여 보여주고,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하여 그림을 작게 보여주다가 점점 크게 보여주거나 그림을 가리고 있다가 조금씩 보여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아이들이 알아볼 수 없는 작은 그림은 오히려 비효과적이다.
2) 정지사진
교사가 사진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신문, 잡지, 책 등에서 정지사진을 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멀티미디어에서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어도 좋고, 실물화상기를 이용하여 확대하며 보여주는 것이 좋다. 정지사진은 일부분만 보이고 숨겨진 부분을 그리게 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3)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이다. 이미 편집 정리된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수업 상황에 딱 맞아떨어지는 애니메이션은 좀처럼 구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학습문제 제시방법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외하면 좀 섭섭하지 않을까? 이럴 경우에는 교사가 직접 만들어 사용하자.
4) 비디오 영상
“백 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비디오 영상을 이야기한 것이 아닐까. 요즘은 교육방송뿐만 아니라, 많은 교육자료 회사에서 다투어 좋은 비디오 영상을 제작하기 때문에 구하려는 생각이 있으면 쉽게 구할 수도 있다.
Ⅴ. 학습문제제시의 방법
대부분의 교과에는 학생들이 곧 바로 학습에 돌입할 수 있는 학습문제들이 제시되고 있고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면 학습목표와 문제를 빨리 도출해 낼 수 있다.
1. 국어과
5학년 읽기 1단원 1차시
1) 학습목표
비유가 나타나 있는 시를 읽고, 시의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2) 학습문제
시를 읽고 비유적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기
2. 사회과
5학년 1학기 1단원 2-4차시
1) 학습목표
- 평야, 산간, 분지, 해안, 도시 지형의 특징을 알고 , 지형과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이해한다.(인지)
- 각 지형과 관련된 자료를 모으고, 이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 할 수 있다.(기능)
- 자연 환경을 바르고 슬기롭게 이용하려는 태도를 가진다.(태도)
2) 학습문제
2차시(사람들이 살고 있는 여러 곳의 땅 모양과 사람들이 사는 모습은 서로 어떻게 다를까?)
3차시(가상 지형도를 보고 살기를 희망하는 지역에 대해 토론해 보기)
4차시(우리나라 인구 분포도와 지형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기)
참고문헌
* 김규(1993), 방송매체론, 서울 : 법문사
* 김영채(1995), 사고와 문제해결심리학, 박영사
* 박숙희·염명숙(2002),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 학지사
* 오승연(1993), 국민학교 아동의 충동성과 부적응 행동 및 가정환경과의 관계연구, 미발표 한국 교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임철일(1997), 문제해결 시나리오 교수학습 환경 설계 모형, 한국교육공학회
* 황윤한(1999), 잠은 학교, 공부는 학원, 학교교육 공동화 가능성, 미래교육신문
추천자료
학교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와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교육(환경과)의 성격과 목표, 중학교(중등) 환경교육(환경과)의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
중등(중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특성과 목표체계표, 중등(중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학년...
중등(중학교) 과학교육(과학과) 목표, 중등(중학교) 과학교육(과학과) 학습지도원리와 학습지...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국어교육][국어]국어과(국어교육)의 특징,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 국어과(국어교육)의 내...
무용교육(무용지도, 무용학습)의 목표와 내용, 무용교육(무용지도, 무용학습)의 가치와 현황,...
초등학교 영어교육(초등영어)의 목표와 필요성, 초등학교 영어교육(초등영어)의 학습모형, 초...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목표와 이론적 배경,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현황과 문제...
[소비자교육][소비자교육 내용][소비자교육 교수학습방법]소비자교육의 개념, 소비자교육의 ...
[환경교육][환경교육 방법][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목표, 환경...
[환경교육][환경교육 교수학습자료]환경교육의 성격, 환경교육의 목표, 환경교육의 현황, 환...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기업보육프로그램 - 삼성어린이집 프로그램(개발 배경, 보육 ...
[교육敎育학개론] 교수·학습의 과정의 이해(수업목표, 출발점 행동, 수업절차, 성취도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