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모형 및 방법
참고문헌
2. 이론적 고찰
3. 연구의 모형 및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s for Effective Total Quality Management Education
1. 서론
Deming(1986)은 효과적인 품질경영을 위한 명제로 직무에 대한 훈련체계 수립 등 14가지를 제시하였고 Dotchin & Oakland(1992)는 종합적 품질경영(TQM)을 위해 경영자가 채택해야 할 조직 내 요인을 고객-공급업자 관계를 인식시키는 종업원 교육, 지속적인 재교육훈련 등 10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Saraph et al.(1989)는 기존의 품질 경영관련 여러 원칙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TQM 성공요인으로 교육ㆍ훈련 등 8개의 범주를 제시하였고 이후 Porter & Parker(1993)은 기존 학자들의 품질경영에 대한 저서, 사례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품질경영 성공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교육훈련을 포함한 8가지를 제시하였다. Ahire 등(1996)은 문헌연구를 통해 TQM 성공요인을 종업원 훈련 등 12개의 요인을 규명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처럼 많은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들을 통해 TQM 실행에 있어서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교육훈련을 제시하고 있다.
성공적인 TQM은 도입단계, 정착단계, 그리고 통합단계로 실행된다. 초기 단계인 도입단계는 조직 구성원의 의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로 조직원의 동기 유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조직 구성원의 동기 유발을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도입단계, 정착단계, 그리고 통합단계에서도 종업원의 능력개발이 전제되어야 된다. 그 능력 개발의 선행 요건으로 교육훈련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전의 연구들은 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지적하고 있으나 교육의 실질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실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교육훈련의 실질적인 유효성에도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TQM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올바른 TQM교육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QM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교육훈련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QM 교육훈련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과 교육성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현재 우리 나라 기업들에서 실행되고 있는 TQM교육훈련의 관행과 효과를 조사하여 이 연구모형을 검증한다. 이 실증분석 결과는 TQM 교육훈련에 대해 실무적이고 활용 가능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이론적 고찰
2.1. TQM교육 내용 범주에 대한 연구
Juran(1989)은 관리자에게 필요한 교육의 범주를 품질계획, 품질관리, 그리고 품질개선으로 분류하였고, Goetsch 등(1996)은 이 세 범주에 대한 세부 교과 내용을 기술하였다. Brown, Hitchcock, & Willard등(1994)은 그 동안 제기된 교육훈련의 내용을 품질개념에 관련된 교육훈련, 품질도구에 관련된 교육훈련, 특정 주제에 관련된 교육훈련, 그리고 리더쉽에 관련된 교육훈련 등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품질개념의 교육훈련은 종업원들에게 품질에 대한 개념과 품질이 조직전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TQM철학, 품질과 고객만족에 대한 기업의 접근방법, 고객에 초점을 맞춘 기업화 등이 포함된다. 품질도구 교육훈련은 품질관련 기본도구들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들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팀 리더 기술, 체계적 문제해결 모델, 원인분석, 해결책/공정개선의 결정, 기본적인 품질도구, 기업공정의 분석, 통계적 공정통계, 그리고 실험계획법 등이 포함된다. 특정주제에 대한 교육훈련은 직무와 관련된 품질사항과 주제들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QFD, ISO 9000, 볼드리지 상 관련 내용, 벤치마킹,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지원부서의 TQM 실행, 그리고 고객만족도의 측정 등이 포함된다. 리더쉽 교육훈련은 TQM을 실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경영자들에 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높은 성과를 유지하는 조직의 구축, 전략적 품질계획, 경영자의 리더쉽과 TQM, 그리고 권한 위임받은 종업원의 리드 등이 포함된다.
Grandzol & Gershon(1997)은 효과적인 TQM교육 구성요소 리스트를 대학 내 교육과정과 비유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교육목적 (명쾌한 비젼, 전략계획), 학생중심 교육(고객초점, 권한 위임, 불안감의 제거), 협력적 학습(새로운 철학 교육, 팀
1. 서론
Deming(1986)은 효과적인 품질경영을 위한 명제로 직무에 대한 훈련체계 수립 등 14가지를 제시하였고 Dotchin & Oakland(1992)는 종합적 품질경영(TQM)을 위해 경영자가 채택해야 할 조직 내 요인을 고객-공급업자 관계를 인식시키는 종업원 교육, 지속적인 재교육훈련 등 10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Saraph et al.(1989)는 기존의 품질 경영관련 여러 원칙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TQM 성공요인으로 교육ㆍ훈련 등 8개의 범주를 제시하였고 이후 Porter & Parker(1993)은 기존 학자들의 품질경영에 대한 저서, 사례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품질경영 성공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교육훈련을 포함한 8가지를 제시하였다. Ahire 등(1996)은 문헌연구를 통해 TQM 성공요인을 종업원 훈련 등 12개의 요인을 규명하고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처럼 많은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들을 통해 TQM 실행에 있어서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교육훈련을 제시하고 있다.
성공적인 TQM은 도입단계, 정착단계, 그리고 통합단계로 실행된다. 초기 단계인 도입단계는 조직 구성원의 의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로 조직원의 동기 유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조직 구성원의 동기 유발을 위해서는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도입단계, 정착단계, 그리고 통합단계에서도 종업원의 능력개발이 전제되어야 된다. 그 능력 개발의 선행 요건으로 교육훈련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전의 연구들은 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지적하고 있으나 교육의 실질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실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교육훈련의 실질적인 유효성에도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TQM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올바른 TQM교육에 대한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QM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교육훈련의 구체적인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QM 교육훈련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과 교육성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현재 우리 나라 기업들에서 실행되고 있는 TQM교육훈련의 관행과 효과를 조사하여 이 연구모형을 검증한다. 이 실증분석 결과는 TQM 교육훈련에 대해 실무적이고 활용 가능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이론적 고찰
2.1. TQM교육 내용 범주에 대한 연구
Juran(1989)은 관리자에게 필요한 교육의 범주를 품질계획, 품질관리, 그리고 품질개선으로 분류하였고, Goetsch 등(1996)은 이 세 범주에 대한 세부 교과 내용을 기술하였다. Brown, Hitchcock, & Willard등(1994)은 그 동안 제기된 교육훈련의 내용을 품질개념에 관련된 교육훈련, 품질도구에 관련된 교육훈련, 특정 주제에 관련된 교육훈련, 그리고 리더쉽에 관련된 교육훈련 등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품질개념의 교육훈련은 종업원들에게 품질에 대한 개념과 품질이 조직전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TQM철학, 품질과 고객만족에 대한 기업의 접근방법, 고객에 초점을 맞춘 기업화 등이 포함된다. 품질도구 교육훈련은 품질관련 기본도구들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들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팀 리더 기술, 체계적 문제해결 모델, 원인분석, 해결책/공정개선의 결정, 기본적인 품질도구, 기업공정의 분석, 통계적 공정통계, 그리고 실험계획법 등이 포함된다. 특정주제에 대한 교육훈련은 직무와 관련된 품질사항과 주제들에 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QFD, ISO 9000, 볼드리지 상 관련 내용, 벤치마킹,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지원부서의 TQM 실행, 그리고 고객만족도의 측정 등이 포함된다. 리더쉽 교육훈련은 TQM을 실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경영자들에 대한 교육이다. 이 범주에는 높은 성과를 유지하는 조직의 구축, 전략적 품질계획, 경영자의 리더쉽과 TQM, 그리고 권한 위임받은 종업원의 리드 등이 포함된다.
Grandzol & Gershon(1997)은 효과적인 TQM교육 구성요소 리스트를 대학 내 교육과정과 비유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교육목적 (명쾌한 비젼, 전략계획), 학생중심 교육(고객초점, 권한 위임, 불안감의 제거), 협력적 학습(새로운 철학 교육, 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