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해석적 패러다임의 발생과 성격
Ⅱ. 해석학적 접근이론
•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민속방법론
• 교환이론
Ⅲ. 해석적 접근에 대한 비판
Ⅳ.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Ⅱ. 해석학적 접근이론
• 상징적 상호작용론
• 민속방법론
• 교환이론
Ⅲ. 해석적 접근에 대한 비판
Ⅳ.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본문내용
생들의 대응전략은 공부하기, 땡땡이, 웃기, 꾸물대기, 빈둥거리기, 재빠르게 하기, 소란 피우기, 친근하게 대하기, 가만두기, 잡담하기, 위협매수, 떠보기이다.
이와 같은 전략은 물론 다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생 입장에서는 호응적(supportive), 대항적(oppositional), 분리적(detached)전략이 있는가 하면, 교사 입장에서는 동기유발적 전략(motivational strategies), 통제전략(control strategies), 정체유지전략(identity-maintainign strategies), 교육적 전략(pedagogical strategies) 등이 있을 수 있다(Blacklege and Hunt). 한편 로서와 하르(Rosser and Harr)는 교사의 행동이 일방적인 지배의 형태가 아니라 학생들과의 상호관계 아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사는 학생들이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만약 교사가 이를 거부할 때 학생들은 두 가지 전략을 구사한다. 하나는 상호성(reciprocity)의 전략으로 거부당한 만큼 거부하는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균형(equilibrium)전략으로 대안을 제시하는 전략이다.
일반적으로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은 협상(negotiation)전략으로, 양편 모두가 동의하는 교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섭도 합의 도달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개방적 교섭이 있고, 양보가 곤란하고 갈등이 표출되는 폐쇄적 교섭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에 관한 연구는, 교사들의 전략에서 가장 뚜렷한 것은 통제전략인데, 사소한 일에는 허용 적이면서 중요한 일에는 엄격하게 학생을 다루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생각한다. 교사들은 엄하면서 동시에 잘해주며, 민주적으로 대하면서도 동시에 독재적이지만, 언제 민주적으로 대해주고 언제 엄하게 대해야 하는지를 구분할 줄 아는 교사를 능숙한 교사라도 생각한다. 대개의 교사들은 학기 초에 꽉 조여 놓으면 계속 효과를 본다고 말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을 교사의 뜻대로 다룰 수 있느냐 여부가 유능한 교사임을 판단하는 잣대가 되는 셈이다.
< 목 차 >
( 교육사회학의 해석학적 접근 )
Ⅰ. 해석적 패러다임의 발생과 성격
Ⅱ. 해석학적 접근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민속방법론
교환이론
Ⅲ. 해석적 접근에 대한 비판
Ⅳ.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이와 같은 전략은 물론 다른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생 입장에서는 호응적(supportive), 대항적(oppositional), 분리적(detached)전략이 있는가 하면, 교사 입장에서는 동기유발적 전략(motivational strategies), 통제전략(control strategies), 정체유지전략(identity-maintainign strategies), 교육적 전략(pedagogical strategies) 등이 있을 수 있다(Blacklege and Hunt). 한편 로서와 하르(Rosser and Harr)는 교사의 행동이 일방적인 지배의 형태가 아니라 학생들과의 상호관계 아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사는 학생들이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만약 교사가 이를 거부할 때 학생들은 두 가지 전략을 구사한다. 하나는 상호성(reciprocity)의 전략으로 거부당한 만큼 거부하는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균형(equilibrium)전략으로 대안을 제시하는 전략이다.
일반적으로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략은 협상(negotiation)전략으로, 양편 모두가 동의하는 교환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섭도 합의 도달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개방적 교섭이 있고, 양보가 곤란하고 갈등이 표출되는 폐쇄적 교섭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에 관한 연구는, 교사들의 전략에서 가장 뚜렷한 것은 통제전략인데, 사소한 일에는 허용 적이면서 중요한 일에는 엄격하게 학생을 다루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생각한다. 교사들은 엄하면서 동시에 잘해주며, 민주적으로 대하면서도 동시에 독재적이지만, 언제 민주적으로 대해주고 언제 엄하게 대해야 하는지를 구분할 줄 아는 교사를 능숙한 교사라도 생각한다. 대개의 교사들은 학기 초에 꽉 조여 놓으면 계속 효과를 본다고 말한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을 교사의 뜻대로 다룰 수 있느냐 여부가 유능한 교사임을 판단하는 잣대가 되는 셈이다.
< 목 차 >
( 교육사회학의 해석학적 접근 )
Ⅰ. 해석적 패러다임의 발생과 성격
Ⅱ. 해석학적 접근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민속방법론
교환이론
Ⅲ. 해석적 접근에 대한 비판
Ⅳ.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