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산 페르민 축제report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페인 산 페르민 축제re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선택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놀이 기구 시설을 설치해 놓은 곳이라든지, 캐릭터 분장의 거인이 방망이를 들고 사람들을 때리면서 다니는 것은 어린 아이들에게도 충분한 재미거리를 주며, 바스크 지방의 전통 스포츠인 장작패기나 살사와 같은 라틴 음악이나 재즈 연주회 등 젊은이들 취향의 행사도 여러 종류 있으며, 그밖에도 교회에서 행해지는 종교행사, 전통 민속음악, 무용이나 고전음악 연주회 등과 같은 150개 이상의 다양한 행사들이 도시 곳곳에서 24시간 열린다.
3.2. 개방적 축제 분위기
산 페르민 축제는 방문객들에게 매우 개방적이고 우호적인 축제로 알려져 있는데 204 시간 동안의 축제 기간 중에는 인종적 편견은 사라지고, 도시 주민, 외지인 할 것 없이 누구나 어느 곳에서는 먹고 마시고 즐길 수 있다. 축제 기간 중에는 춤, 예배 종소리들, 술잔치 등이 범벅이 되어 거리 어느 곳에서도 소란스러운 파티가 벌어지는데 대부분 잘 수용되는 편이며, 축제에 참여한 이들은 지역 주민 외지인 할 것 없이 축제의 주인공이 된 느낌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축제 기간 중엔 노숙이 허용되므로 팜플로나 시에 있는 숙박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게 되며, 숙박할 곳을 구하지 못한 관광객들은 길, 공원, 바, 식당 등 어느 곳에서든 잠을 자게 된다. 이러한 스페인 특유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분위기는 자신들의 나라에서 경험하지 못한 축제의 분위기를 경험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앵글로색슨 계통의 합리적 이성을 추구하는 나라의 관광객들에게는 이러한 자유스러운 분위기가 큰 매력이 아닐 수 없다.
3.3. 국제적 홍보 효과
소몰이 행사의 경우 상당한 위험이 따르는 행사로 1924년부터 1997년사이에 이 축제 기간 중 사망한 사람이 14명이나 되며 200명 이상의 부상자가 생기기도 하였다. 사망자들 대부분은 소의 특성을 잘 모르는 앵글로 색슨계 외지인 관광객으로, 팜플로나 시에서는 이중 보호 벽을 설치하고 소몰이 하는 곳곳에 의료진들을 대기시키는 등 안전을 위한 많은 배려를 하고 있다. 또한 안전수칙을 정하여 관광객들에게 철저하게 이를 지킬 것을 홍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몰이 행사에서 매년 생기는 사망자 사고는 국제적 뉴스거리가 되고 있으며, 그러나 이러한 뉴스가 오히려 축제를 홍보하는 기능을 하기도 하여 스릴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더욱 자극하기도 한다.
산 페르민 축제가 인구 20만이 채 안되는 나바라의 작은 도시의 축제에서 세계적 축제로 발 돋음 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은 미국의 작가 헤밍웨이의 역할이 다른 무엇보다도 컸다고 할 수 있다. 산 페르민을 배경으로 한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뿐 아니라 투우사의 세계를 그린 ‘오후의 죽음’(1932) 등은 그의 명성과 스페인에 대한 매력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산 페르민 축제를 통해 주민들이 더 열정적으로 즐기는 축제를 경험해 본 느낌이었다.
실제로 한국에서는 이러한 큰 축제가 없어서 사람들이 불꽃놀이나 벚꽃놀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를 이용한 다양한 축제를 만들어나간다면 세계적 관광지로의 변신을 기대해 볼만 할 것이다.
카톨릭 국가의 산 페르민을 기리는 축제로 시작하여 다양한 행사를 만들고, 고유의 투우경기를 통해 세계 곳곳의 사람들에게 각인을 시키기 때문에 직접 먼 나라에서부터 찾아오는 사람으로 인한 관광효과와 주변 상점들의 발달을 좌우했다고 보여 진다. 다양한 축제의 면을 발견한 사람들도 자신의 나라로 돌아가서 또 한번의 입소문으로 다른 사람들이 관광을 계속한다면 몇 백 년이 흘러도 스페인만의 독특한 축제라고 인상에 남을 것이다.
자료를 찾으면서 투우에 대한 반발 효과도 보였지만, 사람들은 이것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는 생각이 들고 서로의 견해를 좁혀서 더욱 아름다운 문화의 장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그저 하나의 볼거리로 그치는 축제에서 벗어나 직접 손발로 뛰는 이러한 행사를 한국에서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여러 가지 행사를 가서도 행사내용은 하나로 비춰지는 이러한 것들이 관광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지는 것 같았다.
앞으로 좀 더 신경을 써서 시 혹은 도에서도 예산을 높이고, 홍보에 도움을 주어 여러 나라에서의 한국의 관심이 깊어지길 바라고 이 글을 마친다.
Ⅳ. 참고문헌
1. 네이버 지식in
2. 네이버 백과사전
3. 하나투어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3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1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