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독일문학의 역사
Ⅱ. 독일문학의 연구
Ⅲ. 독일문학과 소녀문학
1. 소녀문학의 배경
2. 소녀문학의 범주
1) 소녀가 주인공인 작품
2) 소녀가 주 독자층인 작품
Ⅳ. 독일문학과 전쟁문학
Ⅴ. 독일문학과 사실주의
Ⅵ. 독일문학과 청년독일파
Ⅶ. 독일문학과 쉴러
1. 인간의 미학적 교육
2. 소박문학과 감상문학
참고문헌
Ⅱ. 독일문학의 연구
Ⅲ. 독일문학과 소녀문학
1. 소녀문학의 배경
2. 소녀문학의 범주
1) 소녀가 주인공인 작품
2) 소녀가 주 독자층인 작품
Ⅳ. 독일문학과 전쟁문학
Ⅴ. 독일문학과 사실주의
Ⅵ. 독일문학과 청년독일파
Ⅶ. 독일문학과 쉴러
1. 인간의 미학적 교육
2. 소박문학과 감상문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료적 충동은 “삶 Leben”이라고 할 수 있고, 형식충동의 대상은 “형태 Gestalt”라고 한다면, 유희충동의 대상은 “생동 형태 lebende Gestalt”로서 넓은 의미에서의 “아름다움”을 지칭한다.
그러한 충동을 통해 인간은 “자기 인간성의 극치로서의 미 Die Schonheit, als Konsummation seiner Menschheit”를 추구하는 바, 이성은 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미와 더불어서는 오직 유희만을 해야하고, 그가 유희를 한다면 오직 미와 더불어 해야 한다. der Mensch soll mit der Schonheit nur spielen, und er soll nur mit der Schonheit spielen.” 쉴러는 이어서 인간은 유희를 할 때 전인적 全人的 모습을 되찾게 된다는 것과 그것은 인간성 회복을 가리킨다고 시사하고 있다. 반면, 이 선언의 이면에는 인간은 미의 영역이 아닌 다른 실제적 영역들에서는 유희적 태도를 취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가 또한 깔려있는 것이다.
2. 소박문학과 감상문학
인간의 미학적 교육에 관한 논문과 거의 같은 시기에 구상되었으나 그 보다는 조금 늦게 집필이 완성된 소박문학과 감상문학에 대한 논문은, 해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고대 문화와 근대 문화 간의 대화 또는 18 세기 말의 시대상황에 처한 시인의 ‘자기 이해’라고 간주할 수 있겠다.
쉴러는 그의 소박문학 논의에서 먼저 유년시절의 이상적 의미를 되새기며, 그것을 자연과 진리에 대한 동경과 연계 짓고, 더 나아가서는 고대인 특히 희랍인의 존재방식과 자연을 내용으로 한 문화의 완전성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다음, 쉴러는 그의 시대를 대변할 입장을 조심스럽게 개진한다. 쉴러의 대주제는 한 편으로는 17 세기에 일었던 ‘고대근대의 논쟁’을 연상시키고, 다른 한 편에서는 소박시인으로서의 괴테와 감상시인으로서의 자기 자신과의 ‘해석학적 대화’를 담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감상적 유형’의 논의는 독일 낭만주의의 담론을 선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 두 유형의 비교와 그 논의의 단초는 평범한 관찰로부터 출발한다. 예컨대 우리가 어느 사람의 행동을 보고 유치하다고 판단하면, 그것은 오성의 판단으로서 우리에게 우월감을 안겨주지만, 반대로 그 사람의 단순성은 그가 지닌 천진하고 참된 마음에서 울어나는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것은 천진성을 덕목으로 받아들이는 이성의 요청이다. 즉 쉴러는 천진성을 유치함과 구별하여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소박함은 뜻밖에 마주치게 되는 천진성으로서 아주 엄밀한 의미에서는 실제의 유년시절에다 귀속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소박함은 기교적 또는 가공적인 것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그 완성된 양상을 천재의 예에서 찾고 있다: “모든 참다운 천재는 소박해야 하지, 그렇지 않으면 천재가 아니다. 그의 소박성만이 그를 천재로 만드는 것이다. 쉴러는 소박한 시인의 유형으로 호머를 비롯한 고대 시인들과 근대에서는 괴테와 셰익스피어를 들고 있다. 물론 소박한 유형은 고대에서, 감상적 유형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것으로 관찰되지만, 그 근본적 차이를 시대적 상황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음은 자명하게 여겨진다. 즉 우리가 자연아였을 적에는 우리는 행복하고 완전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우리는 자연의 품에서 떨어져 나와 자유롭게 된 반면, 그 두 가지 속성을 다 잃어버렸다. 이로부터 지복성과 완전성을 향한 동경이 싹트게 되었고 그것이 성찰적으로 되었다는 것이다.
쉴러는 이미 청년기부터 근대사회의 계급구조와 산업혁명으로 인한 분업으로부터 인간의 자연으로부터의 소외를 진단한 데 이어 그의 장년기를 거치면서 프랑스 혁명의 분열상을 경험함으로써 그의 근대인상은 고대인에 대해 현저한 대조를 이루게 되었다. 그 두 시대의 문화적 특성을 그는 다음과 같이 밝힌다.
고대에 있어 인간은 자연과의 일치를 경험하여 그것이 그들의 예술에 완전성의 미로서 표현되고 있다면, 근대에 있어서는 자연의 통일성으로의 복귀가 이상 Ideal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완전성의 척도로 그 인간상을 비교한다면, 근대가 고대에 뒤떨어지는 것이 분명하지만, 인간성의 목표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자연을 통해 저절로 얻어지는 인간성의 균일한 목표보다는 끊임없는 문화적 노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인간성의 다양함과 그 다양함을(예술을 통해) 다시 하나로 수렴하려는 근대적 노력의 목표가 더 많은 장점이 있다고 진단한다. 쉴러는 시인만을 참된 인간성의 소유자로 보는데, 그러한 시인은 자연이거나 또는 자연을 찾을 것인 바, 전자는 소박 시인을, 후자는 감상 시인을 만든다고 진술한다.
쉴러는 이상적 시인상 詩人像을 감상적 성격과 소박한 성격의 화합으로 보는 바, 그것은 일방적으로 감성에 빠지지도 않고 또는 이상을 추구하되 환상적으로 되지 않는 인간성의 구현으로 보고 있으며, 그러한 이상을 표현할 수 있는 문학유형으로 “목가 Idylle”를 예로 들고 있다. 그는 그러한 대립의 해소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극소수의 시인들에게나마 그러한 희망을 걸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하고 있다. 또 “자기편에서의 결함과 상대방의 실재 einen Mangel auf seiner Seite und Realitat auf der andern”를 인정하기 위해 대화가 필요하며 그러한 전제로서 인간유형의 미학적 분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쉴러는 그가 처한 시대의 관점으로부터 심도 있는 관찰을 통해 그가 진단한 두 인간 유형이 보다 복잡한 문화적 적대성과 상반된 이해관계에 연관되어 있음을 상론한다.
참고문헌
김누리(1998) / 문화학으로서의 독일학, 독일학 연구 제 7집,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일학 연구소
박찬기(1986) / 독일문학사, 일지사
볼프강 보이틴 외, 허창운 외 역(1988) / 독일문학사
조창섭(1995) / 여명기에서 질풍노도기까지의 독일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상수(1998) / 지역연구로서의 독일연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간), 독일학 연구 7집
하인츠 스톨테, 안안길 역(1994) / 신구문화사, 쉽게 쓴 도이치 문학의 역사
그러한 충동을 통해 인간은 “자기 인간성의 극치로서의 미 Die Schonheit, als Konsummation seiner Menschheit”를 추구하는 바, 이성은 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미와 더불어서는 오직 유희만을 해야하고, 그가 유희를 한다면 오직 미와 더불어 해야 한다. der Mensch soll mit der Schonheit nur spielen, und er soll nur mit der Schonheit spielen.” 쉴러는 이어서 인간은 유희를 할 때 전인적 全人的 모습을 되찾게 된다는 것과 그것은 인간성 회복을 가리킨다고 시사하고 있다. 반면, 이 선언의 이면에는 인간은 미의 영역이 아닌 다른 실제적 영역들에서는 유희적 태도를 취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가 또한 깔려있는 것이다.
2. 소박문학과 감상문학
인간의 미학적 교육에 관한 논문과 거의 같은 시기에 구상되었으나 그 보다는 조금 늦게 집필이 완성된 소박문학과 감상문학에 대한 논문은, 해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고대 문화와 근대 문화 간의 대화 또는 18 세기 말의 시대상황에 처한 시인의 ‘자기 이해’라고 간주할 수 있겠다.
쉴러는 그의 소박문학 논의에서 먼저 유년시절의 이상적 의미를 되새기며, 그것을 자연과 진리에 대한 동경과 연계 짓고, 더 나아가서는 고대인 특히 희랍인의 존재방식과 자연을 내용으로 한 문화의 완전성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 다음, 쉴러는 그의 시대를 대변할 입장을 조심스럽게 개진한다. 쉴러의 대주제는 한 편으로는 17 세기에 일었던 ‘고대근대의 논쟁’을 연상시키고, 다른 한 편에서는 소박시인으로서의 괴테와 감상시인으로서의 자기 자신과의 ‘해석학적 대화’를 담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감상적 유형’의 논의는 독일 낭만주의의 담론을 선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 두 유형의 비교와 그 논의의 단초는 평범한 관찰로부터 출발한다. 예컨대 우리가 어느 사람의 행동을 보고 유치하다고 판단하면, 그것은 오성의 판단으로서 우리에게 우월감을 안겨주지만, 반대로 그 사람의 단순성은 그가 지닌 천진하고 참된 마음에서 울어나는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것은 천진성을 덕목으로 받아들이는 이성의 요청이다. 즉 쉴러는 천진성을 유치함과 구별하여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소박함은 뜻밖에 마주치게 되는 천진성으로서 아주 엄밀한 의미에서는 실제의 유년시절에다 귀속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소박함은 기교적 또는 가공적인 것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그 완성된 양상을 천재의 예에서 찾고 있다: “모든 참다운 천재는 소박해야 하지, 그렇지 않으면 천재가 아니다. 그의 소박성만이 그를 천재로 만드는 것이다. 쉴러는 소박한 시인의 유형으로 호머를 비롯한 고대 시인들과 근대에서는 괴테와 셰익스피어를 들고 있다. 물론 소박한 유형은 고대에서, 감상적 유형은 근대에서 지배적인 것으로 관찰되지만, 그 근본적 차이를 시대적 상황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음은 자명하게 여겨진다. 즉 우리가 자연아였을 적에는 우리는 행복하고 완전하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 우리는 자연의 품에서 떨어져 나와 자유롭게 된 반면, 그 두 가지 속성을 다 잃어버렸다. 이로부터 지복성과 완전성을 향한 동경이 싹트게 되었고 그것이 성찰적으로 되었다는 것이다.
쉴러는 이미 청년기부터 근대사회의 계급구조와 산업혁명으로 인한 분업으로부터 인간의 자연으로부터의 소외를 진단한 데 이어 그의 장년기를 거치면서 프랑스 혁명의 분열상을 경험함으로써 그의 근대인상은 고대인에 대해 현저한 대조를 이루게 되었다. 그 두 시대의 문화적 특성을 그는 다음과 같이 밝힌다.
고대에 있어 인간은 자연과의 일치를 경험하여 그것이 그들의 예술에 완전성의 미로서 표현되고 있다면, 근대에 있어서는 자연의 통일성으로의 복귀가 이상 Ideal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완전성의 척도로 그 인간상을 비교한다면, 근대가 고대에 뒤떨어지는 것이 분명하지만, 인간성의 목표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자연을 통해 저절로 얻어지는 인간성의 균일한 목표보다는 끊임없는 문화적 노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인간성의 다양함과 그 다양함을(예술을 통해) 다시 하나로 수렴하려는 근대적 노력의 목표가 더 많은 장점이 있다고 진단한다. 쉴러는 시인만을 참된 인간성의 소유자로 보는데, 그러한 시인은 자연이거나 또는 자연을 찾을 것인 바, 전자는 소박 시인을, 후자는 감상 시인을 만든다고 진술한다.
쉴러는 이상적 시인상 詩人像을 감상적 성격과 소박한 성격의 화합으로 보는 바, 그것은 일방적으로 감성에 빠지지도 않고 또는 이상을 추구하되 환상적으로 되지 않는 인간성의 구현으로 보고 있으며, 그러한 이상을 표현할 수 있는 문학유형으로 “목가 Idylle”를 예로 들고 있다. 그는 그러한 대립의 해소를 기대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극소수의 시인들에게나마 그러한 희망을 걸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하고 있다. 또 “자기편에서의 결함과 상대방의 실재 einen Mangel auf seiner Seite und Realitat auf der andern”를 인정하기 위해 대화가 필요하며 그러한 전제로서 인간유형의 미학적 분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쉴러는 그가 처한 시대의 관점으로부터 심도 있는 관찰을 통해 그가 진단한 두 인간 유형이 보다 복잡한 문화적 적대성과 상반된 이해관계에 연관되어 있음을 상론한다.
참고문헌
김누리(1998) / 문화학으로서의 독일학, 독일학 연구 제 7집,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일학 연구소
박찬기(1986) / 독일문학사, 일지사
볼프강 보이틴 외, 허창운 외 역(1988) / 독일문학사
조창섭(1995) / 여명기에서 질풍노도기까지의 독일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상수(1998) / 지역연구로서의 독일연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간), 독일학 연구 7집
하인츠 스톨테, 안안길 역(1994) / 신구문화사, 쉽게 쓴 도이치 문학의 역사
추천자료
- (일본문학의흐름)일본근대문학의 각 주제에 따른 정리-낭만주의문학, 자연주의문학, 시라카바...
- [군기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중 평가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
- [베른하르트][베른하르트문학][베른하르트희곡]베른하르트의 문학적 특징, 베른하르트의 망명...
- [고전문학,주생전,심청전,흥부전,춘향전,어부사시사,구지가,서동요]고전문학 주생전, 고전문...
- [신비평][문학비평][문학연구]문학비평의 의미, 문학비평의 종류, 문학비평 신비평의 의미, ...
- [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문학][풍자문학]고전주의 문학의 의미, 고전주의 문학의 성격, 고...
- [자연주의 문학][상징주의][사실주의 문학]자연주의 문학의 정의, 자연주의 문학의 성격, 자...
- [고전주의 문학][낭만주의 문학][사실주의 문학][자연주의 문학][상징주의][초현실주의][실존...
-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의의,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특징,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전개과정,...
-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의 기원, 가사(가사작품, 가사문학)의 정의, 가사(가사작품, 가사문...
- [서양문학][서양문학 이해][서양문학과 리얼리즘(사실주의)][종교문학][동양문학][파우스트]...
- [현대소설][분단문학][환상문학][근대문학][반공문학][신소설][일본]현대소설과 분단문학, 현...
- [1950년대, 1950년대 여성국극, 1950년대 문학, 1950년대 시문학, 시의식, 소설, 모더니즘]19...
- [문학표현, 문학표현과 비유, 문학표현과 처용가, 자연주의, 심미, 이야기, 표현주의]문학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