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극][교육연극 실제][교육연극 성과]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종류, 교육연극의 유래, 교육연극의 장점, 교육연극의 유의점, 교육연극의 훈련, 교육연극의 실제, 교육연극의 성과, 교육연극 관련 시사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연극][교육연극 실제][교육연극 성과]교육연극의 의미, 교육연극의 종류, 교육연극의 유래, 교육연극의 장점, 교육연극의 유의점, 교육연극의 훈련, 교육연극의 실제, 교육연극의 성과, 교육연극 관련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연극의 의미

Ⅲ. 교육연극의 종류
1. 연극적인 놀이(Dramatic play)
2. 연극놀이(Creative drama)
3. Drama-in-Education(D.I.E)
4. Theatre-in-Education(T.I.E)
5. 아동극(Children`s Drama)

Ⅳ. 교육연극의 유래

Ⅴ. 교육연극의 장점과 유의점
1. 교육연극의 장점
2. 교육연극 실천상의 유의점

Ⅵ. 교육연극의 훈련

Ⅶ. 교육연극의 실제
1. 부딪치지 않으면서 다니기
2. 폭탄과 방패놀이
3.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4. 소외와 환영 놀이
5. 왕의 의자
6. 초가 되자
7. 폭탄놀이
8. 마임하기

Ⅷ. 교육연극의 성과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자신의 느낌을 이야기하여 왕따당하는 기분의 아픔을 알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반대로 환영하는 놀이로 변형할 수 있음)
5. 왕의 의자
교실의 의자를 갖다 놓고 이 의자는 옛날 세종대왕이 앉던 의자라고 한 다음 발로 차는 시늉을 한다. 그런 다음 아이들의 반응을 이야기 해 보도록 한다.
6. 초가 되자
아이들에게 눈을 감게 하고 자 우리 모두 초가 되자라고 말한 다음 내가 머리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초에 불을 붙인 것이라는 조건을 제시하고 돌아다니며 손가락으로 아이들의 머리를 누른다. 이때 아이들은 초가 녹는 모습을 흉내낸다.
7. 폭탄놀이
공을 폭탄이라고 가정하고 3초 후에 터진다라고 하면 아이들은 난리가 난다. 이 때 실제 공을 이용하면 더 현실감이 있다.
8. 마임하기
마임은 말없이 어떤 상황을 표현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에서 벽 더듬기, 오토바이 타기, 이빨닦기, 선생님 흉내내기, 화장실장면 흉내내기, 교통경찰 흉내내기 등 여러 가지 특징 있는 동작을 몸의 움직임으로만 흉내내도록 하는 것이다.
Ⅷ. 교육연극의 성과
교육연극의 기능과 효과는 여러 가지 현장 실험을 통하여 검증되고 확인되고 있는 바, 최윤정은 그 결과를 수용하여 일반화 시켜서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 교과학습, 특수아동의 상담과 치료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교육연극은 참여자에게 연극을 교육하는 기능이 있다. 참여자는 연극 작업에 참여하여 연극적 경험을 겪음으로써 연극에 대한 예술적 이해력을 습득하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교육연극은 참여자에게 연극적 경험을 통하여 기존 행동의 변화를 겪음으로서 언어능력, 의사소통능력, 인성개발, 문제해결력, 도덕성 함양 등 사회화 교육의 효과를 얻게 한다.
셋째, 교육연극은 참여자에게 교과내용을 교육하게 하는 학습 도구로써의 기능이 있다. 즉 참여자는 연극활동을 통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시킴으로써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교육연극은 참여자에게 개인적 집단적 카타르시스를 얻는 치료기제의 기능이 있다. 아울러 참여자는 연극을 심리 치료기제로 사용하여 상담과 치료방법으로 적용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와 같이 교육연극의 기능과 효과는 기본적으로 연극을 매체로 하여 학생들을 교육, 재창조 및 치료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전인교육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Ⅸ. 결론 및 시사점
이에 학생들의 학습효과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교육 연극적 방법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가. 학습에 있어서 교육 연극적 방법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과목에 대한 흥미를 자연스럽게 가져다줄 것이며 또렷한 목소리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나. 교육 연극적 방법의 활용으로 학생들이 말하기에 자신감을 갖게 되며 다른 친구들의 말을 잘 듣게 되고 발표경험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다. 여러 교과에서 교육 연극적 방법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 많으며 교육 연극적 방법은 국어 교과 및 모든 교과에서도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일 것이다.
라. 교육 연극적 방법의 활용은 교수 학습에서 낙오자나 이탈자를 막아 학생들이 나름대로 참여하는 경험을 갖게 되고 다양한 연극놀이나 간단한 게임을 통해서 모둠의 일체감이 형성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숙진(2002), 초등국어 교육에 있어서 연극적 요소의 활용
노정(2002), 교육연극을 활용한 희곡지도 방안 연구, 영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민병욱·심상교(2000),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소꿉놀이(1994), 연극으로 만드는 신나는 교실, 서울: 내일을 여는 책
이인성(1988), 연극학 서설, 연극의 이론, 청하
황정현(2000), 연극과 교육의 이해, 한국연극 7월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