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연의19 20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연의19 2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연의 제 19회 하비성의 조조는 병사를 모조리 죽이고 백문루에서 여포는 운명을 달리하다
삼국연의 제 20회 조아만[조조]은 허전에서 사냥을 하고 동국구는 내각[공신각]에서 조칙을 받는다

본문내용

았다.
設宴款待畢,玄德謝恩出朝。
설연관대필 현덕사은출조.
잔치를 베풀어 환대함이 끝나서 유현덕은 은혜에 감사하여 조정을 나왔다.
自此人皆稱爲劉皇叔。
자차인개칭위유황숙.
이로부터 사람들이 모두 유비를 유황숙이라고 하였다.
曹操回府,荀彧等一班謀士入見曰:「天子認劉備爲叔,恐無益於明公。」
조조회부 순욱등일반모사입현왈: 천자인유비위숙 공무익어명공.
조조가 승상부에 돌아오니 순욱등의 일반 모사가 들어와 보며 말했다. “천자가 유비가 숙부임을 알고 명공에 무익할까 염려됩니다.”
操曰:「彼認爲皇叔,吾以天子之詔令之,彼愈 (고요할 희; -총8획; xi)의 원문은 愈(나을 유; -총13획; yu)이다.
不敢不服矣。況吾留彼在許都,名雖近君,實在吾掌握之內,吾何懼哉?吾所慮者,太尉楊彪係袁術親戚;與二袁爲內應,爲害不淺。當除之。」
조왈 피기인위황숙 오이천자지조령지 피유불감불복의. 황오류피재허도 명수근군 실재오장악지내 오하구재? 오소려자 태위양표손원술친척. 당여이원위내응 위해불천. 당즉제지.
조조가 말하길 “저들이 이미 황숙으로 인정하니 내가 천자의 조칙으로써 명령하여도 저들이 더욱 감히 복종하지 않을 수 없다. 하물며 나는 저들을 허도에 있게 하여 이름이 비록 군주와 가까우나 실재로 내 손바닥안에 관장되니 내가 어찌 두려워하겠는가? 내가 염려하는 것은 태위인 양표가 원술의 친척에 연계됨이다. 혹시 두 원씨[원술, 원소]가 내응하면 피해가 얕지 않다. 응당 제거해야 한다.”
乃密使人誣告彪交通袁術,遂收彪下獄,命滿寵按治 안치 : ①조사(調査)하여 다스림 ②죄(罪)를 다스림
之。
내밀사인무고표교통원술 수수표하옥 명만총안치지.
비밀리에 사람을 시켜 양표가 원술과 교통한다고 무고하여 양표를 하옥시켜 만총에게 명령하여 다스리게 하였다.
時北海太守孔融在許都,因諫操曰:「楊公四世德,豈可因袁氏而罪之乎?」
시북해태수공융재허도 인간조왈 양공사세청덕 기가인원씨이죄지호?
이 때 북해태수인 공융이 허도에 있어서 조조에게 간언하였다. “양표공은 4세대로 맑은 덕이 있는데 어찌 원씨에 인하여 죄를 주십니까?”
操曰:「此朝廷意也。」
조왈 차조정의야.
조조가 말하길 “이는 조정의 뜻입니다.”
融曰:「使成王殺召公소공: 성(姓)은 희(姬), 이름은 석(奭)이다. 기원전 11세기 때의 사람으로 주(周) 왕실(王室)의 일족(一族)이다. 소(召, 지금의 陝西 山) 지역을 식읍(食邑)으로 하여 소공(召公)이라고 부르며, 소공석(召公奭), 소백(召伯), 소강공(召康公), 주소공(周召公)이라고도 한다. 주(周) 성왕(成王) 때에 삼공(三公)의 위(位)에 올랐으며, 태보(太保)의 직책(職責)을 맡았다. 무왕(武王)을 도와 상(商)을 멸망시키고 주(周)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연(燕, 지금의 河北 북부)을 분봉(分封)받아 전국시대(戰國時代) 칠웅(七雄) 가운데 하나인 연(燕)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하지만 소공(召公)은 직접 연(燕)을 다스리지는 않고, 호경(鎬京, 지금의 陝西省 長安縣)에 머물러 있으면서 장자(長子)인 희극(姬克)을 계(, 지금의 北京)로 보내 다스렸다. 소공(召公)은 주(周) 문왕(文王)부터 강왕(康王)까지 4대에 걸쳐 정사(政事)를 돌보았는데, 특히 무왕(武王)이 죽고 성왕(成王)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주공(周公) 희단(姬旦)과 함께 훌륭히 보필하여 주(周) 왕조(王朝)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소공(召公)과 주공(周公)은 각각 주(周)를 동서(東西)로 나누어 다스렸는데, 주공(周公)은 낙읍(洛邑, 지금의 河南省 洛陽)에 머물면서 동쪽 지역과 제후(諸侯)들을 관장하였고, 소공(召公)은 서쪽 지역을 다스렸다. 소공(召公)이 다스렸던 지역에서는 후백(侯伯)부터 서인(庶人)까지 모두 제 할 일을 얻어 실직자가 없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모범적인 통치가 이루어졌다고 전해진다. 그는 곳곳을 순시하며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폈는데, 감당(甘棠) 나무 아래에서 백성의 송사(訟事)를 듣고 공정하게 해결해 주어 후대(後代)에도 사람들이 소공(召公)을 대하듯 그 나무를 대하며 그의 선정(善政)을 기렸다고 한다. 여기에서 어진 정치를 펼친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감당지애(甘棠之愛)’, ‘감당유애(甘棠遺愛)’ 등의 성어(成語)가 비롯되었다. 그리고 <시경(詩經)>에도 “우거진 저 감당나무 자르지도 말고 베지도 마십시오. 소백께서 지내셨던 곳입니다. 우거진 저 감당나무 자르지도 말고 꺾지도 마십시오. 소백께서 쉬셨던 곳입니다. 우거진 저 감당나무 자르지도 말고 휘지도 마십시오. 소백께서 즐기셨던 곳입니다.(蔽甘棠 勿勿伐 召伯所. 蔽甘棠 勿勿敗 召伯所憩. 蔽甘棠 勿勿拜 召伯所說)”라는 민요(民謠)가 실려 있다.
,周公 주공: 이름은 단(旦). 주왕조를 세운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과 무왕의 아들 성왕(成王)을 도와 주왕조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무왕이 죽은 뒤 나이 어린 성왕이 제위에 오르자 섭정(攝政)이 되었는데, 당시 상족(商族)을 이끌고 있던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과 주공의 동생 관숙(管叔) ·채숙(蔡叔) 등이 동이(東夷)와 결탁하여 대반란을 일으켰다. 주공은 소공(召公)과 협력하여 이 난을 진압하고 다시 동방을 원정(遠征)하여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부근 낙읍(洛邑:成周)에 진(鎭)을 설치하였다. 주공은 상족을 회유하기 위하여 상(商)의 고지(故地:商丘)에 주왕(紂王)의 형 미자계(微子啓)를 봉하여 송(宋)나라라 칭하고, 아들 백금(伯禽)을 노(魯:曲阜)나라에 봉건(封建)하는 등 주왕실의 일족과 공신들을 중원(中原)의 요지에 배치하여 다스리게 하는, 주초(周初)의 대봉건제(大封建制)를 실시하여 주왕실의 수비를 공고히 하였다. 한편, 예악(禮樂)과 법도(法度)를 제정하여 주왕실 특유의 제도문물(制度文物)을 창시하였다. 그는 중국 고대의 정치 ·사상 ·문화 등 다방면에 공헌하여 유교학자에 의해 성인으로 존숭되고 있다. 저서에 《주례(周禮)》가 있다.
可得言不知耶?」
융왈 사성왕살소공 주공가득언부지야?
공융이 말하길 “성왕으로 하여금 소공을 죽인다면 주공이 알지 못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操不得已,乃免彪官,放歸田里。
조부득이 내면표관 방귀전리.
조조가 부득이하게 양표의 관직을 면직시키며 고향으로 내

키워드

  • 가격9,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1.04.08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