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연의 13 14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연의 13 14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연의 제 13회 이각과 곽사의 큰 병사가 교전하며 양봉과 동승이 서로 감사를 구하다
삼국연의 제 14회 조맹덕이 어가를 허도로 옮기게 하며 여봉선[여포]가 야간에 서군을 습격하다

본문내용

子,我便放出公卿。」
사왈 여이각송출천자 아변방출공경.
곽사가 말하길 “만약 이각이 천자를 보내면 내가 곧 공경을 방출하겠네.”
來見李曰:
력즉래견이각왈.
황보력은 이각을 보러 와서 말했다.
「今天子以某是西人,與公同,特令某來勸和二公。已奉詔,公意若何?」
금천자이모시서량인 여공동향 특령모래권화이공. 사이봉조 공의약하?
“지금 천자께서는 제가 서량인으로 이각 공과 같은 고향으로 특별히 제가 두 공의 화해를 권하러 왔습니다. 곽사가 이미 조서를 받들었으니 공이 뜻은 어떠합니까?”
曰:「吾有敗呂布之大功,輔政四年,多著勳績,天下共知。郭阿多盜馬賊耳,乃敢擅劫公卿,與我相抗,誓必誅之!君試觀我方略 방략 :일을 해 나갈 방법(方法)과 계략(計略)
士衆,足勝郭阿多否?」
각왈 오유패여포지대공 보정사년 다저훈적 천하공지. 곽아다도마적이 내감천겁공경 여아상항 서필주지! 군시관아방략사중 족승곽아부비?
이각이 말하길 “나는 여포를 패배하게 한 대공이 있고 정치를 4년을 보좌하여 많이 공훈을 드러내니 천하가 함께 압니다. 곽사[곽아다]가 도둑질하는 마적일 뿐이며 감히 공경을 마음대로 겁박하고 나와 함께 서로 항거하니 맹세코 반드시 그를 죽일 것입니다. 군은 시험삼아 나의 지략과 군사를 보러 왔으니 족히 곽사와 승부가 어떨 것 같습니까?
答曰:「不然:昔有窮后后(사람 이름 예; -총9획; yi):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영웅. 활의 명수로 알려져 있다. 《좌씨전(左氏傳)》에 의하면 하(夏)나라 때의 사람으로 지금의 산둥성[山東省]을 지배하였고 한때는 하조(夏朝)를 멸망시킬 정도의 세력이 있었다고 한다. 한편 《회남자(淮南子)》에 의하면, 예는 옛날 요(堯)임금의 신하로 10개의 태양이 떠올라 곡식을 말려 죽이므로 그 중에서 9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백성을 해치는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신화적 인물이다. 원래는 동방의 미개부족의 신화적 영웅이었던 것이 후에 중앙의 전설과 교류된 결과, 여러 가지 이설(異說)을 낳게 되었다.
,恃其善射,不思患難,以致滅亡。
력답왈 불연 석유궁후예 시기선사 불사환난 이치멸망.
황보려가 대답하길 “그렇지 않습니다. 예전에 유궁씨인 후예가 있어서 활쏘기를 잘함만 믿어서 어려움을 생각하고 근심하지 않아서 멸망하였습니다.”
近董太師之,君所目見也,呂布受恩而反圖之,斯須之間,頭懸國門。
근동태사지강 군소목견야 여포수은이반도지 사수지간 두현국문.
“지금 동태사[동탁]가 강하였으나 그대도 목도하였듯이 여포가 은혜를 받았으니 반역을 도모하여 이 사이에 머리를 나라 문에 매달려 죽게 되었습니다.”
則固不足恃矣。
즉강고부족시의.
“강하고 견고함은 믿기 부족합니다.”
將軍身爲上將,持鉞仗節,子孫宗族,皆居顯位 현위 :명망(名望)이 높은 지위(地位)
,國恩不可謂不厚。
장군신위상장 지월장절 자손종족 개거현위 국은불가위불후.
“장군의 몸이 상장군이 되어 (병권의 상징인) 부월을 지니고 부절로 의지 삼아 자손의 종족이 모두 현달한 지위에 있으니 국가의 은혜가 두텁지 않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今郭阿多劫公卿,而將軍劫至尊,果誰輕誰重耶?」
금각아다겁공경 이장군겁지존 과수경수중야?
“지금 곽가[곽아다]가 많이 공경을 겁박하고 장군은 지존[天子]을 겁박하니 과연 누가 가볍고 누가 중요합니까?”
李大怒,拔劍叱曰:
이각대노 발검질왈.
이각이 크게 분노하여 검을 뽑아서 질책하면서 말했다.
「天子使汝來辱我乎?我先斬汝頭!」
천자사여래욕아호? 아선참여두!
“천자가 너를 시켜 나를 욕보이게 했는가? 내가 먼저 네 머리를 베겠다.”
騎都尉楊奉諫曰:
기도위양봉간왈.
기도위인 양봉이 간언하면서 말했다.
「今郭未除,而殺天使,則興兵有名,諸侯皆助之矣。」
금곽사미제 이살천사 즉사흥병유명 제후개조지의.
“지금 곽사가 아직 제거되지 않았는데 천자의 사신을 죽이면 곽사가 병사를 일으킴이 명분이 있게되니 제후가 모두 그를 도울 것입니다.”
賈亦力勸,怒少息。
가우역력권 각노소식.
가우가 또한 힘주어 권하니 이각이 분노가 조금 쉬었다.
遂推皇甫出。
우추축황보력출.
가우가 황보력을 밀고 나가게 했다.
大叫曰:「李不奉詔,欲君自立!」
력대규왈 이각불봉조 욕시군자립.
황보력이 크게 부르짖고 말하길 “이각은 조서를 받들지 않으니 군주를 시해하고 스스로 서려고 한다.”
侍中胡邈 邈(멀 막; -총18획; miao)
急止之曰:
시중호막급지지왈.
시중인 호막이 급히 그를 제지하면서 말했다.
「無出此言!恐於身不利。」
무출차언! 공어신불리.
“이런 말을 꺼내지 마십시오. 공의 몸이 불리할까 염려됩니다.”
叱之曰:「胡敬才!汝亦爲朝廷之臣,如何附賊?『君辱臣死』吾被李所殺,乃分也!」
력질지왈 호경재! 여역위조정지신 여하부적? 군욕신사 오피이각소살 내분야!
황보력이 그를 질책하면서 말했다. “호경재[호막]여! 그대는 또한 조정의 신하가 되어 어찌 도적[이각]에게 붙었는가? ‘군주가 욕되면 신하는 죽어야 한다.’고 하니 내가 이각에 피살이 됨이 직분이구나!”
大罵不止。
대매부지.
크게 욕하길 그치지 않았다.
帝知之,急令皇甫回西。
제지지 급령황보력회서량.
황제가 그 사실을 알고 급하게 황보력을 서량에 돌아가게 하였다.
說李之軍,大半是西人氏,更賴羌 羌(종족 이름 강; -총8획; qiang):중국의 이민족인 오호(五胡) 가운데, 중국 서방의 변두리에 흩어져 있던 티베트 계통의 유목 민족. 전국 시대(戰國時代)부터 중국의 서변에 웅거하기 시작하였으며, 후진(後秦)을 세웠다.
兵爲助。
각설이각지군 대반시서량인씨 갱뢰강병위조.
각설하고 이각의 군사는 대반이 서량인이며 다시 강병의 도움에 의뢰하였다.
被皇甫揚言 양언 :뱃심 좋게 하는 말
於西人曰:
각피황보력양언어서량인왈.
황보력은 서량인에게 공공연히 말을 했다.
「李謀反,從之者爲賊黨,後患不淺。」
이각모반 종지자즉위적당 후환불천.
“이각이 모반을 꾀하여 따르면 역적당이 되니 후환이 얕지 않다.”
西人多有聽之言,軍心漸渙 渙(흩어질, 어질다 환; -총12획; huan)

서량인다유청력지언 군심점환.
서량인들은 많이 황보력의 말을 들음이 있어서 군사마음이 점차 물갈이 되었다.
聞言,大怒,差虎賁 서주의 군사제도 주나라에는 왕을 호위하는 금위병인 “호분虎賁”이 있었는데, 이들은 주나라 최고의 정예병이었다
王昌 王昌:후한의 호분중랑장. 이각이 도망치는 황보력을

키워드

이각,   곽사,   삼국연의,   조조,   양봉,   서주,   여포,   동승
  • 가격8,0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11.04.08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4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