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 적응증
4. 심폐소생술의 기본요소
5. 방법
2. 목적
3. 적응증
4. 심폐소생술의 기본요소
5. 방법
본문내용
방하는 방법이다
- 처치자가 일반인일 경우에는 외상 환자를 포함한 모든 환자에게 ‘머리 뒤로 젖히기’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5
호흡확인
- 기도가 확보되면 환자가 호흡을 하는지 살펴본다
- 호흡은 5-10초 이내에 확인한다. 10초를 초과하면 위험하다
- 호흡을 확인 할 때는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뺨으로 느끼는 자세를 취 하며 눈은 가슴의 움직임을, 귀는 숨소리를 그리고 뺨으로는 숨결을 감 지한다
- 만약 호흡을 느낄 수 없다면 기도를 개방한 후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6
인공호흡(2회 숨 불어넣기)
- 기도 개방 후 숨 불어넣기에 장애가 되는 이물을 제거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는 이물이 처치자의 시야에 보일 때만 실시한다
- 환자의 코를 엄지와 검지로 막는다
- 이마에 있던 손을 이용, 환자의 코를 잡고 환자의 입에 1초이상 숨을 천 천히 2회 불어넣는다
- 1회 호흡량은 6-7ml/kg을 유지한다. 인공호흡을 할 때에는 1회 호흡량을 정확히 유지할 수 없으므로 숨을 불어넣으면서 환자의 흉곽이 충분히 부 풀어 오를 정도의 호흡량으로 인공호흡을 한다
- 환자 가슴의 움직임을 보고 숨이 들어갔는지를 확인한다
- 숨을 불어넣은 후 숨을 다시 내쉴 수 있도록 막았던 코를 놓아준다
7
순환 확인
- 순환(호흡, 기침, 움직임, 맥박) 여부가 없다면 톳부압박을 실시한다
- 맥박확인 : 환자 머리쪽에 있는 손으로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힌 후 다 른 손으로 환자의 갑상연골에서 바깥쪽으로 3cm 정도 떨어진 부위의 맥 박을 확인한다
- 처치자가 일반인인 경우에는 환자가 호흡이 없으면 심정지 상태인 것으 로 간주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8
흉부 압박점 찾기
- 환자의 좌우 어느 쪽이든 옆에 앉아서 환자의 발쪽에 위치한 손의 검지 와 중지를 환자의 마지막 갈비뼈에 놓고 따라 올라가 흉골 끝에 댄다
- 중지로 흉골 끝 V자(명치) 부분을 찾는다
- 다른 손의 손바닥을 흉골위에 두고 첫 번째 손의 검지 바로 옆에 맞닿게 한다
- 가슴에 댄 손바닥 위에 반대쪽 손을 겹치게 올려놓고 깍지를 낀다
- 손가락은 항상 가슴에 닿지 않도록 떨어져 있어야 한다
9
흉부압박
- 압박과 이완의 주기와 시간은 서로 같게 한다
- 흉부압박 시 손가락의 뒤꿈치로 압박을 하며 팔꿈치는 N직이 되도록 곧 게 펴서 4-5cm 정도의 깊이로 누른다
- 30회의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5주기 반복실시한다
-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흉부를 압박한다
- 압박할 때마다 큰소리로 구령을 붙인다
10
순환확인
- 순환여부가 없다면 환자에게 30회 훙부압박과 2회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11
주의사항
- 심폐소생술중 환자의 입에서 이물이나 구토물이 나올 경우 즉시 흡입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 해야 하며 마땅한 기구가 없을 때는 고개를 옆으로 돌려 이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한다
- 심폐소생술 중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 느낌이 들거나 실제로 흉부의 움직 임이 발견되지 않으면 기도 유지가 풀린 상태이므로 기도 유지를 다시 살린다
- 흉부 압박 때 처치자의 손이 환자의 가슴에
- 처치자가 일반인일 경우에는 외상 환자를 포함한 모든 환자에게 ‘머리 뒤로 젖히기’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5
호흡확인
- 기도가 확보되면 환자가 호흡을 하는지 살펴본다
- 호흡은 5-10초 이내에 확인한다. 10초를 초과하면 위험하다
- 호흡을 확인 할 때는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뺨으로 느끼는 자세를 취 하며 눈은 가슴의 움직임을, 귀는 숨소리를 그리고 뺨으로는 숨결을 감 지한다
- 만약 호흡을 느낄 수 없다면 기도를 개방한 후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6
인공호흡(2회 숨 불어넣기)
- 기도 개방 후 숨 불어넣기에 장애가 되는 이물을 제거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는 이물이 처치자의 시야에 보일 때만 실시한다
- 환자의 코를 엄지와 검지로 막는다
- 이마에 있던 손을 이용, 환자의 코를 잡고 환자의 입에 1초이상 숨을 천 천히 2회 불어넣는다
- 1회 호흡량은 6-7ml/kg을 유지한다. 인공호흡을 할 때에는 1회 호흡량을 정확히 유지할 수 없으므로 숨을 불어넣으면서 환자의 흉곽이 충분히 부 풀어 오를 정도의 호흡량으로 인공호흡을 한다
- 환자 가슴의 움직임을 보고 숨이 들어갔는지를 확인한다
- 숨을 불어넣은 후 숨을 다시 내쉴 수 있도록 막았던 코를 놓아준다
7
순환 확인
- 순환(호흡, 기침, 움직임, 맥박) 여부가 없다면 톳부압박을 실시한다
- 맥박확인 : 환자 머리쪽에 있는 손으로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힌 후 다 른 손으로 환자의 갑상연골에서 바깥쪽으로 3cm 정도 떨어진 부위의 맥 박을 확인한다
- 처치자가 일반인인 경우에는 환자가 호흡이 없으면 심정지 상태인 것으 로 간주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8
흉부 압박점 찾기
- 환자의 좌우 어느 쪽이든 옆에 앉아서 환자의 발쪽에 위치한 손의 검지 와 중지를 환자의 마지막 갈비뼈에 놓고 따라 올라가 흉골 끝에 댄다
- 중지로 흉골 끝 V자(명치) 부분을 찾는다
- 다른 손의 손바닥을 흉골위에 두고 첫 번째 손의 검지 바로 옆에 맞닿게 한다
- 가슴에 댄 손바닥 위에 반대쪽 손을 겹치게 올려놓고 깍지를 낀다
- 손가락은 항상 가슴에 닿지 않도록 떨어져 있어야 한다
9
흉부압박
- 압박과 이완의 주기와 시간은 서로 같게 한다
- 흉부압박 시 손가락의 뒤꿈치로 압박을 하며 팔꿈치는 N직이 되도록 곧 게 펴서 4-5cm 정도의 깊이로 누른다
- 30회의 흉부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5주기 반복실시한다
-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흉부를 압박한다
- 압박할 때마다 큰소리로 구령을 붙인다
10
순환확인
- 순환여부가 없다면 환자에게 30회 훙부압박과 2회 인공호흡을 계속한다
11
주의사항
- 심폐소생술중 환자의 입에서 이물이나 구토물이 나올 경우 즉시 흡입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 해야 하며 마땅한 기구가 없을 때는 고개를 옆으로 돌려 이물이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한다
- 심폐소생술 중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 느낌이 들거나 실제로 흉부의 움직 임이 발견되지 않으면 기도 유지가 풀린 상태이므로 기도 유지를 다시 살린다
- 흉부 압박 때 처치자의 손이 환자의 가슴에
키워드
추천자료
웹기반의 원격교육시스템을 이용한 혈액투석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응급처치법을 익혀야 하는이유와 생활상해 대처법
응급처치의 정의와 응급환자발생시 대처방안
집중치료실
응급처치 기도폐쇄 중독 자살 응급간호 화상 일사병 출혈
C P 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응급처치법
응급실 대상자 케이스
각 상황에 따른 응급처치
응급실 과제
Cardiac arrest Pneumonia [조선대 인강] 2013년 생활속의 응급처치 기출문제 + 강의정리본 입니다.
기도페쇄 응급대처간호
ER CASE, 응급실 케이스,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