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도교][동학]천도교(동학)의 의의, 천도교(동학)의 성심신설, 천도교(동학)의 神(신)개념, 천도교(동학)의 교리, 천도교(동학)의 조직, 천도교(동학)와 조국광복회, 천도교(동학)와 종교교육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도교][동학]천도교(동학)의 의의, 천도교(동학)의 성심신설, 천도교(동학)의 神(신)개념, 천도교(동학)의 교리, 천도교(동학)의 조직, 천도교(동학)와 조국광복회, 천도교(동학)와 종교교육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천도교(동학)의 의의

Ⅱ. 천도교(동학)의 성심신설

Ⅲ. 천도교(동학)의 神(신)개념

Ⅳ. 천도교(동학)의 교리

Ⅴ. 천도교(동학)의 조직

Ⅵ. 천도교(동학)와 조국광복회

Ⅶ. 천도교(동학)와 종교교육
1. 창도배경
2. 창도과정
3. 전통신앙과 동학(천도교)
4. 동학(천도교)사상
5. 경전의 편제와 내용
6. 스승님의 행적과 사상적 추이
7. 동학혁명
8. 갑진개혁운동
9. 조직의 변천
10. 애국계몽운동
11. 3.1운동
12. 신문화운동
13. 일제하의 민족운동
14. 분단과 통일운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득의(得意)/ 너의 집안 운수(運數)로다.
- 용담가(龍潭歌)에 수록
수운이 전능은 주로 조화(造化)와 영부(靈符)라는 관점으로 귀속된다.
여기서 말하는 조화는 하느님의 전능에서 유래하는 어떤 초자연적인 위력이다. 수운이 동학을 제창할 당시 한민족을 위협하고 있던 서양의 무력을 막아낼 수 있는 놀라운 위력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초기에 이 조화는 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어떤 주술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민간신앙에서 주문은 주술적이고 신비한 성격을 지니지만 동학의 주문은 한울님의 무궁한 조화인 지기(至氣)가 내 몸에 크게 내리시기를 바라는 종교적 염원의 표현이다. 그리고 차츰 이 조화를 합리적으로 생각하여 하느님의 어떤 섭리를 조화라고 말하게 되는 후기의 관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영부라고 하는 것은 하느님의 전능에서 유래하는 어떤 초자연적인 것이다. 그것은 질병을 다스리고 장생(長生)할 수 있는 신묘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이 역시 초기에는 주술적으로 생각되었으나 지기의 분화(分化)인 인간의 심성적(心性的) 영기(靈氣)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이런 합리적 반성은 뒤이어 일어났다.
포덕문(布德文)에서는 영부의 효험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병에 써 보았으나 낫기도 하고 낫지 않기도 하여 이유를 살펴본즉 성지우성하여 한울님을 위하는 사람에게는 적중하지만 불수도덕한 사람에게는 효험이 없었다.
따라서 영부의 효험은 영부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받는 사람의 정성과 공경, 즉 한울님을 얼마나 지성으로 공경하느냐에 달렸다는 것이다. 또한 영부는 선약으로 각자위심(各自爲心)으로 생긴 사회질병을 바로 잡을 수 있으며 치유할 수 있는 약의 구실을 하기도 한다.
한편 수운이 하느님으로부터 영부를 받았다는 사실은 그 당시의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의약과 의료시설이 절대적으로 열악했던 당시의 민중들에게 있어 질병은 무엇보다 두려운 존재였다. 이러한 민중의 요구가 반영된 것이 동학이 내재하고 있는 영부에 대한 사상이다.
더불어 장생(長生)은 인간 모두에게 공통된 염원이다. 이런 염원이 객관적으로 투사되어 하느님으로부터 영부를 받았다는 사상으로 발전하였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앞에서 수운이 밝힌 하느님의 존재가 일신교(一神敎)적 성향이 타종교가 표방하는 신의 개념과 유사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수운이 하느님의 전능을 밝히는 관점은 특수하다. 그는 하느님에 대한 경외심(敬畏心)이야 말로 인간이 하느님에 대해 가져야 할 마음가짐임을 강조했다. 이런 점에서 수운이 말한 하느님은 신앙대상으로서의 종교적인 신이다. 따라서 하느님을 지성으로 공경하고 지극히 하느님을 위하며 하느님만 믿으라고 외쳤다. 하느님이야말로 온갖 생명을 지배하고 있는 절대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하느님에 대한 지극한 경외감만이 세상의 혼란한 민심을 일체로 되돌릴 수 있다고 믿었다.
수운의 독특한 관점은 개벽(開闢)이라는 강도 짙은 말로 표현된다. 이 단어가 지니는 강도와 적극성은 당시 억눌린 민중의 구원에 대한 의지를 대변하고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개벽이란 천지가 열려 사람과 만물이 처음으로 나온 때를 가리키는 것으로 천지의 시초나 만물의 발생을 의미한다.
Ⅳ. 천도교(동학)의 교리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과 최시형의 사인여천 사상을 계승하여 인내천으로 종지를 삼았다. 최제우시대에는 신앙대상으로서의 하느님은 초월적인격적 성격이 강한 \'천주\'로서 인간이 숭배대상으로 모셔야 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최시형시대에는 이러한 하느님 개념이 \'양천주\'나 \'사인여천\' 사상에서 잘 나타나듯이 상당히 내재적이고 비인격적인 성격으로 전환했다. 따라서 현재 천도교 교단에서는 최제우가 내세웠던 초월적인 하느님 사상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고 있다.
천도교도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규정으로서 5관이 제정되어 있다. 이것을 이행하지 않으면 교인의 자격이 박탈된다. 5관이란 주문청수시일성미기도이다. 주문은 최제우가 한울님으로부터 받은 \'시천주\'를 비롯하여 그가 직접 수도에 도움이 되기 위해 만든 여러 가지가 있다. 주문을 외우는 목적은 도성입덕의 인격을 이루려는 데 있다고 한다. 청수는 민간신앙에서의 정한수를 수용한 것으로서 수행할 때 마음을 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일은 매주 일요일에 공동으로 행하는 정기적인 의례이며, 성미는 교단의 운영을 위해 각 교인이 교회에 물질적으로 보답하는 행위이다. 기도는 한울님에게 마음을 고하는 의식으로서 \'심고\'라고도 한다.
그 밖에도 특별한 기념일로 최제우의 득도기념일인 천일, 최시형의 승통기념일인 지일, 손병희의 승통기념일인 인일이 있다. 그리고 특징적인 의례의 하나로 향아설위가 있다. 이것은 조상에게 제사지낼 때 제상을 벽을 향해 차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 쪽을 향해 차리는 것이다.
동학 당시에는 접주를 중심으로 하는 포접제가 있었다. 현재는 전도인과 수도인의 인맥관계로 조직되는 연원조직과 지역단위로 조직된 교구조직이 있다. 한편 연원제는 포교성적에 따라 연원주가 신훈교훈도훈도정 등으로 승급하는 원리가 있다. 이것은 포교를 활성화시키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지만 연원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부정적인 기능도 있다.
1919년 31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상당한 탄압을 받았으며 그 후에는 주로 문화활동과 계몽활동에 주력했다. 즉 〈개벽〉을 비롯한 여러 잡지를 발간하여 신문화운동을 전개했으며 조선농민사 등의 사회단체를 결성하여 농촌활동과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1934년 오심당독립운동사건, 1938년 무인멸왜기도사건 등의 항일운동에 동참했다.
Ⅴ. 천도교(동학)의 조직
일제는 3.1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한 천도교를 3.1운동 직후부터 교회 활동을 방해하거나 견제, 회유로 통제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각 지방에서는 교구장이 회유를 당하여 교회 활동 자체가 어려울 정도였다. 당시 일부 지방의 천도교에 대한 사회인식 또는 일제의 회유책을 보면 다음과 같다.
평안북도 구성군 디방에서는 향샤에 텬도교의 선동으로 쇼요 참가하야 인명 살상 하엿슬 뿐안이라 시쟝과 농상업 상에도 다대한 손해를 입엇슴으로써 텬도교도에 대한 반감이 생기여 텬도교를 절멸하고 교도를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