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東學) 천도교(天道敎)의 사상에 대한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東學) 천도교(天道敎)의 사상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동학(천도교)의 형성 배경과 변천 과정
1.1. 동학의 발생
1.2. 동학에서 천도교(天道敎)로의 형성시기
1.3. 일제강점기의 천도교(天道敎)의 민족운동기
1.4. 해방 이후의 천도교(天道敎)

2. 천도교의 창시자의 생애와 사상
2.1. 제1대 교조 최제우(崔濟愚)
2.2. 제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
2.3. 제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

3.3. 천도교의 의식(儀式)
3.1. 입교식(入校式)
3.2. 심고법(心告法)
3.3. 오관(五款)
3.5. 기념식(記念式)
3.4. 기념식(記念式)
3.5. 경축식(慶祝式)
3.6. 사은기도(謝恩祈禱)
3.7. 위령식(慰靈式)
3.8. 혼례(婚禮) · 상례(喪禮) · 제례(祭禮)

4. 천도교의 조직
4.1. 속인제(屬人制)
4.2. 기관제(機關制)
4.3. 6임제(六任制)
4.4. 총인원(叢仁院)
4.5. 의정회(議正會)
4.6. 종법사회(宗法師會)
4.7. 종리사회(宗理師會)
4.8. 전국대의원대회
4.9. 천도교 교헌(天道敎敎憲)

5. 천도교의 경전
5.1. 동경대전(東經大全)
5.2. 용담유사(龍潭遺詞)

6. 천도교의 기본사상
6.1. 인내천(人乃天) - 인본위(人本位)
6.2. 천도교의 신관(한울님)
6.3. 천도교의 우주관
6.4. 천도교의 인간관
6.5. 천도교의 내세관
6.6. 수심정기(守心正氣)
6.7. 보국안민(輔國安民)

7. 개벽사상
7.1. 후천개벽 사상

8. 오늘날의 천도교

나오는 말

부록

본문내용

와 분수에 맞게 착용할 것이며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은 검소한 옷차림을 한다.
제 3 절 음 식(飮食)
사람이 식사의 예절을 소홀히 하면 천지부모님께 불경함은 물론 남에게 불쾌감을 주고 스스로 수양이 부족함을 나타내게 된다.
식사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예절은 지켜야 한다.
1. 그릇에 밥을 담을 때에는 먼저 솥뚜껑을 열고 국이나 장을 한 그릇 놓고 심고한다.
2. 음식이 마련되면 우선 밥과 반찬 그릇의 뚜껑을 열고 경건한 마음으로 ‘한울님의 감응(感應)’을 기원하고 교회의 목적과 자기 소원을 염원한 후 ‘감사히 먹겠습니다’ 하는 내용의 식고(食告, 식사할 때의 심고)를 하고 식사를 하며, 식사가 끝나면 ‘감사히 먹었습니다’라고 심고한다. (심고 예문은 본 의절 ‘심고’ 참조)
3. 찬밥이나 먹던 음식을 먹을 때에는 고하지 않고 그저 ‘감사히 먹겠습니다’라고 한다.
4. 음식을 먹을 때는 먼저 손을 깨끗이 하고 자세를 바르게 하고, 너무 급히 먹거나 느리게 먹지 말며, 한울님의 덕을 생각하면서 단정하게 해야 한다.
5. 다른 사람과 식탁을 같이 하였을 때에는 식사를 혼자 먼저 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자기만 먹지 말며, 과식하지 말아야 하며, 어른과 같이 식사할 경우에는 먼저 끝내거나 자리를 뜨지 않도록 한다.
6. 음식물을 취급하는 이는 특히 정결과 위생에 유의해야 하며, 음식물을 남겨서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7. 길을 걸을 때 뒷짐을 지거나 길을 가면서 음식을 먹는 것은 삼가야 한다.
제 4 절 인사(人事)하는 법
절은 사인여천(事人如天) 정신을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오래 전부터 ‘절 잘하는 천도교인’이라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옛날 풍속은 어른의 처지에 있을 때에는 절을 받기만 하였으나, 천도교인은 서로 맞절을 한다.
절은 서서 하는 예도 있고 엎드려 큰절을 하는 예도 있다. 절을 할 때에는 사람을 한울같이 섬기는 마음으로 자세를 바르게 하고 상대방에게 경의를 표하면서 정중하게 해야 한다. 절은 상대방이 먼저 하기를 기다릴 것이 아니라 내가 먼저 하는 것이 좋다.
방 안에서는 무릎을 꿇고 엎드려서 큰절을 하며, 의자가 있는 교당이나 옥외(屋外)인 경우에는 선 채로 허리를 45도 구부려 정중하게 경례를 한다.
제 5 절 언 어(言語)
말은 생각을 드러내어 사람들에게 사실을 알게 하는 것이다. 말이 반드시 바르면 사람이 다 바르게 되고 세상이 바르게 된다는 말씀과, 또한 말은 행할 것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한 것을 돌아보아 말과 행동을 한결같이 하라는 스승님의 교훈을 명심하고 정성, 공경, 믿음의 정신으로 말을 해야 할 것이며, 노기(怒氣)를 띠거나 간교한 수단과 거짓으로 꾸미지 말아야 한다.
전화를 하거나 말을 할 때에는 언제나 수심정기(守心正氣)하고 사인여천(事人如天) 정신으로 친절하고 간결하고 침착하게 하여 요령과 순서를 분명하게 할 것이며, 정중하고, 부드럽고, 여유 있고 정답게 하여 거만하고 악하고 표독한 소리를 내지 말아야 한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모든 사람에게 경어를 쓰도록 힘써야 한다.
제 6 절 자 세(姿勢)
자세가 바르면 모든 예의가 아름답게 되고, 태도가 좋지 못하면 모든 예의가 아름답지 못하게 된다. 남을 바라볼 때는 얼굴을 너무 쳐다보거나 곁눈으로 보지 말고, 특히 뒷짐지지 말아야 한다. 듣는 태도, 앉는 태도, 서는 태도, 걸어가는 자세, 공부하는 자세, 밥 먹는 자세, 눕는 자세, 말하는 태도, 얼굴의 표정 등 일거일동을 정성, 공경, 믿음 그리고 효·제·온·공(孝悌溫恭)으로 수심정기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제 7 절 공중도덕(公衆道德)
스승님 법설에 지인공애(至仁公愛)라는 말씀이 있다. 천도교인은 사(私)만 생각지 말고 공(公)을 위할 줄 알아야 한다. 선악(善惡)의 갈림은 한울님의 뜻을 따르고 따르지 않는 데 있다.
공을 더 중히 여기는 민중은 발전의 길을 걷게 되고, 사(私)를 더 중히 아는 민중은 다같이 퇴보의 길로 빠지게 된다. 교인은 사리사욕(私利私慾)에 눈이 어두워 사회에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되며 공중도덕을 지켜야 한다.
언제나 말 없고 소리 없는 한울이 두렵다는 스승님의 말씀을 생각하면서 특히 다음 사항을 마음에 새기고 실천해야 한다.
1. 나는 언제나 전체 속의 한 사람임을 알아 나의 모든 언행이 세상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생각하고 항상 두려워하고 삼가야 한다.
2. 가정의 규칙과 교회 및 소속 단체의 모든 규정과 질서를 지키며, 공중집회 장소에서는 그 장내의 규율을 지키고 잡담과 무질서한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3. 회의에 참석할 때에는 시간과 약속을 지키고 회의 규칙을 엄수하고, 말은 발언권을 얻어 조리 있게 하되 성내지 말고 경어를 쓰며, 항상 사(私)를 버리고 공중을 본위로 해야 한다.
4. 남의 것이나 공공물건을 나의 물건같이 아끼며, 공공시설은 조심히 사용하고 공용기관의 경내에 더러운 물건을 버리지 말며 눈에 보이거든 줍거나 없앤다.
5. 교통질서를 지키고 공중화장실 등을 깨끗이 사용해야 한다.
6. 가로수나 동네 주변의 수목을 아끼고 보호하며, 사택 등에 거주할 때에는 조심하고 훼손치 말며, 손상하였을 때에는 곧바로 복원해야 한다.
7. 천도교인은 언제나 분파 행동을 경계하고 동귀일체 정신으로 화합을 도모해야 한다.
제 8 절 대인접물(待人接物)
교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대인접물을 할 때 한울님과 스승님 뜻에 맞도록 각별히 힘을 기울여야 하며, 특히 다음 사항을 실천지침으로 삼는다.
1. 스스로 잘난 체 하는 마음을 갖지 않는다.
2. 거짓으로 사람을 사귀지 않는다.
3. 교만하고 사치한 마음을 갖지 않는다.
4. 어린이를 경솔히 때리지 않는다.
5. 부부지간에 서로 한울님 모시는 마음으로 섬긴다.
6. 사람을 대할 때에 욕을 참고 너그럽게 용서한다.
7. 나 자신을 살피는 것을 주로 하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그대로 말하지 않는다.
8. 모든 물건 아끼기를 내 몸 살피듯한다.
9. 날짐승이나 아무 초목의 싹이라도 그 생명을 함부로 죽이지 않는다.
10. 자연환경 소중히 하기를 부모님 살같이 한다.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5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