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내 영화에서의 특수 효과(컴퓨터 그래픽 등) 활용 사례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의 진단
국내 영화에서의 CG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의 진단
개선 방향에 대해서
국내 영화에서의 CG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의 진단
개선 방향에 대해서
본문내용
하나는 고정되어 있을때만 가능했던 합성기법을, 예를 들어 영화 ‘ghost\'에서 페트릭 스웨이지가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지하철이 지나가는 장면과 같은 경우, 이제는 움직이는 배경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이 사용된 예가 바로 ’포레스트 검프‘에서 톰 행크스가 케네디와 악수하는 장면인데, 지상만가에서도 이병헌이 상을 타는 장면에서 옆사람과 키스하는 장면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직접 비디오를 보시겠습니다. 앞에서 현란한 헐리우드의 특수효과 영화들을 보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국내 영화가 조금 초라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번 보시고 제가 설명드린 부분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영화 구미호에서 처음 부분입니다. 이 열차가 들어오는 장면에 cg가 사용된 것입니다.
2. 트럭에 깔러 납작해진 저승사자가 다시 부풀어 오르는 장면입니다.
3. 구슬이 몸위를 굴러 다니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을 완성하기 위해서 배우들이 서울대 병원에서 자기 공명 촬영 장치로 신체에 관한 2차원 영상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것을 3차원 인체 데이터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서 가상의 3차원 배우 위를 구슬이 굴러 다니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4. 구미호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컴퓨터 그래픽이 쓰인 부분의 낮은 해상도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움직이는 물체의 윤곽이 떨리고 거칠며, 실사 장면과 느껴질 정도로 화면이 깨끗하지 못합니다.
5. 블루시걸에서 cg가 사용된 부분입니다.
6. 마찬가지로 영화 블루시걸 건물사이의 헬기 전투장면입니다.
7. 영화 아마게돈 에서 cg가 사용된 부분입니다.
8. 은행나무 침대입니다. 이 장면은 건물과 전광판이 컴퓨터로 합성된 것입니다.
9. 두배우의 몸이 서로 통과되는 장면입니다.
10.신현준이 벽을 뚫고 나오는 장면입니다.
11.신현준이 불타는 침대속으로 걸어들어가는 장면입니다.
12.영화 꽃잎에서 차창에 귀신이 나오는 cg 장면입니다.
13.영화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입니다.
14.영화 축제에서 소녀와 할머니의 대화 장면입니다.
15.영화 진짜사나이에서 차가 기차를 뛰어 넘는 장면입니다.
16.진짜사나이에서 교회가 불타는 장면입니다.
17.영화 지상만가에서 모션컨트롤 시스템이 사용된 부분입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움직임 노컷의 장면을 찍기 위해서는 모션 컨트롤이 무척 도움이 될것입니다.
18.지상만가에서 아카데미 시상식 장면입니다.
이제 국내 영화에 있어서 cg 사용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국내 영화에서의 CG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의 진단
제작 기술과 제작 환경의 문제
1. 감각의 부재, 적당주의적 태도
우선 시각적으로 가장 먼저 드러나는 문제이다. <구미호>는 <천녀유혼>의 아류작이라는 말은 접어두고서라도, 컴퓨터 그래픽스 부분에서 말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부끄러운 장면이 많았다. 이를테면 애니메이션 몰핑(음직이면서 몰핑이 되는 기법)은 단 한 장면도 없었다. 너무 낮은 해상도로 컴퓨터 그래픽스 작업을 하고 출력한 나머지, 컴퓨터 그래픽스가 삽입된 부분은 너무 흐릿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합성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매트 라인이 드러나는 부분도 있었다.
아까 영화 구미호에서 보셨다시피 컴퓨터 그래픽스가 사용된 부분과 실사로 찍은 장면의 해상도가 이질감이 느껴질 정도로 차이가 난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보통 영화를 제작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의 최저 해상도는 2048 X 1365픽셀 정도 되어야 하는데, 구미호는 1280 X 840픽셀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이유는 영화 개봉시기를 흥행이 잘되는 시기에 맞추려다 보니 시간에
그럼, 이제부터 직접 비디오를 보시겠습니다. 앞에서 현란한 헐리우드의 특수효과 영화들을 보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국내 영화가 조금 초라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번 보시고 제가 설명드린 부분에 대해 이해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영화 구미호에서 처음 부분입니다. 이 열차가 들어오는 장면에 cg가 사용된 것입니다.
2. 트럭에 깔러 납작해진 저승사자가 다시 부풀어 오르는 장면입니다.
3. 구슬이 몸위를 굴러 다니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을 완성하기 위해서 배우들이 서울대 병원에서 자기 공명 촬영 장치로 신체에 관한 2차원 영상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것을 3차원 인체 데이터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서 가상의 3차원 배우 위를 구슬이 굴러 다니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4. 구미호의 마지막 장면입니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컴퓨터 그래픽이 쓰인 부분의 낮은 해상도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움직이는 물체의 윤곽이 떨리고 거칠며, 실사 장면과 느껴질 정도로 화면이 깨끗하지 못합니다.
5. 블루시걸에서 cg가 사용된 부분입니다.
6. 마찬가지로 영화 블루시걸 건물사이의 헬기 전투장면입니다.
7. 영화 아마게돈 에서 cg가 사용된 부분입니다.
8. 은행나무 침대입니다. 이 장면은 건물과 전광판이 컴퓨터로 합성된 것입니다.
9. 두배우의 몸이 서로 통과되는 장면입니다.
10.신현준이 벽을 뚫고 나오는 장면입니다.
11.신현준이 불타는 침대속으로 걸어들어가는 장면입니다.
12.영화 꽃잎에서 차창에 귀신이 나오는 cg 장면입니다.
13.영화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입니다.
14.영화 축제에서 소녀와 할머니의 대화 장면입니다.
15.영화 진짜사나이에서 차가 기차를 뛰어 넘는 장면입니다.
16.진짜사나이에서 교회가 불타는 장면입니다.
17.영화 지상만가에서 모션컨트롤 시스템이 사용된 부분입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움직임 노컷의 장면을 찍기 위해서는 모션 컨트롤이 무척 도움이 될것입니다.
18.지상만가에서 아카데미 시상식 장면입니다.
이제 국내 영화에 있어서 cg 사용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국내 영화에서의 CG활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의 진단
제작 기술과 제작 환경의 문제
1. 감각의 부재, 적당주의적 태도
우선 시각적으로 가장 먼저 드러나는 문제이다. <구미호>는 <천녀유혼>의 아류작이라는 말은 접어두고서라도, 컴퓨터 그래픽스 부분에서 말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부끄러운 장면이 많았다. 이를테면 애니메이션 몰핑(음직이면서 몰핑이 되는 기법)은 단 한 장면도 없었다. 너무 낮은 해상도로 컴퓨터 그래픽스 작업을 하고 출력한 나머지, 컴퓨터 그래픽스가 삽입된 부분은 너무 흐릿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합성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매트 라인이 드러나는 부분도 있었다.
아까 영화 구미호에서 보셨다시피 컴퓨터 그래픽스가 사용된 부분과 실사로 찍은 장면의 해상도가 이질감이 느껴질 정도로 차이가 난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보통 영화를 제작하기 위한 컴퓨터 그래픽의 최저 해상도는 2048 X 1365픽셀 정도 되어야 하는데, 구미호는 1280 X 840픽셀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런 이유는 영화 개봉시기를 흥행이 잘되는 시기에 맞추려다 보니 시간에
키워드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소득보장제도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향
장애우 교육현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우리나라의 공직분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부동산금융][부동산투자신탁][리츠-REITs]부동산 금융과 부동산투자신탁(리츠-REITs)의 배경...
[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산업(음악산업)의 정의, 음반산업(음악산업)의 특성, 음반산업(음악...
농산물 가격정책의 문제와 그효과및 개선방향
아동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10'06월), 아동학대방지법과 관련법 중심
교사평가제도(교원평가)의 개념, 교사평가제도(교원평가)의 목적, 교사평가제도(교원평가)의 ...
[음반제작][음반제작 구조][음반제작 단계][음반제작 해외진출전략][음반제작 문제점][음반제...
음반산업(음악사업) 개념, 음반산업(음악사업) 특징, 음반산업(음악사업) 동향, 음반산업(음...
[사회 복지] 다문화가정의 형태, 실태, 문제점, 사회복지관련 정책과 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향
2013년 누리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누리과정 도입의 긍정적 효과와 개선방향에 대하여 서술...
다문화 - 다문화 가정의 실태와 정책 (다문화 가정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정책과 개선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