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구문화의 수입과 메이지유신
2. 근대국가의 형성
3. 일본의 근대화와 아시아
4. 자본주의의 발달과 국민의 생활
5. 제1차세계대전이후의 일본
2. 근대국가의 형성
3. 일본의 근대화와 아시아
4. 자본주의의 발달과 국민의 생활
5. 제1차세계대전이후의 일본
본문내용
맹을 탈퇴하고, 워싱턴 해군군축조약 폐기·런던 해군군축회의 탈퇴등을 통해 군비확장을 꾀하였다.
1936년 2월 26일 급진적인 육군장교들이 반란을 일으켜 정부요인을 암살한 2·26사건이 일어나자, 군 부는 군부대신 현역무관제를 부활시켜 군부의 지지가 없이는 내각을 조직할 수 없게 만들었다.
만주사변이후 언론·학문연구의 자유가 없어져, [천황기관설]이 반국체적 학설로 공격을 받고, 자유주 의·사회주의 입장의 대학교수·연구자들이 탄압을 받았다.
(6) 중일전쟁과 전시체제의 강화
국제적으로 고립된 일본은 1936년 독일, 1937년에 이탈리아와 방공(防共)협정을 맺어, 추축진영을 형 성하였다. 1937년 일본군은 노구교(蘆溝橋)사건을 일으켜 중국과 전면전을 개시하여, 남경에서 20-30 만명을 학살하였다. 중국에서는 국공합작을 통해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고, 미국·영국·소련등의 원조 로 항일전쟁을 계속하였다.
중일전쟁이 장기화하자 일본정부는 1938년 의회의 승인없이 물자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국가총동 원법을 제정하였다. 군사비는 증가하여 1938년도에는 국가세출의 4분의 3을 차지하였다.
1939년 9월 제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전쟁불개입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1940년 5월-6월에 독일이 대승리를 계기로, 석유·고무등의 물자 확보를 위해 열강의 동남아시아 식민지를 점령해야 한다 는 여론이 육군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1940년 7월, 전체주의적 일당조직을 만들려는 신체제운동이 육군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정당이 해체 되었다. 일본정부는 1940년 9월 남진정책을 결정, 북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주하고 독일·이탈리아 와 삼국동맹조약을 맺었다. 10월 수상을 총재로 하는 대정익찬회(大政翼贊會)가 발족하여 의회제도는 유명무실해졌으며, 노동조합은 해산되고 전쟁 협력을 위한 산업보국회가 결성되었다.
1940-41년에는 생활필수품의 배급제와 쌀의 공출제도가 실시되었다. 소비물자 부족으로 국민생활은 매우 어려웠다. 정부와 군부는 군국주의·국가주의 선전에 주력하여, 1941년에는 전시교육체제를 만들 었으며, 전쟁이 격화되자 노동력과 전투력확보를 위해 중학교 이상의 수업연한을 단축하였다.
(7) 태평양전쟁
일본정부는 1941년 4월 소일중립조약을 맺었으나, 6월 독소전쟁이 일어나자 소련과의 전쟁도 각오하면 서, 7월에 남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주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은 영국·중국·네델란드등과 함께 경제봉쇄를 강화하여 일본군의 대외침략을 막으려 하였다. 큰 타격을 입은 일본에서는 육군·해군에서 대미개전론이 대두되었다.
1941년 10월 미국이 중국대륙·인도차이나 일본군의 철수·삼국동맹의 폐기등을 요구하자, 일본은 개 전을 결정하고, 12월 일본해군이 하와이의 진주만 미국해군기지를 공격하면서 미국·영국에 선전 포고 하였다. 이로서 태평양전쟁이 개시되고, 삼국동맹에 의거하여 독일·이탈리아도 미국에 선전 포고하였 다.
개전후 반년동안 일본은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을 점령하였으나, 1942년 미드웨이해전을 계기로 전황은 역전한다. 1943년의 연합국군의 반격으로 일본군은 각지에서 패배하였으며, 1944년 7월에는 남양의 군 사기지 사이판이 미국군에 점령되었다.
통제된 언론과 필수물자의 결핍 속에서 일본국민들은 거국일치하여 전쟁에 협력하였으나, 생산능력을 총동원해서도 미국의 생산력에 대항할 수 없었다. 중학이상의 남녀학생과 노인까지 군수공장에 근로동 원되고, 한국인들과 중국인들도 강제징용되었으며, 1943년에는 학도병이 동원되었다.
1944년이후 미공군의 일본본토 공습이 본격화하였다. 1945년 6월에는 오키나와가 미군에게 점령되었 다. 유럽에서도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였다. 1945년 7월 포츠담선언에서 는 일본의 항복을 촉구하였으나, 일본정부는 이를 묵살하였다. 미국은 동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으며, 소련은 대일선전을 포고하고 만주와 치시마에 침입하였다.
일본정부는 결국 군부의 전쟁계속론을 천황의 결단이라는 형태로 눌렀다. 1945년 8월 14일 포츠담선언 수락을 연합국에 통고하고 15일에 라디오방송을 통해 천황이 이를 국민에게 알렸으며, 9월2일에는 항 복문서를 조인하였다. 이로서 제2차세계대전은 추측진영의 패배로 끝나게 되었다.
1. 서구문화의 수입과 메이지유신
2. 근대국가의 형성
3. 일본의 근대화와 아시아
4. 자본주의의 발달과 국민의 생활
5. 제1차세계대전이후의 일본
1936년 2월 26일 급진적인 육군장교들이 반란을 일으켜 정부요인을 암살한 2·26사건이 일어나자, 군 부는 군부대신 현역무관제를 부활시켜 군부의 지지가 없이는 내각을 조직할 수 없게 만들었다.
만주사변이후 언론·학문연구의 자유가 없어져, [천황기관설]이 반국체적 학설로 공격을 받고, 자유주 의·사회주의 입장의 대학교수·연구자들이 탄압을 받았다.
(6) 중일전쟁과 전시체제의 강화
국제적으로 고립된 일본은 1936년 독일, 1937년에 이탈리아와 방공(防共)협정을 맺어, 추축진영을 형 성하였다. 1937년 일본군은 노구교(蘆溝橋)사건을 일으켜 중국과 전면전을 개시하여, 남경에서 20-30 만명을 학살하였다. 중국에서는 국공합작을 통해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고, 미국·영국·소련등의 원조 로 항일전쟁을 계속하였다.
중일전쟁이 장기화하자 일본정부는 1938년 의회의 승인없이 물자나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국가총동 원법을 제정하였다. 군사비는 증가하여 1938년도에는 국가세출의 4분의 3을 차지하였다.
1939년 9월 제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전쟁불개입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1940년 5월-6월에 독일이 대승리를 계기로, 석유·고무등의 물자 확보를 위해 열강의 동남아시아 식민지를 점령해야 한다 는 여론이 육군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1940년 7월, 전체주의적 일당조직을 만들려는 신체제운동이 육군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정당이 해체 되었다. 일본정부는 1940년 9월 남진정책을 결정, 북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주하고 독일·이탈리아 와 삼국동맹조약을 맺었다. 10월 수상을 총재로 하는 대정익찬회(大政翼贊會)가 발족하여 의회제도는 유명무실해졌으며, 노동조합은 해산되고 전쟁 협력을 위한 산업보국회가 결성되었다.
1940-41년에는 생활필수품의 배급제와 쌀의 공출제도가 실시되었다. 소비물자 부족으로 국민생활은 매우 어려웠다. 정부와 군부는 군국주의·국가주의 선전에 주력하여, 1941년에는 전시교육체제를 만들 었으며, 전쟁이 격화되자 노동력과 전투력확보를 위해 중학교 이상의 수업연한을 단축하였다.
(7) 태평양전쟁
일본정부는 1941년 4월 소일중립조약을 맺었으나, 6월 독소전쟁이 일어나자 소련과의 전쟁도 각오하면 서, 7월에 남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진주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은 영국·중국·네델란드등과 함께 경제봉쇄를 강화하여 일본군의 대외침략을 막으려 하였다. 큰 타격을 입은 일본에서는 육군·해군에서 대미개전론이 대두되었다.
1941년 10월 미국이 중국대륙·인도차이나 일본군의 철수·삼국동맹의 폐기등을 요구하자, 일본은 개 전을 결정하고, 12월 일본해군이 하와이의 진주만 미국해군기지를 공격하면서 미국·영국에 선전 포고 하였다. 이로서 태평양전쟁이 개시되고, 삼국동맹에 의거하여 독일·이탈리아도 미국에 선전 포고하였 다.
개전후 반년동안 일본은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을 점령하였으나, 1942년 미드웨이해전을 계기로 전황은 역전한다. 1943년의 연합국군의 반격으로 일본군은 각지에서 패배하였으며, 1944년 7월에는 남양의 군 사기지 사이판이 미국군에 점령되었다.
통제된 언론과 필수물자의 결핍 속에서 일본국민들은 거국일치하여 전쟁에 협력하였으나, 생산능력을 총동원해서도 미국의 생산력에 대항할 수 없었다. 중학이상의 남녀학생과 노인까지 군수공장에 근로동 원되고, 한국인들과 중국인들도 강제징용되었으며, 1943년에는 학도병이 동원되었다.
1944년이후 미공군의 일본본토 공습이 본격화하였다. 1945년 6월에는 오키나와가 미군에게 점령되었 다. 유럽에서도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였다. 1945년 7월 포츠담선언에서 는 일본의 항복을 촉구하였으나, 일본정부는 이를 묵살하였다. 미국은 동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으며, 소련은 대일선전을 포고하고 만주와 치시마에 침입하였다.
일본정부는 결국 군부의 전쟁계속론을 천황의 결단이라는 형태로 눌렀다. 1945년 8월 14일 포츠담선언 수락을 연합국에 통고하고 15일에 라디오방송을 통해 천황이 이를 국민에게 알렸으며, 9월2일에는 항 복문서를 조인하였다. 이로서 제2차세계대전은 추측진영의 패배로 끝나게 되었다.
1. 서구문화의 수입과 메이지유신
2. 근대국가의 형성
3. 일본의 근대화와 아시아
4. 자본주의의 발달과 국민의 생활
5. 제1차세계대전이후의 일본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기업의 발전과정과 최고경영자와 기업문화에 대해 조사 분석
해방이후 청소년 복지 문화시설의 발전과 향후과제
[PPT]과학과 기술발전과 대중문화의 흐름
[방통대 무역학과 무역학연습]EU의 발전과정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함, 유럽연합(EU)의 형...
중세 봉건제도의 붕괴와 발전과정 및 중세문화의 쇠퇴
[종교의이해A+] 이슬람교의 문화적 배경 및 성립 및 발전사례 분석
다문화 가정의 현황, 문제점, 특징, 고찰과 분석, 전망 및 발전방향 제시 [2012년 평가우수자료]
강원도 문화·관광 현황과 관광환경 발전을 위한 방안
[기술혁신]기술혁신과 지역경제발전, 지역혁신체제(RIS), 기술혁신과 국가혁신체제(NIS), 기...
[농사회와 농문화] 쌀의 역사 - 쌀의 전래과정, 쌀의 전설, 농경의 시작, 토지제도, 이앙법, ...
[유아문학] <한국아동문학의 역사와 발전> 구비문학 시대, 아동문화운동시대, 아동문학운동...
아동문학이 근대 서구 문화 사조에 어떻게 영향을 받아 왔는지 아동문학과 근대 서구 문화와 ...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와 현황, 그리고 발전 방안
[한국어교육] 다문화 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의 해결과제와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