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DNA의 발견
Ⅱ. DNA의 구조
Ⅲ. DNA의 평형배열
Ⅳ. DNA의 합성
Ⅴ. DNA의 복제
1. DNA 중합효소
2. 복제 분기점
3. 복제의 정확성
4. 복제 개시점과 복제의 개시
5. 말단소체와 텔로머라제
Ⅵ. DNA의 회복
1. DNA 분자의 변화
1) DNA 구조를 변화시키는3가지 메커니즘
2) DNA 손상의 종류
2. 회복의 생물학적 증거
3. Thymine dimer 회복의 생화학적 메커니즘
4. 광재활성화(photoreactivation)
5. 절제회복(excision repair)
6. 재조합 회복(recombination repair)
7. SOS 회복
Ⅶ. DNA의 활용 사례
참고문헌
Ⅱ. DNA의 구조
Ⅲ. DNA의 평형배열
Ⅳ. DNA의 합성
Ⅴ. DNA의 복제
1. DNA 중합효소
2. 복제 분기점
3. 복제의 정확성
4. 복제 개시점과 복제의 개시
5. 말단소체와 텔로머라제
Ⅵ. DNA의 회복
1. DNA 분자의 변화
1) DNA 구조를 변화시키는3가지 메커니즘
2) DNA 손상의 종류
2. 회복의 생물학적 증거
3. Thymine dimer 회복의 생화학적 메커니즘
4. 광재활성화(photoreactivation)
5. 절제회복(excision repair)
6. 재조합 회복(recombination repair)
7. SOS 회복
Ⅶ. DNA의 활용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과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에 관한 모든 기억을 서서히 잃어가는 신경질환이다. 이 병에 걸린 사람은 팔과 다리를 통제하는 능력도 잃는다. 처음에는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못하게 되지만, 심해지면 무의식적으로 팔다리가 계속 홱 움직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냉혹하게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이 병에는 치료약도, 치료법도 없었다. 이제 앨리스와 낸시는 어머니의 친척들에게 알려져 있던 불편한 사실들과 어머니에게 언뜻언뜻 엿보였던 기색들이 자기 일가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뜻임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외삼촌 세 명이 모두 똑같이 얼굴을 찌푸리고 불안하게 걷고 말을 또렷이 못하는 증상을 보이다가 일찍 죽었으며 그들의 외할아버지 역시 일찍 사망했다는 것을 알았다. 이제 그들은 헌팅턴 병이 가족에게 대물림 되는 병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 질병은 1872년에 조지 헌팅턴이 처음 밝혀냈다. 그는 이런 유전적 장애의 핵심 특징들을 제대로 파악했다. 그는 그 병이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헌팅턴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결국 DNA 서열 분석 시대가 되자 그저 몇 세대의 DNA를 분석하면 가계도에서 그런 DNA 표지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DNA 서열 분석으로 우리는 헌팅턴병, 뒤시엔근이영양증과 기타 암과 같은 여러 질병이 가족과 연관된 유전적 영향이 크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게 되었다.
1934년 노르웨이의 한 젊은 어머니가 자신의 두 아이에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아내기로 결심했다. 두 아이는 각각 네 살과 일곱 살이었고, 태어날 때는 완벽하게 정상처럼 보였다. 하지만 큰 아이는 일곱 살이 되어서도 용변을 제대로 가리지 못했고, 말도 완전한 문장을 구성하기는커녕 몇 마디밖에 할 줄 몰랐다. 생화학자이자 의사였던 아스비에른 암링은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온갖 종합검사를 한 끝에 암링은 그 증상이 생화학적 이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아이들의 소변에 페닐알라닌이 너무 많이 들어 있었다. 또 그는 그런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그들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노르웨이 전역을 뒤져서 22개의 가계에 속한 34명에게서 그런 증상을 발견했고, 자신이 유전병을 찾아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증상이 나타나려면 부모로부터 그 돌연변이 유전자를 한 개씩 두개 물려받아야 한다. 그러면 제 기능을 하는 효소가 없기 때문에 아이 때에 페닐알라닌이 혈액에 축적되면서 뇌 발달이 저해되고 결국 심각한 정신 장애가 나타난다. 예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태어날 때부터 페닐알라닌 함량이 낮은 음식만 먹이면 된다.
이렇게 DNA로 인해 인간은 유전병을 발견하기도 하고, 예방 및 치료를 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아이를 출산하기도 한다. 이제 우리는 유전학, 생명공학의 발달로 복제인간까지 만들 수 있는 수준까지 오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 윤리, 도덕적 문제가 거론되면서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DNA와 인간의 생활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까지 오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승철, DNA에서 만나는 신과 인간, 동연, 2002
데이비드 토머스머, 토머신 쿠시너, 탄생에서 죽음까지
제임스 D. 왓슨, 이한음 역, DNA를 향한 열정, 사이언스북스, 2003
중앙일보, 생명복제와 과학윤리, 1997
Didier Chatenay, Multiple Aspects of DNA and RNA, Elsevier Science, Basic DNA and Rna Protocols, Humana Pr Inc, 2005
天笠啓祐, 유전자와 생명 복제에 관한 100문 100답, 서울 : 고려문화사, 2001
이 질병은 1872년에 조지 헌팅턴이 처음 밝혀냈다. 그는 이런 유전적 장애의 핵심 특징들을 제대로 파악했다. 그는 그 병이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헌팅턴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결국 DNA 서열 분석 시대가 되자 그저 몇 세대의 DNA를 분석하면 가계도에서 그런 DNA 표지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DNA 서열 분석으로 우리는 헌팅턴병, 뒤시엔근이영양증과 기타 암과 같은 여러 질병이 가족과 연관된 유전적 영향이 크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게 되었다.
1934년 노르웨이의 한 젊은 어머니가 자신의 두 아이에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아내기로 결심했다. 두 아이는 각각 네 살과 일곱 살이었고, 태어날 때는 완벽하게 정상처럼 보였다. 하지만 큰 아이는 일곱 살이 되어서도 용변을 제대로 가리지 못했고, 말도 완전한 문장을 구성하기는커녕 몇 마디밖에 할 줄 몰랐다. 생화학자이자 의사였던 아스비에른 암링은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온갖 종합검사를 한 끝에 암링은 그 증상이 생화학적 이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아이들의 소변에 페닐알라닌이 너무 많이 들어 있었다. 또 그는 그런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그들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노르웨이 전역을 뒤져서 22개의 가계에 속한 34명에게서 그런 증상을 발견했고, 자신이 유전병을 찾아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증상이 나타나려면 부모로부터 그 돌연변이 유전자를 한 개씩 두개 물려받아야 한다. 그러면 제 기능을 하는 효소가 없기 때문에 아이 때에 페닐알라닌이 혈액에 축적되면서 뇌 발달이 저해되고 결국 심각한 정신 장애가 나타난다. 예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태어날 때부터 페닐알라닌 함량이 낮은 음식만 먹이면 된다.
이렇게 DNA로 인해 인간은 유전병을 발견하기도 하고, 예방 및 치료를 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아이를 출산하기도 한다. 이제 우리는 유전학, 생명공학의 발달로 복제인간까지 만들 수 있는 수준까지 오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 윤리, 도덕적 문제가 거론되면서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DNA와 인간의 생활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까지 오게 되었다.
참고문헌
김승철, DNA에서 만나는 신과 인간, 동연, 2002
데이비드 토머스머, 토머신 쿠시너, 탄생에서 죽음까지
제임스 D. 왓슨, 이한음 역, DNA를 향한 열정, 사이언스북스, 2003
중앙일보, 생명복제와 과학윤리, 1997
Didier Chatenay, Multiple Aspects of DNA and RNA, Elsevier Science, Basic DNA and Rna Protocols, Humana Pr Inc, 2005
天笠啓祐, 유전자와 생명 복제에 관한 100문 100답, 서울 : 고려문화사,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