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글의 정의
Ⅱ. 한글의 특징
Ⅲ. 한글의 우수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 제작 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3. 어버이와 생일을 가진 유일(唯一)한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Ⅳ. 한글맞춤법의 배경
Ⅴ. 한글맞춤법의 원칙
1.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2.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3. 파생어, 합성어는 어원을 밝혀 적는다
1) 홑받침(16개)
2) 겹받침(11개)
Ⅵ. 한글맞춤법의 단계
Ⅶ.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참고문헌
Ⅱ. 한글의 특징
Ⅲ. 한글의 우수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 제작 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3. 어버이와 생일을 가진 유일(唯一)한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Ⅳ. 한글맞춤법의 배경
Ⅴ. 한글맞춤법의 원칙
1.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2.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3. 파생어, 합성어는 어원을 밝혀 적는다
1) 홑받침(16개)
2) 겹받침(11개)
Ⅵ. 한글맞춤법의 단계
Ⅶ.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글의 정의, 한글의 특징, 한글의 우수성, 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의 원칙, 한글맞춤법의 단계,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분석
Ⅰ. 한글의 정의
Ⅱ. 한글의 특징
Ⅲ. 한글의 우수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 제작 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3. 어버이와 생일을 가진 유일(唯一)한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Ⅳ. 한글맞춤법의 배경
Ⅴ. 한글맞춤법의 원칙
1.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2.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3. 파생어, 합성어는 어원을 밝혀 적는다
1) 홑받침(16개)
2) 겹받침(11개)
Ⅵ. 한글맞춤법의 단계
Ⅶ.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참고문헌
Ⅰ. 한글의 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의 현대적 명칭. 한글을 애초에 훈민정음이라고 이름 하던 세종(世宗) 창제 28자는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아햇글가갸글국서(國書)국문(國文)조선글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 특히 언문이라는 명칭은 세종 당대부터 쓰였는데, 한글이라는 이름이 일반화하기 전까지는 그 이름이 널리 쓰였다. 그러다가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의식의 각성과 더불어 국문이라고 주로 부르다가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는데, 이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1913)의 끝에 횡서(橫書) 제목으로 한글이라 한 것이 있다. 이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되기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가 주동이 되어 훈민정음 반포 8주갑(週甲)이 되는 해인 병인년(丙寅年:1926) 음력 9월 29일을 반포기념일로 정하여 가갸날로 이름 지은 뒤, 1928년에는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르게 되면서부터이다. 한글이라는 말 자체의 뜻은 한(韓) 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이란 뜻이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의하면, 한글은 자음(子音) 14자, 모음(母音) 10자, 합계 24자의 자모(字母)로 이루어져 있다. 1자 1음소(一字一音素)에 충실한 음소문자(音素文字)인 이 한글 자모 24자는 훈민정음 28자 가운데서 , 壙, 咬, 胱의 네 글자가 제외된 24자인데, 그 중 [∧], 壙[z], 咬[
Ⅰ. 한글의 정의
Ⅱ. 한글의 특징
Ⅲ. 한글의 우수성
1. 세종의 민주 사상과 한글
2. 제작 원리가 소상히 밝혀진 글자
3. 어버이와 생일을 가진 유일(唯一)한 글자
4. 참으로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발명 문자
5. 음소(音素) 문자와 음절(音節) 문자의 두 장점을 가진 글자
6. 자음(子音)과 모음(母音)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는 글자
7. 일정한 소리를 가진 글자
8. 가장 익히기 쉬운 글자
Ⅳ. 한글맞춤법의 배경
Ⅴ. 한글맞춤법의 원칙
1.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
2.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
3. 파생어, 합성어는 어원을 밝혀 적는다
1) 홑받침(16개)
2) 겹받침(11개)
Ⅵ. 한글맞춤법의 단계
Ⅶ. 한글맞춤법의 위반 사례
참고문헌
Ⅰ. 한글의 정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의 현대적 명칭. 한글을 애초에 훈민정음이라고 이름 하던 세종(世宗) 창제 28자는 언문(諺文)언서(諺書)반절(反切)암클아햇글가갸글국서(國書)국문(國文)조선글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 특히 언문이라는 명칭은 세종 당대부터 쓰였는데, 한글이라는 이름이 일반화하기 전까지는 그 이름이 널리 쓰였다. 그러다가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의식의 각성과 더불어 국문이라고 주로 부르다가 한글이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는데, 이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1913)의 끝에 횡서(橫書) 제목으로 한글이라 한 것이 있다. 이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되기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가 주동이 되어 훈민정음 반포 8주갑(週甲)이 되는 해인 병인년(丙寅年:1926) 음력 9월 29일을 반포기념일로 정하여 가갸날로 이름 지은 뒤, 1928년에는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르게 되면서부터이다. 한글이라는 말 자체의 뜻은 한(韓) 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이란 뜻이다.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의하면, 한글은 자음(子音) 14자, 모음(母音) 10자, 합계 24자의 자모(字母)로 이루어져 있다. 1자 1음소(一字一音素)에 충실한 음소문자(音素文字)인 이 한글 자모 24자는 훈민정음 28자 가운데서 , 壙, 咬, 胱의 네 글자가 제외된 24자인데, 그 중 [∧], 壙[z], 咬[
추천자료
[인문과학] 한글에 대하여
로마자 표기법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
우리 주변의 매체에서 언어 규범(맞춤법 규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규정, 언어 예절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맞춤법 교육의 문제점
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신문 방송에서의 맞춤법 오류
tv와 책의 맞춤법 오류 조사
국어 정서법의 실태와 그 문제점
[맞춤아기]맞춤형 아기 출산, 무엇이 문제인가? - 맞춤형아기(Designer baby)를 둘러싼 논란...
정서법의 실태
맞춤법_프리젠테이션
[언어훼손, 맞춤법, 전자언어, 통신언어, 인터넷언어, 문학작품]언어훼손과 맞춤법, 언어훼손...
맞춤형 급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급여 중 1~2가지를 선택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이전 제도...
3가지 언어교육 접근법(발음중심, 총체적, 균형적 접근법)의 장단점 및 바람직한 언어교육 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