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대책 10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면, 설거지 하는 동안 물은 반드시 받아쓴다.

2. 배수구 거름망엔 헌 스타킹을 씌운다.

3. 쓰고 난 알루미늄캔의 내용을 깨끗이 버리고 납작하게 눌러서 재활용 한다.

4. 음식을 준비할 때 버리는 양을 계산해서 남지 않게 하며 장을 볼 때는 미리 냉장고를 확인하고 살 것의 목록을 만든다.

5. 냉장고의 온도를 필요이상 낮게 하지 않는다.

6. 다 쓴 건전지는 수집통을 만들어 모으자.

7.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자가용 승용차 10부제 운행에 적극 참여합시다.

8. 유리제품 분리수거에 적극 협조합시다. 유리제품은 색깔별로 분리하여 수집합시다.

9. 폐지 수집은 수집해서 따로 버리고 폐지 분리 시 신문지도 따로 분리한다.

10. 폐식용유를 모아 저공해 재생비누를 만들어 사용 한다.

본문내용

줄일 수 있다.
9. 폐지 수집은 수집해서 따로 버리고 폐지 분리 시 신문지도 따로 분리한다.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1년 종이 소비량은 약 153kg이며 15년 정도 자란 나무 26그루로 700개정도의 종이 봉지를 만들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 모두가 한 개씩의 종이 봉지를 아끼면 약 6만 4천 그루의 나무를 살릴 수 있다. 또한 폐지로 새 종이를 만들게 되면 나무로 만드는 것보다 화석 연료 소비를 30~50%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생산 시 발생되는 대기오염의 95%까지 줄일 수 있다.
10. 폐식용유를 모아 저공해 재생비누를 만들어 사용 한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유기물 중 가장 오염도가 높은 것이 폐식용유로 물고기가 살 수 있는 물 5ppm이하에 비해 20만 배인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약 1000000 ppm이다. 폐식용유를 20cc를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4000L의 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폐식용유를 하수도로 바로 보내게 되면 하수 오염이 극심해 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오염은 폐식용유에 가성소다를 섞어 저공해 재생 비누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폐식용유를 활용한 폐식용유 천연비누는 동ㆍ식물성 비누에 비해 우수한 생분해도를 보이며 가정에서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천연비누로서 재활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폐식용비누의 비교
위 그래프는 AOS, 천연비누, LAS 순서로 수중에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폐식용유 재생비누는 4일 경과 후 수중에서 100% 완전 분해되며 타 유지보다 급격히 빠른 산소소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키워드

실생활,   환경,   오염,   대책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4.2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