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개별 국가들의 전통적인 무역정책과 수입장벽
1. 무역정책
2. 관세 장벽 - 관세에 의거한 장벽
3. 비관세 장벽
제 2절 WTO출범과 그 GLOBAL MARKETING 시사점
1. GATT 다자간 협사의 변천
2. GATT와 대조되는 WTO의 성격과 기능
3. WTO의 구조와 운영
4. WTO출범으로 대폭 바꾼 GLOBAL 무역/ MARKETING 개념
5. WTO출범의 파급효과와 시사점
제 3절 NEW ROUND와 그 GLOBAL MARKETING 시사점
1. GREEN ROUND
2. BLUE ROUND
3. 기술 ROUND
4. 경쟁 ROUND
1. 무역정책
2. 관세 장벽 - 관세에 의거한 장벽
3. 비관세 장벽
제 2절 WTO출범과 그 GLOBAL MARKETING 시사점
1. GATT 다자간 협사의 변천
2. GATT와 대조되는 WTO의 성격과 기능
3. WTO의 구조와 운영
4. WTO출범으로 대폭 바꾼 GLOBAL 무역/ MARKETING 개념
5. WTO출범의 파급효과와 시사점
제 3절 NEW ROUND와 그 GLOBAL MARKETING 시사점
1. GREEN ROUND
2. BLUE ROUND
3. 기술 ROUND
4. 경쟁 ROUND
본문내용
에 대한 수출이 크게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④ILO노동기준을 BLUE ROUND에 적용시키게 되면 노동계에 큰 변혁의 바람이 불 수 있다.
3. 기술 ROUND
1)기술 라운드 추진 새력과 동기
미국, 일본, EU등 기술 선진국들이 주도하고 있는 국제 협상을 통한 국제기술 규범의 제정및 보완과 관련된 일련의 움직임
①국제 무역이 자본, 기술, 인력의 동시이동 개념으로 바뀌었고, 경쟁의 장소도 기술의 영ㅇ역으로 바뀌었다.
②기술 선진국들의 과학, 기술을 개발국들과 개도국들이 거의 무료로 편승해 왔다고 인식
③개도국들이 표절 침해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불공정하게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 무역에서 불공정 이득을 올리고 있다고 인식
④개도국들이 표절침해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의 격차를 좁히는 것을 방지
2)기술 라운드가 추구하는 규범과 규제
①지적 소유권 보호를 다자간 협상을 통해 국제 기술 규범으로 제정
②전략적 산업을 선별하여 집중 육성하는 데 대한 제도적 규제 장치 마련
③각국 정부의 민간에 대한 연구, 개발 보조금 지원을 제한
④국제 기술 규격및 인증제도를 엄격화
⑤연구, 개발활동을 위한 과학 기술 인력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 한국과 기업들에게 주는 영향
①지적 소유권 보호의 강화
②정부의 기업에 대한 연구 개발 보조금 규제
③국제 기술 규격및 인증제도의 엄격화
3) 기술 라운드가 한국기업에게 주는 파급효과 및 시사점
①기술 사용료 증가로 경쟁력 약화될 소지가 있다
②규격, 인증제도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피해
4) 기술 라운드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책
①주요 수출국들의 표준화 제도에 맞추어야 한다.
②자체의 기초 연구개발활동 및 상품화 연구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③각국의 특허및 표준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여 기술 보호주의 강화에따른 마찰을 사전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④철저한 특허 관리를 통하여 기술 개발 이익을 최대화 해야 한다.
4. 경쟁 ROUND
* 국제 무역 관련 공정 경쟁을 조장하고 촉진시키기 위해 시장조건을 평준화
1) 배경
①무역 분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세계 차원의 법률과 제도의 마련이 시급
②완저한 시장의 개방과 자국기업에게 유리하게 구성된 시장 구조, 기업 관행의 차이를 없애서 경쟁 조건을 평준화
2) 경쟁 ROUND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책
급속한 GLOBAL화와 GLOBAL 경영및 MARKETING 활동을 확대해야 한다..
④ILO노동기준을 BLUE ROUND에 적용시키게 되면 노동계에 큰 변혁의 바람이 불 수 있다.
3. 기술 ROUND
1)기술 라운드 추진 새력과 동기
미국, 일본, EU등 기술 선진국들이 주도하고 있는 국제 협상을 통한 국제기술 규범의 제정및 보완과 관련된 일련의 움직임
①국제 무역이 자본, 기술, 인력의 동시이동 개념으로 바뀌었고, 경쟁의 장소도 기술의 영ㅇ역으로 바뀌었다.
②기술 선진국들의 과학, 기술을 개발국들과 개도국들이 거의 무료로 편승해 왔다고 인식
③개도국들이 표절 침해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불공정하게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 무역에서 불공정 이득을 올리고 있다고 인식
④개도국들이 표절침해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개발의 격차를 좁히는 것을 방지
2)기술 라운드가 추구하는 규범과 규제
①지적 소유권 보호를 다자간 협상을 통해 국제 기술 규범으로 제정
②전략적 산업을 선별하여 집중 육성하는 데 대한 제도적 규제 장치 마련
③각국 정부의 민간에 대한 연구, 개발 보조금 지원을 제한
④국제 기술 규격및 인증제도를 엄격화
⑤연구, 개발활동을 위한 과학 기술 인력의 자유로운 이동 보장
### 한국과 기업들에게 주는 영향
①지적 소유권 보호의 강화
②정부의 기업에 대한 연구 개발 보조금 규제
③국제 기술 규격및 인증제도의 엄격화
3) 기술 라운드가 한국기업에게 주는 파급효과 및 시사점
①기술 사용료 증가로 경쟁력 약화될 소지가 있다
②규격, 인증제도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피해
4) 기술 라운드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책
①주요 수출국들의 표준화 제도에 맞추어야 한다.
②자체의 기초 연구개발활동 및 상품화 연구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③각국의 특허및 표준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여 기술 보호주의 강화에따른 마찰을 사전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④철저한 특허 관리를 통하여 기술 개발 이익을 최대화 해야 한다.
4. 경쟁 ROUND
* 국제 무역 관련 공정 경쟁을 조장하고 촉진시키기 위해 시장조건을 평준화
1) 배경
①무역 분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세계 차원의 법률과 제도의 마련이 시급
②완저한 시장의 개방과 자국기업에게 유리하게 구성된 시장 구조, 기업 관행의 차이를 없애서 경쟁 조건을 평준화
2) 경쟁 ROUND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책
급속한 GLOBAL화와 GLOBAL 경영및 MARKETING 활동을 확대해야 한다..
추천자료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전망
무역마찰배경과 한중무역마찰
WTO와 중국경제
세계화경쟁에서의 국가간 및 기업간 경쟁과 국제경쟁력 강화방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득과 실
World Trade Organization(세계무역기구)
한미FTA의 주요내용과 장단점 및 산업별효과 및 영향과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FTA완벽총정리)
WTO체제와 한국
국제무역기구 & 국제경제기구
WTO분쟁해결제도와 사례
[무역][무역 분류][무역 원칙][무역 환경변화][무역 장벽][무역 제도 관리][무역정책][무역 ...
WTO와 FTA는 양립할 수 있을 것인가?
WTO법 핵심사례:참치-돌고래/새우-거북이 Case 분석 논문
국제통상 체제의 변화 과정,GATT 체제,GATT의 의의,WTO 체제,WTO의 과제,WTO VS GATT,DDA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