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염 case 스터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궤양성대장염 case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① 정의
② 병리생태
③ 원인
④ 임상증상
⑤ 치료
⑥ 간호
⑦ 진단검사
⑧ 합병증

Ⅱ. Case Study

① 일반적 배경
② 건강력
③ 간호력
④ 신체검진
⑤ 진단검사
⑥ 약물
⑦ 간호과정

본문내용

의 병변 범위에 따라 다르다. 설사가 심한 경우에는 하루에 500~1700ml의 수분이 손실될수있다. 배설요구에 대한 긴박감과 경련성 복통이 설사와 함께 발생하며 혈액, 점액, 농 등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복부 왼아래구역의 산통을 경험한다. 심한 경우에는 오심 구토, 식욕부진, 체중감소, 혈정칼륨, 혈청 단백질, 프로트롬빈, 수분 등이 상실된다. 빌혈 정도는 혈액손실정도와 질병의 심한 정도, 음식물로 철분을 섭취한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급성일 경우에는 체온이 상승한다. 심한 설사와 구토는 대사성 산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신체검진시 복부 왼아래 구역을 감싸며, 압통, 복부팽만 등이 있다. 호전되다가도 정서적 긴장, 무분별한 식사, 하제나 항생제 등 자극성 물질을 섭취함으로써 재발사되기도 한다. 또한 육체적 노동, 호흡기 감염 및 지나친 피로감 등에 의해 재발된다.
치료
(1) 약물관리
지사제: loperamide hydrochloride (imodium)는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 atropine diphenoxylate hydrochloride(Lomitil)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아편 제제의 약물들은 복부팽만과 거대결장을 일으킬 수도 있다. Psyllium 이나 methylcellulose와 같은 hydrophilic mucillloid 제제는 대변의 경도와 직장조절력을 증진시킨다. Belladonnadbehcp, propantheline bromide(최면제)glycopyrrolate 나 dicyclomine hydrochloride 와 같은 gfkdrudfus제는 식후 통증이나 설사를 감소시킨다.
항염제 : 일반적인 지지적 치료방법으로 낮지않는 환자에게는 항염증성 약물을 투여한다. 염증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와 corticotropin 을 다른 치료법과 함께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염증을 감소 시킴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과정을 완화시킬수 있다. 스테로이드 치료 시 생길수 있는 위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제상제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한다. 스테로이드제제는 부신기능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손상시켜 농양과 누공의 치유를 방해할수 있다. 또한 감염증상을 은폐시키므로 탈수나 천공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심한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스태ㅔ로이드 제제는 정맥이나 근육 혹은 직장이나 구강으로 투여한다. 구강으로 투여하는 형태로는 Hydrocortisone, prednisolone, prednisone 등이 있다. Hydrocortisone은 관장이나 좌약으로 투여할수도 있다. corticosteroid 제제는 장의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
면역억제제 : 면역억제제의 약효를 높이기 위해 만성기에 있는 환자에게 미리 steroids
또는adenocorticotropic hormone를 투여한다.
Methotrexate(Folex)와 Azathioprine(Immuran)은 최근 장염을 위한 치료법으로 널리 받아 들여지고있다.
부교감신경 차단제: 급성적으로 병세가 악화될 때는 복부경련과 설사를 완화시키기위해 부교감신경차단제를 투여한다. 부교감신경차단제, 지사제, 진경제등은 결장을 쉬게하고 위 결장반사를 감소시킨다.
향균제: 향균제인 Sulfonamide 제제와 항생제를 포함하며 주로 감염을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 항생제는 이차적인 장염증과 감염을 조절하기 위해 투여한다.
(2) 식이관리
총 비경구적 영양 요법은 내과적 중재에 실패한 환자, 수술을 위해 준비하는 환자, 장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필요하다. 이 영양 요법은 모든 분비자극을 제거하고 대변양을 줄임으로써 장을 쉴수 있게 하며, 체중의 증가와 질수 균형유지및 증상을 일시적으로 호전시킬수있다. 구강으로 음식과 수분을 섭취할 때 화학적 물리적으로 자극이 없어야하고 칼로리와 단백질 및 무기질등이 풍부해야한다. 저섬유소성, 저지방으로 주로 공장 상부에서 소화되는 영양적으로 균형이 잡힌 식사를 제공한다. 빈혈과 비타민 B12 결핍증도 교정한다.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는 정상적인 영양 회복을 위해주지만 항상 소화가 잘되는것은 아니다 흔히 식욕부진과 오심, 구토가 나타나며 음식을 먹는것이 설사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코코아 초코렛, 레몬주스, 찬음료, 탄산음료, 콩류나 씨앗류, 팝콘와 술 등은 피해야한다.
(3) 외과적치료
전체 직장 결장 절제술: 결장과 직장, 항문을 완전히 제거하고 회장의 말단 부위를 복벽 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하여 열구적으로 회장루를 형성한다.
회장 직장문합술: 결장을 직장의 기부만 남겨놓고 절제하며 회장의 말단부위를 기부에 문합한다. 환자는 수술후 설사를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변은 점점 고형화된다.
회장주머니 항문문합술: 직장과 항문이 정상일때 가능한 방법으로 직장조임근을 보존할 수있기 때문에 영구적인 루설치술이 필요없으며 수집주머니 착용으로 인한 신체상의 급격 한 변화를 피할수 있다.
조절성 회장루술: 회장의 고리로 저장기나 주머니를 만드는 것이다. 이방법은 환자가 회 장의 중첩된 부분으로 만들어진 유두판막으로부터 대변을 배출해낼때까지 복강내에 대변 을 저장할수있다. 환자는 목부오른쪽에 평편한 개구부를 갖게된다. 이 조절성 회장루술은 신체외부복벽에다 주머니를 달아야할 필요가 없고 피부문제를 최소화하고 대개는 대변이 나 가스가 누축되지 않는 장점이다. 환자는 가득찬 느낌이 들때마다 카테터를 사용하여 하루에 수차례 씩 주머니의 내용물을 배출해낸다.
간호
배변조절: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 흔히 지사제를 투여한다. 지사제 투여시 간호사는 배변횟수와 대변의 경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사정한다. Lomotil 의 부작용은 구강건조, 빈맥, 소변정체 등이며 Imodium 은 졸음, 구강건조, 오심과 구토, 변비가 나타날수이TEk. 이외에도 복부팽만 통증, 발열, 등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항문 주변에 찰과상이 있으므로 배변 후 따뜻한 물로 피부를 청결히 닦고 건조시킨다
영양관리: 음식물을 섭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