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본론 : 사례연구
1. 일반적 사항
2. 과거 산과력
3. 현재 산과력
4. 가족력
5. 활력징후
6. 신체검진
7. 기능적 건강양상에 대한 간호사정
8. 진단검사
9. 약물
10. 의사처방
Ⅱ. 본론 : 간호과정 *NANDA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1. 골반내염증성질환으로 인한 골반과 하복부에 심한 통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골반내염증성질환으로 인한 발열과 관련된 고체온
3. 질병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인한 치료 및 간호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Ⅲ. 결론 - 대상자교육계획안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본론 : 사례연구
1. 일반적 사항
2. 과거 산과력
3. 현재 산과력
4. 가족력
5. 활력징후
6. 신체검진
7. 기능적 건강양상에 대한 간호사정
8. 진단검사
9. 약물
10. 의사처방
Ⅱ. 본론 : 간호과정 *NANDA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1. 골반내염증성질환으로 인한 골반과 하복부에 심한 통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골반내염증성질환으로 인한 발열과 관련된 고체온
3. 질병에 대한 관심부족으로 인한 치료 및 간호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Ⅲ. 결론 - 대상자교육계획안
본문내용
6] 참고
- /08~/11 항생제 처방 : Cefkizon 1g IV
- 12/08~12/11 항생제 처방 : Doxycycline Hyclate Cap. 100mg PO
- /08~/11 항원충제 처방 : Metronidazole 0.5g 100ml IV [표 6] 참고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WBC, ESR, CRP수치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체온이 37°C 이하로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V/S를 매일 측정하고 상태를 모니터링 할 것이다.
2. 대상자의 혈액학, 생화학 검사 수치를 모니터링 할 것이다.
3. 대상자의 발열증상을 사정 할 것이다.
수행
1-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직접 측정 하였다.
[표 2] 참고
BP
T
P
R
/09
(adm #1)
10:00
110/80mmHg
37.4°C
78회/분
20회/분
14:00
110/70mmHg
37.5°C
76회/분
20회/분
18:00
100/70mmHg
37.5°C
80회/분
20회/분
22:00
110/60mmHg
37.6°C
78회/분
20회/분
/10
(adm #2)
10:00
110/80mmHg
37.3°C
78회/분
20회/분
14:00
110/70mmHg
37.4°C
76회/분
20회/분
18:00
120/70mmHg
37.4°C
80회/분
20회/분
22:00
110/60mmHg
37.2°C
78회/분
20회/분
/11
(adm #3)
10:00
120/70mmHg
36.9°C
74회/분
20회/분
14:00
120/70mmHg
36.7°C
70회/분
20회/분
18:00
120/80mmHg
36.8°C
74회/분
20회/분
22:00
110/80mmHg
36.5°C
72회/분
20회/분
2-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WBC, ESR, CRP 검사 수치를
모니터링 하였다. [표 5 참고]
검사명
결과
대상자의 간호문제
혈액학 검사
WBC count
/08
12.83
▲
염증, 백혈구 증가증
/09
11.71
▲
/11
8.1
ESR
/08
29
▲
세균성감염
(Chlamydia
trachomatis)
/09
33
▲
/11
17
생화학 검사
CRP
/08
1.13
▲
/09
1.07
▲
/11
0.42
abd-CT
/08
fitz hugh curtis syndrome
Chlamydia
trachomatis
PID
abd USG
/08
diffuse mesenteric
infiltration and
pericapsular
enhancement of the live
PID(sub as fitz hugh
curtis syndrome)
mild ileas pattern
병리외주의뢰검사
(STI 검사)
/08
Chlamydia trachomatis positive
세균성감염
(Chlamydia
trachomatis)
3-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발열증상을 사정 하였다.
- /09 V/S 측정시 양볼에 홍조를 띄고 발열 증상 호소관찰
- /10 몸에 땀이 많이 나서 환의를 교환해 드림
- /11 BT 측정시 피부 발열 증상 없음 확인
이론적 근거
1-1. Vital Sign은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며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태를 반영한다.
1-2 PID는 고열(38℃이상)과 오한과 빈맥 증상이 있다.
2. 높은 백혈구 수치, CRP,
ESR수치는 감염을 알리는
증상이다.
CRP, ESR 는 염증성
질환을 나타내는 지표
이므로 염증 치료 경과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할 것이다.
2.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 할 것이다.
3. 대상자에게 미온수 요법을 실시 할 것이다.
4. 대상자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유지 할 것이다.
수행
1-1. /08~/11 Denogan 1g IV를 관찰하였다.
2-1. /08~/11 Cefkizon 1g IV를 관찰하였다.
2-2. /08~/11 Doxycycline Hyclate 100mg PO를
관찰하였다
3-1. /09에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몸을 노출시키고 미온수로
닦아주는 것을 시범을 보이고 시행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4-1. /09 병실 실내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다.
- 창문을 닫고, 담요를 덮어 드리고, 히터를 작동시켰다.
4-2 /10 땀을 많이 흘려서 환의, 침구를 갈아주었다.
이론적 근거
1. 해열제는 PG 생성을 억제하여 발열 증상을 감소 시킨다.
2. 항생제는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아 염증
발생을 예방하고 대상자들
사이의 교차감염의 위험이
감소시킨다.
3. 미온수 요법은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중심부에 있는 열을 떨어뜨린다.
4-1. 주위 환경의 온도가 너무 차거나 높으면 대상자가 자신의 체온을 정상범위로 유지하는데 방해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해준다.
4-2. 땀으로 인해 침구가 젖었을 경우, 젖은 침구에 누워있는 환자는 불편감을 느낀다. 또한 젖은 침구로 인해 체온조절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열이 나는 이유를 교육할 것이다.
2. 대상자에게 발열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교육할 것이다.
수행
1-1. /9 면담 시 열이 나는 이유를 교육하였다.
- 교육내용 : 열이 왜 계속나는 냐는 질문에 대해 골반내
염증성 질환은 감염에 의한것이므로 발열이 동반된다.
2-1. /09 열을 내릴 수 있는 대증요법을 교육하였다.
- 교육내용 : 집안의 온도 및 습도 조절
수분의 섭취, 미온수 마사지
1) 집안의 온도 및 습도 조절 : 옷이나 담요로 너무 싸면
열이 발산되지 않아서 도리어 열이 더 오르게 되므로 너무
덥게 싸주지 말고 방의 온도를 20\'C 정도로 서늘하게
해주고 습도를 낮추고 방안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를
시키는 것이 열이 내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반대로 열이 난다고 옷을 모두 벗으면 피부의 혈관이
수축이 되어서 오히려 몸 밖으로 열이 발산되지 못해서
열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2) 수분의 섭취 : 몸에 뜨거운 기운이 올라오면 체내에
있는 수분을 내
- /08~/11 항생제 처방 : Cefkizon 1g IV
- 12/08~12/11 항생제 처방 : Doxycycline Hyclate Cap. 100mg PO
- /08~/11 항원충제 처방 : Metronidazole 0.5g 100ml IV [표 6] 참고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WBC, ESR, CRP수치가 정상범위로 유지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체온이 37°C 이하로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V/S를 매일 측정하고 상태를 모니터링 할 것이다.
2. 대상자의 혈액학, 생화학 검사 수치를 모니터링 할 것이다.
3. 대상자의 발열증상을 사정 할 것이다.
수행
1-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V/S을 직접 측정 하였다.
[표 2] 참고
BP
T
P
R
/09
(adm #1)
10:00
110/80mmHg
37.4°C
78회/분
20회/분
14:00
110/70mmHg
37.5°C
76회/분
20회/분
18:00
100/70mmHg
37.5°C
80회/분
20회/분
22:00
110/60mmHg
37.6°C
78회/분
20회/분
/10
(adm #2)
10:00
110/80mmHg
37.3°C
78회/분
20회/분
14:00
110/70mmHg
37.4°C
76회/분
20회/분
18:00
120/70mmHg
37.4°C
80회/분
20회/분
22:00
110/60mmHg
37.2°C
78회/분
20회/분
/11
(adm #3)
10:00
120/70mmHg
36.9°C
74회/분
20회/분
14:00
120/70mmHg
36.7°C
70회/분
20회/분
18:00
120/80mmHg
36.8°C
74회/분
20회/분
22:00
110/80mmHg
36.5°C
72회/분
20회/분
2-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WBC, ESR, CRP 검사 수치를
모니터링 하였다. [표 5 참고]
검사명
결과
대상자의 간호문제
혈액학 검사
WBC count
/08
12.83
▲
염증, 백혈구 증가증
/09
11.71
▲
/11
8.1
ESR
/08
29
▲
세균성감염
(Chlamydia
trachomatis)
/09
33
▲
/11
17
생화학 검사
CRP
/08
1.13
▲
/09
1.07
▲
/11
0.42
abd-CT
/08
fitz hugh curtis syndrome
Chlamydia
trachomatis
PID
abd USG
/08
diffuse mesenteric
infiltration and
pericapsular
enhancement of the live
PID(sub as fitz hugh
curtis syndrome)
mild ileas pattern
병리외주의뢰검사
(STI 검사)
/08
Chlamydia trachomatis positive
세균성감염
(Chlamydia
trachomatis)
3-1. 매 근무시간마다 대상자의 발열증상을 사정 하였다.
- /09 V/S 측정시 양볼에 홍조를 띄고 발열 증상 호소관찰
- /10 몸에 땀이 많이 나서 환의를 교환해 드림
- /11 BT 측정시 피부 발열 증상 없음 확인
이론적 근거
1-1. Vital Sign은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며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태를 반영한다.
1-2 PID는 고열(38℃이상)과 오한과 빈맥 증상이 있다.
2. 높은 백혈구 수치, CRP,
ESR수치는 감염을 알리는
증상이다.
CRP, ESR 는 염증성
질환을 나타내는 지표
이므로 염증 치료 경과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할 것이다.
2.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 할 것이다.
3. 대상자에게 미온수 요법을 실시 할 것이다.
4. 대상자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유지 할 것이다.
수행
1-1. /08~/11 Denogan 1g IV를 관찰하였다.
2-1. /08~/11 Cefkizon 1g IV를 관찰하였다.
2-2. /08~/11 Doxycycline Hyclate 100mg PO를
관찰하였다
3-1. /09에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몸을 노출시키고 미온수로
닦아주는 것을 시범을 보이고 시행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4-1. /09 병실 실내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다.
- 창문을 닫고, 담요를 덮어 드리고, 히터를 작동시켰다.
4-2 /10 땀을 많이 흘려서 환의, 침구를 갈아주었다.
이론적 근거
1. 해열제는 PG 생성을 억제하여 발열 증상을 감소 시킨다.
2. 항생제는 다른 미생물의
성장이나 생명을 막아 염증
발생을 예방하고 대상자들
사이의 교차감염의 위험이
감소시킨다.
3. 미온수 요법은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중심부에 있는 열을 떨어뜨린다.
4-1. 주위 환경의 온도가 너무 차거나 높으면 대상자가 자신의 체온을 정상범위로 유지하는데 방해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해준다.
4-2. 땀으로 인해 침구가 젖었을 경우, 젖은 침구에 누워있는 환자는 불편감을 느낀다. 또한 젖은 침구로 인해 체온조절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열이 나는 이유를 교육할 것이다.
2. 대상자에게 발열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교육할 것이다.
수행
1-1. /9 면담 시 열이 나는 이유를 교육하였다.
- 교육내용 : 열이 왜 계속나는 냐는 질문에 대해 골반내
염증성 질환은 감염에 의한것이므로 발열이 동반된다.
2-1. /09 열을 내릴 수 있는 대증요법을 교육하였다.
- 교육내용 : 집안의 온도 및 습도 조절
수분의 섭취, 미온수 마사지
1) 집안의 온도 및 습도 조절 : 옷이나 담요로 너무 싸면
열이 발산되지 않아서 도리어 열이 더 오르게 되므로 너무
덥게 싸주지 말고 방의 온도를 20\'C 정도로 서늘하게
해주고 습도를 낮추고 방안의 공기를 충분히 환기를
시키는 것이 열이 내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반대로 열이 난다고 옷을 모두 벗으면 피부의 혈관이
수축이 되어서 오히려 몸 밖으로 열이 발산되지 못해서
열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2) 수분의 섭취 : 몸에 뜨거운 기운이 올라오면 체내에
있는 수분을 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간호학]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성인간호학][Liver cirrhosis][간경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분만,산욕기,문헌...
[모성간호학][산욕부 건강사정][임부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모성간호학 제왕절개 case study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정신간호학][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여성간호 병동 case study - 자궁근종((A+ 칭찬받은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