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1
1. 문헌고찰
1) 폐의 구조
2) 소아폐렴
2. 사례연구
1) 간호정보 조사지(아동)
2) 신체검진
3) 진단검사
4) Medication
5) 간호 과정
2. 참고문헌
◈ 아동 간호 실습 Check List
Ⅱ. 본론 ………………………… 1
1. 문헌고찰
1) 폐의 구조
2) 소아폐렴
2. 사례연구
1) 간호정보 조사지(아동)
2) 신체검진
3) 진단검사
4) Medication
5) 간호 과정
2. 참고문헌
◈ 아동 간호 실습 Check List
본문내용
는다.
그 환자나 환자물품(의복, 검체 용기, 변기, 카테터 등)을 만진 다음에는 손을 씻는다.
격리병실(차단환자 병실)을 떠나기 직전에는 손을 씻는다.
[방법]
시계, 반지 등을 제거한 다음에 손을 씻는다.
비누나 살균액을 사용한다.
손을 세게 마찰한다. 손가락사이는 서로 깍지를 끼어 마찰하며 손톱 주위도 잘 닦아야 한다.(손바닥 5초, 손등 5초, 손가락 5초 포함 최소 15초간).
흐르는 물로 헹구고 손을 밑으로 늘어뜨려서 손가락 끝으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
○
gowning
주위의 다른 멸균 방포에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sterile gown을 집는다.
오른손으로 sterile gown 내부의 목둘레 아래 5-7cm 부위를 잡은 후 sterile gown을 길게 늘어뜨린 후 소매로 들어가는 구멍(arm hole)을 찾는다.
양쪽 손으로 각각의 arm hole을 잡은 후 양쪽 손을 동시에 소매 안으로 밀어 넣는다.
순환 간호사는 소독 간호사 등 뒤에 서서 가운 뒷부분을 잡아당긴 후 뒤의 끈을 매준다. 단 이때 순환 간호사의 손이 sterile gown의 앞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소독 간호사의 손이 sterile gown의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격리(isolation)
보호적 격리: 건강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함
역 격리: 면역에 취약한 사람, 에이즈 환자, 신생아, 장기 이식 환자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환자를 보호 격리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을 가진 환아를 구분하여 동일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아끼리 병실 씀.]
실내온도, 습도
신생아의 경우 적정 온도 22도, 유아의 경우 적정 온도 20도
적정 실내 습도 : 50~60%
건조할 때에는 가습기 가동, 젖은 빨래 널기, 바닥 물걸레질 등으로 습도를 높여 준다.
습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으므로 자주 환기를 시켜 공기 순환과 적정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
면회제한
병원마다 면회제한이 다르지만 보통 수두·풍진·홍역 등 전염성 질환자와 감기·설사·피부병 환자 등은 면회가 제한되며,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들의 면회도 제한된다.
검
사
물
수
집
소변
clean catch
청결한 요 검사물은 요배양을 위한 것인데 요도구를 청결하게 한 후 처음 소변 몇 ml 정도를 버리고 그 다음에 배뇨하는 것을 수집한 중간뇨를 말한다. 회음부나 음경 입구를 비누나 소독 용액을 적신 스폰지로 닦는데 여아는 앞에서 뒤쪽으로 한 번씩만 닦는다. 이 방법을 적어도 세 번 반복한다. 요 수집 부위는 소변 내의 세균이 파괴되지 않도록 멸균된 물로 닦아야 하나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소독솜을 사용하는 경우 세균 수에 양향을 주지 않는다.
routine urinalysis
배뇨 훈련을 받지 않는 영아나 유아의 경우는 요수집 주머니를 사용한다. 이 주머니를 사용할 때는 성기나 회음 그리고 주위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젖었거나 파우더를 바르거나 기름이 묻어 있으면 부착이 잘 되지 않는다. 여아의 경우 주머니를 부착시키는 동안 회음을 팽팽히 잡아 당겨 새지 않도록 하며 남아의 경우 음경과 음낭이 모두 주머니 안에 들어가도록 한다. 주머니는 자주 확인하고 검사물이 채워지면 즉시 제거한다.
24시간 소변
영아와 아동의 24시간 요 수집은 좀 더 특별하다. 여러 개의 소변 수집주머니와 때로 억제대가 필요하다. 수집기간은 언제나 비워진 방광에서 시작하여 방광을 비우는 마지막 시간까지로 해야한다. 수집을 시작할 때 아동에게 배뇨하고 그 소변을 버리도록 교육한다. 이후 24시간 동안 모든 소변은 냉장 용기에 보관한다. 특별한 수집주머니가 필요한데 접착식은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소변 배양
소변배양을 위해서는 멸균적으로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한 Sterile Cathethrization을 하며 방광으로 침입하는 외부 오염물질을 막는 이점이 있다. 아동의 둔부와 음경과 회음부 밑에 포를 깔고 겸자로 소독솜을 들어 음경이나 외음을 깨끗이 닦은후 무균손으로 윤활제를 묻힌 카테터를 집어 소변이 나올 때 까지 카테터를 삽입한다. 음경에 카테터를 삽임하기 위해 신체에 90도 각도로 음경을 유지하며 여아의 요도는 숨어져 있거나 한 구석에 빗나가 있거나 질과 근접해 있을 수도 있다. 요구된 양이 얻어지면 카테터를 빼고 장비 정리를 한다.
○
혈액
venipuncture(정맥천자)
*경정맥천자
경정맥 천자는 영아나 어린아동의 혈액 검사물 채취에 이용한다. 미이라 억제법을 사용하며 정맥이 노출되도록 몸을 감싼다. 아동은 치료대 위에서 머리와 어깨가 신전되도록 눕히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야 한다. 천자 후 천자부위를 마른 거즈로 덮어 3~5분간 손으로 압박을 한다. 시행 도중이나 시행 후에 지나치게 압박하여 호흡이나 순환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
*대퇴정맥천자
간호사는 영아를 바로 눕히고 다리를 개구리 체위처럼 하여 서혜부가 잘 보이도록 한다. 영아의 양팔과 다리는 간호사의 전박과 손으로 통제를 할 수 있다. 시행중에 영아가 배뇨를 할 수 있으므로 천자부위만 노출시켜야 한다. 시행 후에는 천자부위를 압박하여 출혈을 예방한다.
*사지의 정맥천자
팔과 손을 이용하며 한사람은 한 쪽 침상 가에서 아동의 상체 위에 비스듬히 기대어 움직임을 막고 주사할 한 쪽 팔은 고정시킨다. 이 방법은 밀접한 신체접촉과 눈의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동을 편안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arterial puncture(동맥천자)
요골, 상완, 대퇴동맥의 천자를 하며 천자부위는 알코올로 소독하고 발을 단단히 잡은 다음 천자 한다. 천자가 끝나면 천자부위는 마른 거즈로 덮어 지혈이 될 때 까지 압력을 가해 주고 반창고를 붙여 준다.
○
억
제
대
Mummy R.
아동의 사지를 고정하여 단시간의 치료과정을 위해 잠시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눈, 귀, 목 검사도 함께 필요하거나 위세척과 같은 많은 처치가 필요한 경우 흔히 사용되는 억제방법이다. 담요나 시트를 침대나 요람 위에 펴고 위쪽 모서리를 중앙부 쪽으로 접는다. 아동을 접혀진 부위에 어깨가 가도록
그 환자나 환자물품(의복, 검체 용기, 변기, 카테터 등)을 만진 다음에는 손을 씻는다.
격리병실(차단환자 병실)을 떠나기 직전에는 손을 씻는다.
[방법]
시계, 반지 등을 제거한 다음에 손을 씻는다.
비누나 살균액을 사용한다.
손을 세게 마찰한다. 손가락사이는 서로 깍지를 끼어 마찰하며 손톱 주위도 잘 닦아야 한다.(손바닥 5초, 손등 5초, 손가락 5초 포함 최소 15초간).
흐르는 물로 헹구고 손을 밑으로 늘어뜨려서 손가락 끝으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
○
gowning
주위의 다른 멸균 방포에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sterile gown을 집는다.
오른손으로 sterile gown 내부의 목둘레 아래 5-7cm 부위를 잡은 후 sterile gown을 길게 늘어뜨린 후 소매로 들어가는 구멍(arm hole)을 찾는다.
양쪽 손으로 각각의 arm hole을 잡은 후 양쪽 손을 동시에 소매 안으로 밀어 넣는다.
순환 간호사는 소독 간호사 등 뒤에 서서 가운 뒷부분을 잡아당긴 후 뒤의 끈을 매준다. 단 이때 순환 간호사의 손이 sterile gown의 앞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소독 간호사의 손이 sterile gown의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격리(isolation)
보호적 격리: 건강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함
역 격리: 면역에 취약한 사람, 에이즈 환자, 신생아, 장기 이식 환자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환자를 보호 격리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을 가진 환아를 구분하여 동일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아끼리 병실 씀.]
실내온도, 습도
신생아의 경우 적정 온도 22도, 유아의 경우 적정 온도 20도
적정 실내 습도 : 50~60%
건조할 때에는 가습기 가동, 젖은 빨래 널기, 바닥 물걸레질 등으로 습도를 높여 준다.
습도가 높을 때에는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으므로 자주 환기를 시켜 공기 순환과 적정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
면회제한
병원마다 면회제한이 다르지만 보통 수두·풍진·홍역 등 전염성 질환자와 감기·설사·피부병 환자 등은 면회가 제한되며,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들의 면회도 제한된다.
검
사
물
수
집
소변
clean catch
청결한 요 검사물은 요배양을 위한 것인데 요도구를 청결하게 한 후 처음 소변 몇 ml 정도를 버리고 그 다음에 배뇨하는 것을 수집한 중간뇨를 말한다. 회음부나 음경 입구를 비누나 소독 용액을 적신 스폰지로 닦는데 여아는 앞에서 뒤쪽으로 한 번씩만 닦는다. 이 방법을 적어도 세 번 반복한다. 요 수집 부위는 소변 내의 세균이 파괴되지 않도록 멸균된 물로 닦아야 하나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소독솜을 사용하는 경우 세균 수에 양향을 주지 않는다.
routine urinalysis
배뇨 훈련을 받지 않는 영아나 유아의 경우는 요수집 주머니를 사용한다. 이 주머니를 사용할 때는 성기나 회음 그리고 주위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젖었거나 파우더를 바르거나 기름이 묻어 있으면 부착이 잘 되지 않는다. 여아의 경우 주머니를 부착시키는 동안 회음을 팽팽히 잡아 당겨 새지 않도록 하며 남아의 경우 음경과 음낭이 모두 주머니 안에 들어가도록 한다. 주머니는 자주 확인하고 검사물이 채워지면 즉시 제거한다.
24시간 소변
영아와 아동의 24시간 요 수집은 좀 더 특별하다. 여러 개의 소변 수집주머니와 때로 억제대가 필요하다. 수집기간은 언제나 비워진 방광에서 시작하여 방광을 비우는 마지막 시간까지로 해야한다. 수집을 시작할 때 아동에게 배뇨하고 그 소변을 버리도록 교육한다. 이후 24시간 동안 모든 소변은 냉장 용기에 보관한다. 특별한 수집주머니가 필요한데 접착식은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소변 배양
소변배양을 위해서는 멸균적으로 소변 검사물을 얻기 위한 Sterile Cathethrization을 하며 방광으로 침입하는 외부 오염물질을 막는 이점이 있다. 아동의 둔부와 음경과 회음부 밑에 포를 깔고 겸자로 소독솜을 들어 음경이나 외음을 깨끗이 닦은후 무균손으로 윤활제를 묻힌 카테터를 집어 소변이 나올 때 까지 카테터를 삽입한다. 음경에 카테터를 삽임하기 위해 신체에 90도 각도로 음경을 유지하며 여아의 요도는 숨어져 있거나 한 구석에 빗나가 있거나 질과 근접해 있을 수도 있다. 요구된 양이 얻어지면 카테터를 빼고 장비 정리를 한다.
○
혈액
venipuncture(정맥천자)
*경정맥천자
경정맥 천자는 영아나 어린아동의 혈액 검사물 채취에 이용한다. 미이라 억제법을 사용하며 정맥이 노출되도록 몸을 감싼다. 아동은 치료대 위에서 머리와 어깨가 신전되도록 눕히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야 한다. 천자 후 천자부위를 마른 거즈로 덮어 3~5분간 손으로 압박을 한다. 시행 도중이나 시행 후에 지나치게 압박하여 호흡이나 순환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
*대퇴정맥천자
간호사는 영아를 바로 눕히고 다리를 개구리 체위처럼 하여 서혜부가 잘 보이도록 한다. 영아의 양팔과 다리는 간호사의 전박과 손으로 통제를 할 수 있다. 시행중에 영아가 배뇨를 할 수 있으므로 천자부위만 노출시켜야 한다. 시행 후에는 천자부위를 압박하여 출혈을 예방한다.
*사지의 정맥천자
팔과 손을 이용하며 한사람은 한 쪽 침상 가에서 아동의 상체 위에 비스듬히 기대어 움직임을 막고 주사할 한 쪽 팔은 고정시킨다. 이 방법은 밀접한 신체접촉과 눈의 접촉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동을 편안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arterial puncture(동맥천자)
요골, 상완, 대퇴동맥의 천자를 하며 천자부위는 알코올로 소독하고 발을 단단히 잡은 다음 천자 한다. 천자가 끝나면 천자부위는 마른 거즈로 덮어 지혈이 될 때 까지 압력을 가해 주고 반창고를 붙여 준다.
○
억
제
대
Mummy R.
아동의 사지를 고정하여 단시간의 치료과정을 위해 잠시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눈, 귀, 목 검사도 함께 필요하거나 위세척과 같은 많은 처치가 필요한 경우 흔히 사용되는 억제방법이다. 담요나 시트를 침대나 요람 위에 펴고 위쪽 모서리를 중앙부 쪽으로 접는다. 아동을 접혀진 부위에 어깨가 가도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