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정의
2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4장.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5장. 사회복지실천 대상과 문제
6장.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 통합적 접근
7장.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8장. 면접의 방법과 기술★
9장. 접수 및 자료수집과정
10장. 사정과정★★
11장. 계획수립
12장. 개입
13장. 종결 평가 단계★★
14장. 사례관리
사회복지 실천론
1. 사회복지 목적 4가지
2. 사회복지 실천의 일반체계 관점
3. 사회복지 실천의 생태체계 관점
4. 사회복지사의 역할
5. 인보관 운동과 자선 조직 협회의 비교
제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제 3장.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 역할과 기능
<사회복지실천론 -중간고사 요약>
1, 사회복지실천의이해
2. 사회복지실천을 왜 하는가?
생각해보기
2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4장.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5장. 사회복지실천 대상과 문제
6장.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 통합적 접근
7장.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8장. 면접의 방법과 기술★
9장. 접수 및 자료수집과정
10장. 사정과정★★
11장. 계획수립
12장. 개입
13장. 종결 평가 단계★★
14장. 사례관리
사회복지 실천론
1. 사회복지 목적 4가지
2. 사회복지 실천의 일반체계 관점
3. 사회복지 실천의 생태체계 관점
4. 사회복지사의 역할
5. 인보관 운동과 자선 조직 협회의 비교
제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제 3장. 전문가로서의 사회복지사 역할과 기능
<사회복지실천론 -중간고사 요약>
1, 사회복지실천의이해
2. 사회복지실천을 왜 하는가?
생각해보기
본문내용
회복지정책 : 사회복지 서비스(service), 정책(policy), 대모(action)
밑에 있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ㆍ환경속의 인간 ---> 심리학, 의학, 정신분석학, 발달
---> 사회학, 역사학, 정치, 경제
상호작용 = 관계
人間(인간사이의 문..)
IQ -> EQ -> NQ -> Thank Q...
무의식 이론
ㆍ의식
ㆍ무의식
ㆍ전의식
구빈법 : 최초의 사회복지제도(노동자 세력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만들어진 통제수단)
제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3.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
1. 가치(가치 충돌)
1) 사회복지사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경쟁적 가치와 직면했을 때, 가치 갈등 상황에 처하게 된다.
(ex : 미혼모가 자식을 죽이려고 할때, 비밀보장 vs 생명존중의 가치 충돌)
2) 사회복지사는 기관에 대한 의무와 클라이언트(ct)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가치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ex : 10명을 상담하라고 했는데 심각한 문제의 상담 때문에 7명밖에 하지 못할 때)
3)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클라이언트 체계가 여러 개인 경우, 사회복지사는 어느 클라이언트 체계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보장할지를 두고 갈등할 수도 있다.
(ex : 가출청소년의 문제가 그 부모의 부부싸움이었을 때 = 자식문제 => 부모문제)
4) 사회복지사가 내려야 하는 결정의 결과나 장기적인 효과성이 모호할 때, 사회복지사는 갈등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ex : 교회다니는 사람에게 치료제로 술을 권할 때, 기독교적 가치와 의술의 가치가 충돌할 때)
* 범주
1) 사회 2) 전문가 3) 개인
*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 전문직의 가치, 전문적 지식, 기술(기법)
2. 윤리
&살인&
- 나쁘다 - 언제부터 나쁘다는게.....???
갈등 유명론 : 원래부터 있었다. (플라톤 = 이데아) => 이성중시 => 합리론 => 절대주의
무명론 : 경험으로 전해졌다.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 칸트(양심)) => 경험중시 => 경험론 => 상대주의
갈등 민주주의 (두가지의 충돌로 인해서 갈등이 생김.)
1) 다수결의 원칙 (무명론)
2) 소수의견의 존중 (유명론)
밴덤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다수결의 원칙 => 소수의 의견은 무시되어도 된다 => 무실론자)
3. 윤리적 딜레마를 분석하고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침들
1) 첫 번째로 행동에 필요한 전제조은 거짓, 비밀누설이나 오락, 교육, 돈과 같은 부가적인 이익에 우선한다.
2) 두 번째 개인의 자기결정권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타인의 기본적인 행복에 피해를 입히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자기결정권은 제한받을 수 있다. (ex : 생명존중 >사생활보장)
3) 세 번째는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동의한 법, 규칙, 규정 등을 따르는 의무가 개인의 권리를 우선할 수 있다.
(ex : 속도를 내고싶은 자유 <속도제한)
4) 네 번째는 개인의 복지권이 법, 규칙, 규례, 지원 단체의 협정에 우선한다. (ex : 손없는 장애인 >손으로 운전)
5) 다섯째는 기본적인 해악을 방지할 의무와 주거, 교육, 공적부조 등 공익을 증진할 의무는 개인의 재산통제권
보다 우선한다. (ex : 집이사안가고 버팀 <도로공사)
* 윤리원칙
1) 생명보호의 원칙
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4) 최소 손실의 원칙
5) 삶의 질 원칙
6)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7) 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1)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관계는 개인적 가치, 존엄에 근거하고 상호참여, 수용, 비밀보장, 책임감 있게 갈등을
다룰 수 있는 능력으로 더 견고해 진다.
2) 사회복지사는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와 서비스전달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한다. (사회복지사는 도움을 주는 사람)
3)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 체계가 필요한 자원을 얻도록 돕는 일에 참여한다.
4) 사회복지사는 사회제도를 보다 더 인도적이고 인류에게 필요한 것에 더 민감하도록 노력한다.
(제도가 정말 어려운 사람을 도와줄수 있도록 빠르게 대응하고 변화해야 한다.)
5)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민족, 인종의 각기 독특한 특성에 대해 존중하고 수용한다.
6)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윤리적 행위, 실천의 질, 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발전하도록 노력한다.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1) 전문가로서의 자세
2)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3)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1)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1.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
- 실천 관점, 이론, 모델이라고 한다.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적 틀이 갖는 유용성
(1) 고도의 감정이 개입되기 쉬운 복잡한 인간의 문제와 그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 틀을 제공한다. (프리즘)
(2) 주어진 정보, 믿음, 가정 등을 하나의 전체적인 의미체계로 조직화한다. (성악설)
(3) 행동과 의사결정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알콜중독)
(4) 사람의 일을 다룸에 있어 체계적이며, 질서 정연하고, 예견 가능한 접근을 촉진한다. (과거를 통해 미래 예견)
(5) 전문직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촉진한다.
<시각에 따라 치료>
- 어떤 문제를 봤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 사람이 경험하지 못한 것은 말, 표현, 행동 X -> 인식이 되었을 때 말, 표현, 행동 OK -
- 극과 극은 통한다. 극-----------------극 극도의 상황에서는 다른 극을 찾아 간다.(좋아도 울고, 슬퍼도 웃는다) -
- 내가 아는 만큼(다양한 시각, 다양한 경험, 다양한 지식) 상대방을 변화시킬 수 있다
=> 그만큼 내가 많이 알아야 한다. => STUDY HARD!!!!
EX) 프리즘은 1가지의 빛을 7가지로 나눈다. (이론적 틀은 프리즘같은 역할을 해준다. 복합적인 문제를 구분지어줌)
이론적 틀은 문제를 여러 가지의 CASE BY CASE로 구분지어 준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 => 이론적 틀!!
EX) 알콜중독
1) 도덕적 모델 => 교육
2) 질병 모델 => 치료
3) 영적 모델 =>
밑에 있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ㆍ환경속의 인간 ---> 심리학, 의학, 정신분석학, 발달
---> 사회학, 역사학, 정치, 경제
상호작용 = 관계
人間(인간사이의 문..)
IQ -> EQ -> NQ -> Thank Q...
무의식 이론
ㆍ의식
ㆍ무의식
ㆍ전의식
구빈법 : 최초의 사회복지제도(노동자 세력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만들어진 통제수단)
제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3.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
1. 가치(가치 충돌)
1) 사회복지사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경쟁적 가치와 직면했을 때, 가치 갈등 상황에 처하게 된다.
(ex : 미혼모가 자식을 죽이려고 할때, 비밀보장 vs 생명존중의 가치 충돌)
2) 사회복지사는 기관에 대한 의무와 클라이언트(ct)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가치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ex : 10명을 상담하라고 했는데 심각한 문제의 상담 때문에 7명밖에 하지 못할 때)
3)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클라이언트 체계가 여러 개인 경우, 사회복지사는 어느 클라이언트 체계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보장할지를 두고 갈등할 수도 있다.
(ex : 가출청소년의 문제가 그 부모의 부부싸움이었을 때 = 자식문제 => 부모문제)
4) 사회복지사가 내려야 하는 결정의 결과나 장기적인 효과성이 모호할 때, 사회복지사는 갈등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ex : 교회다니는 사람에게 치료제로 술을 권할 때, 기독교적 가치와 의술의 가치가 충돌할 때)
* 범주
1) 사회 2) 전문가 3) 개인
*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 전문직의 가치, 전문적 지식, 기술(기법)
2. 윤리
&살인&
- 나쁘다 - 언제부터 나쁘다는게.....???
갈등 유명론 : 원래부터 있었다. (플라톤 = 이데아) => 이성중시 => 합리론 => 절대주의
무명론 : 경험으로 전해졌다.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 칸트(양심)) => 경험중시 => 경험론 => 상대주의
갈등 민주주의 (두가지의 충돌로 인해서 갈등이 생김.)
1) 다수결의 원칙 (무명론)
2) 소수의견의 존중 (유명론)
밴덤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다수결의 원칙 => 소수의 의견은 무시되어도 된다 => 무실론자)
3. 윤리적 딜레마를 분석하고 해결하는데 유용한 지침들
1) 첫 번째로 행동에 필요한 전제조은 거짓, 비밀누설이나 오락, 교육, 돈과 같은 부가적인 이익에 우선한다.
2) 두 번째 개인의 자기결정권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타인의 기본적인 행복에 피해를 입히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자기결정권은 제한받을 수 있다. (ex : 생명존중 >사생활보장)
3) 세 번째는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동의한 법, 규칙, 규정 등을 따르는 의무가 개인의 권리를 우선할 수 있다.
(ex : 속도를 내고싶은 자유 <속도제한)
4) 네 번째는 개인의 복지권이 법, 규칙, 규례, 지원 단체의 협정에 우선한다. (ex : 손없는 장애인 >손으로 운전)
5) 다섯째는 기본적인 해악을 방지할 의무와 주거, 교육, 공적부조 등 공익을 증진할 의무는 개인의 재산통제권
보다 우선한다. (ex : 집이사안가고 버팀 <도로공사)
* 윤리원칙
1) 생명보호의 원칙
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4) 최소 손실의 원칙
5) 삶의 질 원칙
6)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7) 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1)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관계는 개인적 가치, 존엄에 근거하고 상호참여, 수용, 비밀보장, 책임감 있게 갈등을
다룰 수 있는 능력으로 더 견고해 진다.
2) 사회복지사는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와 서비스전달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한다. (사회복지사는 도움을 주는 사람)
3)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 체계가 필요한 자원을 얻도록 돕는 일에 참여한다.
4) 사회복지사는 사회제도를 보다 더 인도적이고 인류에게 필요한 것에 더 민감하도록 노력한다.
(제도가 정말 어려운 사람을 도와줄수 있도록 빠르게 대응하고 변화해야 한다.)
5)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민족, 인종의 각기 독특한 특성에 대해 존중하고 수용한다.
6)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윤리적 행위, 실천의 질, 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발전하도록 노력한다.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1) 전문가로서의 자세
2)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3)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1)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1.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
- 실천 관점, 이론, 모델이라고 한다.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적 틀이 갖는 유용성
(1) 고도의 감정이 개입되기 쉬운 복잡한 인간의 문제와 그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 틀을 제공한다. (프리즘)
(2) 주어진 정보, 믿음, 가정 등을 하나의 전체적인 의미체계로 조직화한다. (성악설)
(3) 행동과 의사결정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알콜중독)
(4) 사람의 일을 다룸에 있어 체계적이며, 질서 정연하고, 예견 가능한 접근을 촉진한다. (과거를 통해 미래 예견)
(5) 전문직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촉진한다.
<시각에 따라 치료>
- 어떤 문제를 봤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 사람이 경험하지 못한 것은 말, 표현, 행동 X -> 인식이 되었을 때 말, 표현, 행동 OK -
- 극과 극은 통한다. 극-----------------극 극도의 상황에서는 다른 극을 찾아 간다.(좋아도 울고, 슬퍼도 웃는다) -
- 내가 아는 만큼(다양한 시각, 다양한 경험, 다양한 지식) 상대방을 변화시킬 수 있다
=> 그만큼 내가 많이 알아야 한다. => STUDY HARD!!!!
EX) 프리즘은 1가지의 빛을 7가지로 나눈다. (이론적 틀은 프리즘같은 역할을 해준다. 복합적인 문제를 구분지어줌)
이론적 틀은 문제를 여러 가지의 CASE BY CASE로 구분지어 준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 => 이론적 틀!!
EX) 알콜중독
1) 도덕적 모델 => 교육
2) 질병 모델 => 치료
3) 영적 모델 =>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론 이론정리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론 정리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발달사 요약정리(11장-13장)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에서 개인의 가치의 사회복지 기관의 가치가 충돌을 일으킬경우 어떻...
강점관점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요약하고, 강점관점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사회복지실천론 정리
사회복지실천모델 관련된 논문줄거리 요약하기
(사회복지실천기술) 위기개입모델 요약 보고서 (이론적 배경, 개입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어려운 클라이언트 대상의 개입기술 핵심요약 (비자발적인 클라이언트,...
인지행동이론과 해결중심이론 핵심 요약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개입단계 - 직접적 개입과 간접적 개입에 대한 이해와 ...
인지행동모델(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설진화, 양서원)이론요약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중 본인이 가장 관심있어 하는 분야를 선택하여(아...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해 정리하고 사회복지전문가는 왜 인간행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