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사회환경교육의 특징
1. 교육주체와 교육대상
2. 사회교육자의 역할
Ⅲ. 사회환경교육의 종류
1. 전문교육
2. 일반교육
3. 교육훈련
1) 교육훈련 실적
2) 교육훈련 계획
3) 교육훈련 추진방향
Ⅳ. 사회환경교육의 매체
1. 정부기관
2. 기업
3. 환경단체
Ⅴ. 사회환경교육의 외국 사례
1. 일본의 사회환경교육
2. 미국의 사회환경교육
3. 독일의 사회환경교육
Ⅵ. 향후 사회환경교육의 과제
1. 정부의 역할과 과제
2. 기업의 문제점과 과제
3. 환경단체의 문제점과 과제
참고문헌
Ⅱ. 사회환경교육의 특징
1. 교육주체와 교육대상
2. 사회교육자의 역할
Ⅲ. 사회환경교육의 종류
1. 전문교육
2. 일반교육
3. 교육훈련
1) 교육훈련 실적
2) 교육훈련 계획
3) 교육훈련 추진방향
Ⅳ. 사회환경교육의 매체
1. 정부기관
2. 기업
3. 환경단체
Ⅴ. 사회환경교육의 외국 사례
1. 일본의 사회환경교육
2. 미국의 사회환경교육
3. 독일의 사회환경교육
Ⅵ. 향후 사회환경교육의 과제
1. 정부의 역할과 과제
2. 기업의 문제점과 과제
3. 환경단체의 문제점과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체험도 받고자 희망하기 때문이다(High Cauntry,1990).
1980년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비공식적인 체험 교육 프로그램이 도시 주민을 상대로 보급되었고 전원주택 지역의 주민들의 경우는 정부의 공식적인 기관과 준정부적 교육기관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또한 몇몇 주에서는 보호구(保護區)의 유지에 필요한 예산 가운데서 일정한 비율을 환경교육 활동비로 책정하는 규정을 정하고 있다. 또한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천연자원과 환경보호에 관계되는 정부기관이 주최하는 연대 공개 강좌가 실시되어오고 있다(Wright, P. A.,Mullins, G. W. and Watson, M.,1988).
전반적으로 보아 환경교육의 시도는 거대한 조직이나 기구 가운데에서도 제한된 시간과 자금을 확보하고 노력하는 일부분의 사명감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 그 명맥을 유지 해 왔다.
비정부적 교육기관의 대표적인 환경교육 단체는 ‘북미 환경교육 협회(North America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와 비정부 기관(NGO)을 포괄하는 단체인 ’환경교육연맹(Allian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1991년 비영리 단체의 성격으로 50세 이상의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활동하는 ‘고령자 환경조합(Senior Environ mental corps)\'을 들 수 있다(Mccre, E. J. and Iozzi, s. A.,1989).
3. 독일의 사회환경교육
독일에서의 환경교육이 사회환경교육의 형태로 시작 된 것은 1970년대부터 자발적으로 시작되었다. 오늘날에 있어 정부의 지원을 받아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평생 교양 대학’과 무려 500여 개에 달하는 각종 NGO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평생 교양 대학’에서는 가능한 정치와 관련된 과목은 피하고 자연보호, 건강문제, 정원 가꾸기와 같은 교양과 취미 중심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다면 NGO 주관의 교육내용은 현장탐사와 견학과 같은 활동과 정치문제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많이 다루고 있어서 상호 보완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독일의 환경교육은 전면적이고 다면적인 접근법에서 환경을 취급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함 책임의식을 강조하고 대중요법(치료적 접근) 보다는 예방적인 관점에서 환경 윤리적인 자연관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1980년대 중반까지의 평가로는 환경교육의 성과가 미비하다는 결론이었다. 그러나 독일은 매년 GNP의 1.7%가량을 환경사업에 투자하고 있고 “환경적 위해는 경제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는 관점이 독일 정부의 기본 철학일 뿐 만 아니라 세계에서 유일하게 환경운동 관련의 정치세력인 녹색당(1980년 1월 발족)이 활발한 환경운동과 함께 28명의 연방의회 의원을 정치계에 진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에서 커다란 진보를 나타내고 있다.
Ⅵ. 향후 사회환경교육의 과제
1. 정부의 역할과 과제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에서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환경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는 것이다. 또 정부가 환경문제에 너무 임시방편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온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은 실적에만 급급한 전시행정의 표본을 부는 것 같기도 하다.
환경처가 환경부로 바뀌어 승격되었다고는 하나 환경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여건은 좋아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아직도 많은 업무들이 각 부처에 나누어져 통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정책집행의 효율성에 문제점이 있고, 인력 면에서도 너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 기업의 문제점과 과제
국내 대기업의 경우 기업환경프로그램의 수립은 대부분 홍보차원에 그치고 있고, 환경투자도 총 투자액의 2%안팎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 또 환경투자의 내용도 선진국은 대체물질 등 환경기술 개발, 재활용시스템 연구 등에 주력하고 있으나, 국내기업은 기존 환경설비의 유지보수와 신규설비 도입에 매달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기업 활동에 관한 마인드의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기업 활동이 현재 국내외적 요인으로 어렵다고 할지라도 미래의 새 전망을 보는 환경투자와 환경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분야에 고급인력의 적극 투입을 추진해야 하며 이들을 전문가로 양성하고 이들에게서 나오는 정책과 연구결과를 신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다양하고 총괄적인 연구정책과 기업정책의 조화가 필요하다.
3. 환경단체의 문제점과 과제
환경운동단체들은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민들의 인지도도 점점 높아가고 있다. 그러나 어느 일면에 있어서는 환경단체들이 서로 경쟁하며 힘 키우기에만 급급하여 정치권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정부와 기업에 대한 의존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정이 자립되어야 한다. 환경오염의 주범인 기업을 감시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하는 것이 환경단체인데, 그들의 활동예산을 많은 부분 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이다. 기업의 후원금을 받는 행위는 환경단체의 독립성과 도덕성의 문제와 연관되는 것이다. 또한 환경운동이 주로 관심거리 위주의 행사에만 연연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시적인 효과에만 급급한 나머지 몇몇 단체가 환경봉사 확인증을 발급하는 조건으로 중고등학생을 행사에 동원하는 사례 등은 환경단체의 현주소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환경운동단체들은 정책이나 현안들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위해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규응(1990), 한국의 환경정책과 환경교육, 한국과학연구협의회, 서울 : 교육과학사
* 김시헌(1990),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 : 교육과학사
* 박태윤 외(2002), 21세기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 이재영 외(2002), 환경교육 활동·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개발, 환경부
* 전의찬(1992), 환경문제에 관한 주민 참여와 사회환경교육, 현황과 개선대책, 한국환경교육학회
* 환경부(2003) 환경과목 선택현황 분석결과 보고
1980년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비공식적인 체험 교육 프로그램이 도시 주민을 상대로 보급되었고 전원주택 지역의 주민들의 경우는 정부의 공식적인 기관과 준정부적 교육기관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또한 몇몇 주에서는 보호구(保護區)의 유지에 필요한 예산 가운데서 일정한 비율을 환경교육 활동비로 책정하는 규정을 정하고 있다. 또한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천연자원과 환경보호에 관계되는 정부기관이 주최하는 연대 공개 강좌가 실시되어오고 있다(Wright, P. A.,Mullins, G. W. and Watson, M.,1988).
전반적으로 보아 환경교육의 시도는 거대한 조직이나 기구 가운데에서도 제한된 시간과 자금을 확보하고 노력하는 일부분의 사명감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서 그 명맥을 유지 해 왔다.
비정부적 교육기관의 대표적인 환경교육 단체는 ‘북미 환경교육 협회(North America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와 비정부 기관(NGO)을 포괄하는 단체인 ’환경교육연맹(Allian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1991년 비영리 단체의 성격으로 50세 이상의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활동하는 ‘고령자 환경조합(Senior Environ mental corps)\'을 들 수 있다(Mccre, E. J. and Iozzi, s. A.,1989).
3. 독일의 사회환경교육
독일에서의 환경교육이 사회환경교육의 형태로 시작 된 것은 1970년대부터 자발적으로 시작되었다. 오늘날에 있어 정부의 지원을 받아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평생 교양 대학’과 무려 500여 개에 달하는 각종 NGO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평생 교양 대학’에서는 가능한 정치와 관련된 과목은 피하고 자연보호, 건강문제, 정원 가꾸기와 같은 교양과 취미 중심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다면 NGO 주관의 교육내용은 현장탐사와 견학과 같은 활동과 정치문제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많이 다루고 있어서 상호 보완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독일의 환경교육은 전면적이고 다면적인 접근법에서 환경을 취급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함 책임의식을 강조하고 대중요법(치료적 접근) 보다는 예방적인 관점에서 환경 윤리적인 자연관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1980년대 중반까지의 평가로는 환경교육의 성과가 미비하다는 결론이었다. 그러나 독일은 매년 GNP의 1.7%가량을 환경사업에 투자하고 있고 “환경적 위해는 경제 질서에 대한 도전”이라는 관점이 독일 정부의 기본 철학일 뿐 만 아니라 세계에서 유일하게 환경운동 관련의 정치세력인 녹색당(1980년 1월 발족)이 활발한 환경운동과 함께 28명의 연방의회 의원을 정치계에 진출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에서 커다란 진보를 나타내고 있다.
Ⅵ. 향후 사회환경교육의 과제
1. 정부의 역할과 과제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에서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환경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는 것이다. 또 정부가 환경문제에 너무 임시방편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온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은 실적에만 급급한 전시행정의 표본을 부는 것 같기도 하다.
환경처가 환경부로 바뀌어 승격되었다고는 하나 환경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여건은 좋아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아직도 많은 업무들이 각 부처에 나누어져 통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정책집행의 효율성에 문제점이 있고, 인력 면에서도 너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 기업의 문제점과 과제
국내 대기업의 경우 기업환경프로그램의 수립은 대부분 홍보차원에 그치고 있고, 환경투자도 총 투자액의 2%안팎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 또 환경투자의 내용도 선진국은 대체물질 등 환경기술 개발, 재활용시스템 연구 등에 주력하고 있으나, 국내기업은 기존 환경설비의 유지보수와 신규설비 도입에 매달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는 기업 활동에 관한 마인드의 새로운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기업 활동이 현재 국내외적 요인으로 어렵다고 할지라도 미래의 새 전망을 보는 환경투자와 환경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분야에 고급인력의 적극 투입을 추진해야 하며 이들을 전문가로 양성하고 이들에게서 나오는 정책과 연구결과를 신뢰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다양하고 총괄적인 연구정책과 기업정책의 조화가 필요하다.
3. 환경단체의 문제점과 과제
환경운동단체들은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민들의 인지도도 점점 높아가고 있다. 그러나 어느 일면에 있어서는 환경단체들이 서로 경쟁하며 힘 키우기에만 급급하여 정치권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정부와 기업에 대한 의존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정이 자립되어야 한다. 환경오염의 주범인 기업을 감시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하는 것이 환경단체인데, 그들의 활동예산을 많은 부분 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이다. 기업의 후원금을 받는 행위는 환경단체의 독립성과 도덕성의 문제와 연관되는 것이다. 또한 환경운동이 주로 관심거리 위주의 행사에만 연연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시적인 효과에만 급급한 나머지 몇몇 단체가 환경봉사 확인증을 발급하는 조건으로 중고등학생을 행사에 동원하는 사례 등은 환경단체의 현주소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환경운동단체들은 정책이나 현안들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위해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규응(1990), 한국의 환경정책과 환경교육, 한국과학연구협의회, 서울 : 교육과학사
* 김시헌(1990), 사회환경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서울 : 교육과학사
* 박태윤 외(2002), 21세기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 이재영 외(2002), 환경교육 활동·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개발, 환경부
* 전의찬(1992), 환경문제에 관한 주민 참여와 사회환경교육, 현황과 개선대책, 한국환경교육학회
* 환경부(2003) 환경과목 선택현황 분석결과 보고
추천자료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개인심리이론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중장년기(설문지 포함)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E형] 아들러 이론과 매슬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형] 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D형] 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아들러 이론과 매슬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D형] 매슬로 이론과 로저스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