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마트 소개
(1) 개요
(2) 경영정책
(3) 중국 진출 과정
2. 환경 분석
(1) 유통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소비자 분석
(4)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중국 진출 전략
(1) 중국 진출 고려사항
(2) 차별화 전략
(3) 마케팅 전략
(4) 새로운 전략 방안
5. 최종 결론
(1) 개요
(2) 경영정책
(3) 중국 진출 과정
2. 환경 분석
(1) 유통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소비자 분석
(4)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중국 진출 전략
(1) 중국 진출 고려사항
(2) 차별화 전략
(3) 마케팅 전략
(4) 새로운 전략 방안
5. 최종 결론
본문내용
1. 이마트 소개
(1) 개요
신세계 이마트는 1993년 11월 12일 이마트 창동점 개점을 시작으로 국내 최초의 할인업태를 국내에 선보인 이후 매년 활발한 신규 출점과 지속적인 시스템 개발을 통해 효율을 극대화 하면서 매년 평균 30%이상의 高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산업에서 반도체, 전자, 건설 등 첨단 제조/건설 산업에 밀려 주력산업 대열에 포함되지 못했던 유통업을 미래의 산업으로 불리어지도록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또한 이마트는 상품개발에도 적극적인 바, E-plus, E-basic, 자연주의, 마이클로, 시네마플러스 등 패션, 잡화, 가전 등 전 품목에 걸쳐 PB 상품을 개발하여 할인 업계 중 가장 많은 PB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100% 교환/환불제도, 최저가격 2배 보상제, 계산착오 보상제, 약속불이행 보상제 등 고객만족 마케팅과 지역단체 마일리지, 불우이웃돕기, 장학사업, 환경보호활동 등 다양한 지역친화 마케팅은 이마트만의 상징으로 정착되어 오고 있으며 이용고객으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2005년 매출액 6조 6,127억 원에 영업이익은 5,308억 원으로 한국의 할인점 업계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고 2010년에 이르기까지 대형유통업계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확고하게 지키고 있다.
(2) 경영정책
신세계의 경영정책은 기본을 내실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성장의 추구이다. 이를 위해서는 핵심역량을 지닌 분야에 경영자원을 집중하고, 건전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철저한 책임감으로 경영에 임하며,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경영
무한경쟁시대에 유한한 경영자원으로 생존,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자신 있는 분야에 경영 자원을 집중하는 길이다. 신세계의 주력업종은 유통이다.
견실경영
견실한 재무구조는 집을 짓기 전에 땅을 다지는 일과 같다. 튼튼한 재무구조를 비롯해 글로벌스탠다드에 맞는 경영만이 격심한 환경변화 속에서 생존할 수 신세계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내실 있는 경영을 할 것이다.
책임경영
신세계는 신뢰를 바탕으로 과감한 권한 위양과 고객접점의 영업 현장에서 최고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각 경영활동의 주체가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기업문화를 지향한다.
(3) 중국 진출 과정
신세계는 1993년 이래, 홍콩에 사무소를 개설하고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 유통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었다. 1996년, 신세계는 일본계 유통업체인 야오한의 요청을 받고 상해 푸동 지역의 넥스테이지 쇼핑몰 1500평을 600만 달러에 임차하여 신세계백화점을 개점하였다. 그곳에서 3년간에 걸쳐 식품과 의류를 중심으로 실험을 계속했는데,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신세계 백화점 개점 후, 신세계에 좋은 인식을 갖게 된 상해시의 고위인사가 상해시 시청 상업위원회산하 국영기업인 상해상무중심주식회사(上海商務中心株式會社)를 신세계에 소개하였다. 그 결과 신세계 500만 달러, 상무중심 100만 달러의 자본금으로 특혜적 합작회사인 이마트를 1996년 말에 설립하게 되었으며, 1997년 2월 중국 상해시 곡양로(曲陽路)에서 면적 2400평의 이마트 1호점을 개점하였고 실질적인 독자경영을 하게 되었다.
합작형식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유는 1997년 당시 중국유통시장은 아직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서 외국유통업체들이 중국시장진출 시 합작투자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합작조건으로 유통업체의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한도가 49% 이하여야 했고 이 때문에 이마트의 지분 49% 중국합작파트너인 구백유한회사 49%, 기존 사업파트너인 상하시상무가 2%의 지분을 보유한 형태가 되었다. 이렇게 현지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해온 국영기업체와의 합작투자는 중국 특유의 ‘
(1) 개요
신세계 이마트는 1993년 11월 12일 이마트 창동점 개점을 시작으로 국내 최초의 할인업태를 국내에 선보인 이후 매년 활발한 신규 출점과 지속적인 시스템 개발을 통해 효율을 극대화 하면서 매년 평균 30%이상의 高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국내 산업에서 반도체, 전자, 건설 등 첨단 제조/건설 산업에 밀려 주력산업 대열에 포함되지 못했던 유통업을 미래의 산업으로 불리어지도록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또한 이마트는 상품개발에도 적극적인 바, E-plus, E-basic, 자연주의, 마이클로, 시네마플러스 등 패션, 잡화, 가전 등 전 품목에 걸쳐 PB 상품을 개발하여 할인 업계 중 가장 많은 PB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100% 교환/환불제도, 최저가격 2배 보상제, 계산착오 보상제, 약속불이행 보상제 등 고객만족 마케팅과 지역단체 마일리지, 불우이웃돕기, 장학사업, 환경보호활동 등 다양한 지역친화 마케팅은 이마트만의 상징으로 정착되어 오고 있으며 이용고객으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2005년 매출액 6조 6,127억 원에 영업이익은 5,308억 원으로 한국의 할인점 업계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고 2010년에 이르기까지 대형유통업계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확고하게 지키고 있다.
(2) 경영정책
신세계의 경영정책은 기본을 내실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성장의 추구이다. 이를 위해서는 핵심역량을 지닌 분야에 경영자원을 집중하고, 건전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철저한 책임감으로 경영에 임하며,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경영
무한경쟁시대에 유한한 경영자원으로 생존,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자신 있는 분야에 경영 자원을 집중하는 길이다. 신세계의 주력업종은 유통이다.
견실경영
견실한 재무구조는 집을 짓기 전에 땅을 다지는 일과 같다. 튼튼한 재무구조를 비롯해 글로벌스탠다드에 맞는 경영만이 격심한 환경변화 속에서 생존할 수 신세계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내실 있는 경영을 할 것이다.
책임경영
신세계는 신뢰를 바탕으로 과감한 권한 위양과 고객접점의 영업 현장에서 최고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각 경영활동의 주체가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기업문화를 지향한다.
(3) 중국 진출 과정
신세계는 1993년 이래, 홍콩에 사무소를 개설하고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 유통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었다. 1996년, 신세계는 일본계 유통업체인 야오한의 요청을 받고 상해 푸동 지역의 넥스테이지 쇼핑몰 1500평을 600만 달러에 임차하여 신세계백화점을 개점하였다. 그곳에서 3년간에 걸쳐 식품과 의류를 중심으로 실험을 계속했는데,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신세계 백화점 개점 후, 신세계에 좋은 인식을 갖게 된 상해시의 고위인사가 상해시 시청 상업위원회산하 국영기업인 상해상무중심주식회사(上海商務中心株式會社)를 신세계에 소개하였다. 그 결과 신세계 500만 달러, 상무중심 100만 달러의 자본금으로 특혜적 합작회사인 이마트를 1996년 말에 설립하게 되었으며, 1997년 2월 중국 상해시 곡양로(曲陽路)에서 면적 2400평의 이마트 1호점을 개점하였고 실질적인 독자경영을 하게 되었다.
합작형식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유는 1997년 당시 중국유통시장은 아직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서 외국유통업체들이 중국시장진출 시 합작투자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합작조건으로 유통업체의 외국인 소유 지분 제한 한도가 49% 이하여야 했고 이 때문에 이마트의 지분 49% 중국합작파트너인 구백유한회사 49%, 기존 사업파트너인 상하시상무가 2%의 지분을 보유한 형태가 되었다. 이렇게 현지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해온 국영기업체와의 합작투자는 중국 특유의 ‘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경영] 이마트 중국진출전략(유통 유통관리 마케팅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농심 신라면의 중국시장 성공사례 분석, 농심의 향후과제 및 전략제안
[국제경영학]Google의 한국시장 진출전략 분석
맥도날드의 중국시장 진출전략과 성공요인
[국제경영학]구글 기업분석 및 한국시장 진출전략
[국제경영전략]로만손 러시아 마케팅 성공사례
월마트,해외진출,중국시장진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P&G 기업소개,P&G의 일본진출,글로벌마케팅사례,일본시장진출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
글로벌마케팅(현대자동차),중국시장진출,현대자동자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지멘스의독일시장전략, 지멘스의중국시장전략,지멘스의한국시장전략,지멘스기업분석,지멘서해...
Lenovo,유럽시장진출전략,글로벌경제,해외진출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아모레퍼시픽 (AmorePacific) 중국시장진출 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 아모레퍼시픽 기업분석...
농심農心 기업분석과 SWOT분석,국내전략 분석 및 농심 중국시장진출 경영,마케팅전략 분석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