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수업전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중요성 37

Ⅱ. 한국 원격교육의 현실과 문제점 42

Ⅲ.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수업전략의 실제 43

Ⅳ. 결론 및 제언 53

본문내용

상호작용 활성화 교수전략은 학교차원에서 볼 때 사이버대학의 탈락률을 낮추는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현재 국내의 사이버교육현장에서 구축되고 있는 강의는 오프라인상의 대학 강의실과 달리 토론, 팀 프로젝트, 게시판의 구현이 기술상으로는 완벽하게 쌍방향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콘텐츠, 교수-학습자간, 특히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은 실제 사이버대학생들의 강의만족도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즉, 교수자는 퀴즈, 기말, 과제물의 평가방식 외에도 적절히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동학습을 유발할 수 있는 토론, 팀 프로젝트 등의 평가방식을 도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평가방식에서도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배치하는 평가 전략(예. 참여도 점수) 또한 요구된다.
여섯째, ‘교육은 예술(art)활동’인 만큼 교수자는 동일한 과목의 동일 콘텐츠라고 하더라도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갖는 효과를 고려하여, 매번 같은 과목의 강의운영에서도 학습자들이 충분히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수업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토론이나 팀 프로젝트의 운영에서도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적절한 팀의 구성, 적절한 주제의 선정(예, 학생들이 관심가질 수 있는 핫이슈, 예: ‘스와핑 참여자들에 대한 찬반논쟁’ 등), 지역별 팀 구성으로 오프라인상의 모임의 유도하는 등의 교수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나일주(2004). 웹 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설 훈(2004). 사이버대학 부실심각, 정책보도자료.
신진희(2003).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 석사학위논문.
손 영, 김성일(2005). 또래 교수 집단구성방식이 학업성취도와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9(3), 595-613.
임철일(1999). 상호작용적 웹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15(1), 3-24.
임철일(1999). 웹기반 교육의 상호작용 설계. 나일주 편(1999). 웹 기반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윤여순(1998). 기업에서의 웹기반 학습체제 구축사례: LG Cyber Academy. 한국기업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 261-281.
임정훈(1999). 웹기반 문제해결학습 환경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전략이 온라인 토론의 참여도와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자신문(2004.10.7.). 사이버대학 등록율 해마다 줄어.
황대준김재웅정인성방명숙(1997). 21세기형 첨단학교, 가상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연구. 교육부교육정보관리국수탁과제보고서.
Daniel, J. S. & Marquis, C. (1979).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getting the mixture right. Teaching at a Distance, 15. 29-44.
Fantuzzo, J. W., Riggio, R. E., Connelly, S., & Dineff, L. A. (1989).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A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173-177.
Ginsberg-Block, M. & Fantuzzo, J. (1997). Reciprocal peer tutoring: An analysis of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s as a function of training and experi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2. 134-149.
Gillani, B. B., & Relan, A. (1997). Incorporating interactivity and multimedia into web-based instruction. In Khan, B. D. (ED.)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ology Publications.
Holmberg, B. (1983). Gided didactic conversation in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Londeon: Routledge.
Keegan, D. (1996).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King, A., Stafferi, A., & Adeganis, A. (1998). Mutual peer tutoring: Effects of structuring tutorial interaction to scaffold peer tutor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 134-152.
Lazerson, D. B. (1980). I must be good if I can teach: Peer tutoring with aggressive and with draw childre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3. 43-48.
Moore, M. G., &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Sewart, D. (1978). Continuity of concern for students in a system of learning at a distance. Hagen: Fernuniversitat.
Sewart, D. (1994). Student support systems in distance education. ICDE 16th conference.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6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