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여 결정된다고 할 것이고, 그 사용종속관계가 인정되는 한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4. 사용자의 지위 겸유 여부
“회사의 공장장으로 근무하던 중 이사대우로 승진하였는데 승진 후에도 매일 그 공장에 출근하여 종전부터 하여 온 공장장으로서의 업무를 처리하면서 그 대가로 일정한 보수를 받은 경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한다.”
4. 사용자의 지위 겸유 여부
“회사의 공장장으로 근무하던 중 이사대우로 승진하였는데 승진 후에도 매일 그 공장에 출근하여 종전부터 하여 온 공장장으로서의 업무를 처리하면서 그 대가로 일정한 보수를 받은 경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한다.”
추천자료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기관분화
노동조합의 민주성확보 방안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단결강제와 union shop 조항의 충돌 문제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단체교섭의 당사자 및 단체교섭권의 경합 문제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단체협약의 채무적 부분 및 단체협약의 제조항 전반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거부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쟁의행위 목적의 정당성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중재의 의의와 관련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조정전치주의 위반과 쟁의행위 정당성
노조법상 중재재정 취소청구소송에 대하여
노조법상 평화의무와 쟁의행위 정당성
노조법상 피케팅과 쟁의행위 정당성 관련 판례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과 인준투표제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