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업소개
1) 회사개요 및 사업 분야
2) 연혁
3) 기업로고 및 어원
4) 기업이념 및 비전
Ⅱ. 베트남 시장의 해외 진출
1) 베트남 시장 특성
① 베트남 화장품 시장
② 베트남 소비자들의 성향
③ 경쟁기업 분석
2)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와 전략
①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
②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
3) SWOT 분석
4) 4P 분석
5) 앞으로의 베트남시장에서의 계획과 전략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1) 회사개요 및 사업 분야
2) 연혁
3) 기업로고 및 어원
4) 기업이념 및 비전
Ⅱ. 베트남 시장의 해외 진출
1) 베트남 시장 특성
① 베트남 화장품 시장
② 베트남 소비자들의 성향
③ 경쟁기업 분석
2)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와 전략
①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
②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
3) SWOT 분석
4) 4P 분석
5) 앞으로의 베트남시장에서의 계획과 전략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품등과 베트남 현지기업인 Saigon Cosmetics 등이 있다. 각각의 기업은 현지 화장품시장 규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시장에 대한 서로 다른 전략을 보고 있다.
유니레버
- 현지 유통 시장 중 가장 큰 규모인 재래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삼고 있음
- 거대한 광고(TV,잡지)를 통한 경쟁력 증대 마케팅 전략
- 대리점에 의한 유통력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음
- 상대적으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가격 경쟁력에 따른 매출 증대
시세이도
- 현지 유통시장 중 이미지샵 공략을 통한 고객 관리에 중점을 둠
- 고급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층 확보
- 광고를 통한 마케팅은 상대적으로 저조(잡지 광고만 시행)
- 현지 투자생산이 아닌 수출형태를 이룸
- 상품가격의 고급화로 인한 고소득층 공략
코리아나
- 정상적인 대리점 계약에 의한 대리점 체제로 운영
- 방문판매가 주된 영업수단
- 제품가격의 고가 책정으로 인해 상류계층에게 판매가 집중
- 한 때 부작용 문제로 인해 신문에 이름이 올랐음
로제
- 대리점 체제로 운영하였으며 현재도 지속적인 점포 운영
- 제품 수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유명브랜드와 가격차이가 없을 정도로 고가판매로 인한 대리점 체제의 운영이 무너진 상황
기타 화장품
- 저급 브랜드 덤핑제품 위주로 싼 가격에 판매
- 국내에서 일차 덤핑 후 현지에서 또 한 번의 덤핑판매로 인한 가격경쟁력 확보
2)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와 전략
① 베트남 진출 성과-베트남 화장품 시장 ‘기회의 땅’
코트라 현지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 사람들의 1인당 화장품 소비 규모는 연간 6~7달러로 추정되고 있는데 현재의 급속한 소비추세에 비추어볼 때 곧 10달러에 이를 것으로 현지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화장품 생산 산업은 보잘것없어 이제 겨우 샴푸, 향수 스킨케어 일부를 제조 출하하고 있는 단계이다. 베트남 화장품 시장은 립스틱과 파우더류등을 비롯하여 대부분 외국제품을 휩쓸고 있다고 코트라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선상에 있는 제품의 브랜드가 바로 ‘LG 생활건강’이다. 한국의 LG케미컬이 베트남의 보카리멕스사와 1997년 3월 합작 설립한 LG Vina 코스메틱스는 1998년 3월 본격적인 영업 활동을 시작하여 3년만에 베트남 화장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드봉 브랜드의 제품을 제조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40%에 육박하는 성공을 거두며 에스티로더, 랑콤, 시세이도 등을 따돌리며 수입 화장품 중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외국 업체 최초로 베트남 현지에 화장품 공장을 설립하였다.
LG드봉 화장품은 랑콤, 폰즈 등 다국적 브랜드를 제치고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에서 1위를 차지
호치민시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중 최초상기도가 26%로 1위(2위는 폰즈로 14%)
1998년 김남주와 장동건을 앞세워 한류마케팅을 시도한 뒤 최근 많은 한류스타의 부각으로 인해 LG생활건강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되는 추세. 최근에는 대장금의 높은 인기로 인해 이영애를 ‘history of 후’의 메인모델로 기용하면서 한류풍을 일으키고 있음.
LG생활건강의 드봉 화장품은 베트남 사람들의 월 소득의 5분의 1이 되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유율을 차지
②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
한국 문화 마케팅 주효
LGVINA의 성공 열쇠를 풀기 위해서는 \'김남주\' 라는 캐릭터를 빼놓고 논할 수 없다. 1998년 LGVINA는 LG라는 한국 기업에 대한 대중적인 친숙함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한국문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이 경쟁력 있는 한국 드라마 필름을 수입, 방송사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그 프로그램 앞뒤의 광고권을 따내는 이른바 \'Drama Sponoring\' 전략이었다. 이렇게 방영된 의가형제, 내 마음을 뺏어봐 등의 드라마가 베트남에서 한국 붐이라는 도화선에 불을 당기게 되었고 김남주가 베트남 국민배우로 부상, 자연히 드봉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는 급상승할 수 밖에 없었다. LGVINA는 이에 멈추지 않고 \'김남주\'를 필두로 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전례 없는 스타마케팅 신화를 일궈냈다. 김남주를 베트남으로 초청, 팬 사인회와 콘서트를 펼치고 또 한국방문 이벤트의 일환으로 김남주의 첫번째 영화 \'아이 러브 유\'의 시사회 초청권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제공하였다. 김남주 이벤트 외에도 LGVINA는 공연과 이벤트 문화를 선호하는 베트남의 독특한 국민성을 감안하여 \'메이크업 쇼\', \'여성의 날 베스트 메이크업 선발\', \'사이공의 밤\' 등의 게릴라 이벤트를 전개하여 소비자 접점 마케팅의 꿀맛 같은 효과를 단기간에 맛볼 수 있었다.
철저한고객 관리 시스템 운영
베트남 여성에게 있어 미인의 첫 번째 조건은 단연코 하얀 피부이다. LG의 제품 중 <이지업> 클리어 화이트 스킨과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 류가 절대적인 판매량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하얀 피부에 대한 그들의 욕구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시장 진입 초기에는 여성 인구의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스킨 케어 쪽보다는 메이크업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고, 스킨 케어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었다. 시장 전개에 한계를 느낀 LGVINA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스킨케어\'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마인드부터 다시 손질하기에 이르렀다. 소비자의 인식 체계를 거꾸로 재정비하는 이른바 \'계몽 마케팅\'을 단행한 것이다. 먼저 97년 8월 <드봉 뷰티 센터>를 호치민과 하노이에 유치하여 고정 고객 및Heavy User를 대상으로 화장법과 피부 관리 요령을 몸소 체험토록 하여 <드봉>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불어넣는 한편, 제품 오용으로 인해 트러블이 생긴 소비자의 클레임을 접수하여 문제점 진단과 사후 관리를 처방하는 피부 관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LGVINA의 영업 활동 중 가장 큰 경쟁력은 바로 고정 고객 관리팀(Regular Customer Team)의 운영이다. 기존 고객의 관리 및 신규 고객 발굴 그리고 방문 판매 사원의 영업 활동도 지원한다. 드봉 화장품은 또 베트남 질하기에방문 세일즈에방식을 도입하고 분기별로 한번씩 메이크업 잡지를 발행해서 무껌별
유니레버
- 현지 유통 시장 중 가장 큰 규모인 재래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삼고 있음
- 거대한 광고(TV,잡지)를 통한 경쟁력 증대 마케팅 전략
- 대리점에 의한 유통력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음
- 상대적으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가격 경쟁력에 따른 매출 증대
시세이도
- 현지 유통시장 중 이미지샵 공략을 통한 고객 관리에 중점을 둠
- 고급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층 확보
- 광고를 통한 마케팅은 상대적으로 저조(잡지 광고만 시행)
- 현지 투자생산이 아닌 수출형태를 이룸
- 상품가격의 고급화로 인한 고소득층 공략
코리아나
- 정상적인 대리점 계약에 의한 대리점 체제로 운영
- 방문판매가 주된 영업수단
- 제품가격의 고가 책정으로 인해 상류계층에게 판매가 집중
- 한 때 부작용 문제로 인해 신문에 이름이 올랐음
로제
- 대리점 체제로 운영하였으며 현재도 지속적인 점포 운영
- 제품 수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유명브랜드와 가격차이가 없을 정도로 고가판매로 인한 대리점 체제의 운영이 무너진 상황
기타 화장품
- 저급 브랜드 덤핑제품 위주로 싼 가격에 판매
- 국내에서 일차 덤핑 후 현지에서 또 한 번의 덤핑판매로 인한 가격경쟁력 확보
2)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과와 전략
① 베트남 진출 성과-베트남 화장품 시장 ‘기회의 땅’
코트라 현지 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 사람들의 1인당 화장품 소비 규모는 연간 6~7달러로 추정되고 있는데 현재의 급속한 소비추세에 비추어볼 때 곧 10달러에 이를 것으로 현지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화장품 생산 산업은 보잘것없어 이제 겨우 샴푸, 향수 스킨케어 일부를 제조 출하하고 있는 단계이다. 베트남 화장품 시장은 립스틱과 파우더류등을 비롯하여 대부분 외국제품을 휩쓸고 있다고 코트라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선상에 있는 제품의 브랜드가 바로 ‘LG 생활건강’이다. 한국의 LG케미컬이 베트남의 보카리멕스사와 1997년 3월 합작 설립한 LG Vina 코스메틱스는 1998년 3월 본격적인 영업 활동을 시작하여 3년만에 베트남 화장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드봉 브랜드의 제품을 제조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40%에 육박하는 성공을 거두며 에스티로더, 랑콤, 시세이도 등을 따돌리며 수입 화장품 중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외국 업체 최초로 베트남 현지에 화장품 공장을 설립하였다.
LG드봉 화장품은 랑콤, 폰즈 등 다국적 브랜드를 제치고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에서 1위를 차지
호치민시에서는 화장품 브랜드 중 최초상기도가 26%로 1위(2위는 폰즈로 14%)
1998년 김남주와 장동건을 앞세워 한류마케팅을 시도한 뒤 최근 많은 한류스타의 부각으로 인해 LG생활건강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되는 추세. 최근에는 대장금의 높은 인기로 인해 이영애를 ‘history of 후’의 메인모델로 기용하면서 한류풍을 일으키고 있음.
LG생활건강의 드봉 화장품은 베트남 사람들의 월 소득의 5분의 1이 되는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유율을 차지
②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
한국 문화 마케팅 주효
LGVINA의 성공 열쇠를 풀기 위해서는 \'김남주\' 라는 캐릭터를 빼놓고 논할 수 없다. 1998년 LGVINA는 LG라는 한국 기업에 대한 대중적인 친숙함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한국문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이 경쟁력 있는 한국 드라마 필름을 수입, 방송사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그 프로그램 앞뒤의 광고권을 따내는 이른바 \'Drama Sponoring\' 전략이었다. 이렇게 방영된 의가형제, 내 마음을 뺏어봐 등의 드라마가 베트남에서 한국 붐이라는 도화선에 불을 당기게 되었고 김남주가 베트남 국민배우로 부상, 자연히 드봉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는 급상승할 수 밖에 없었다. LGVINA는 이에 멈추지 않고 \'김남주\'를 필두로 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전례 없는 스타마케팅 신화를 일궈냈다. 김남주를 베트남으로 초청, 팬 사인회와 콘서트를 펼치고 또 한국방문 이벤트의 일환으로 김남주의 첫번째 영화 \'아이 러브 유\'의 시사회 초청권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제공하였다. 김남주 이벤트 외에도 LGVINA는 공연과 이벤트 문화를 선호하는 베트남의 독특한 국민성을 감안하여 \'메이크업 쇼\', \'여성의 날 베스트 메이크업 선발\', \'사이공의 밤\' 등의 게릴라 이벤트를 전개하여 소비자 접점 마케팅의 꿀맛 같은 효과를 단기간에 맛볼 수 있었다.
철저한고객 관리 시스템 운영
베트남 여성에게 있어 미인의 첫 번째 조건은 단연코 하얀 피부이다. LG의 제품 중 <이지업> 클리어 화이트 스킨과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 류가 절대적인 판매량을 차지하는 것을 보면 하얀 피부에 대한 그들의 욕구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시장 진입 초기에는 여성 인구의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스킨 케어 쪽보다는 메이크업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었고, 스킨 케어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었다. 시장 전개에 한계를 느낀 LGVINA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스킨케어\' 자체에 대한 기본적인 마인드부터 다시 손질하기에 이르렀다. 소비자의 인식 체계를 거꾸로 재정비하는 이른바 \'계몽 마케팅\'을 단행한 것이다. 먼저 97년 8월 <드봉 뷰티 센터>를 호치민과 하노이에 유치하여 고정 고객 및Heavy User를 대상으로 화장법과 피부 관리 요령을 몸소 체험토록 하여 <드봉>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불어넣는 한편, 제품 오용으로 인해 트러블이 생긴 소비자의 클레임을 접수하여 문제점 진단과 사후 관리를 처방하는 피부 관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LGVINA의 영업 활동 중 가장 큰 경쟁력은 바로 고정 고객 관리팀(Regular Customer Team)의 운영이다. 기존 고객의 관리 및 신규 고객 발굴 그리고 방문 판매 사원의 영업 활동도 지원한다. 드봉 화장품은 또 베트남 질하기에방문 세일즈에방식을 도입하고 분기별로 한번씩 메이크업 잡지를 발행해서 무껌별
추천자료
[외식산업] 외식산업 현황과 나아갈 길
(외식산업의 이해) 국내 유명 4대 외식 산업체의 진출현황과 운영방안 및 문제점 대책방안
(외식산업 분석)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의 실태 및 현황과 성공 사례 분석 (놀부보쌈 경영 성...
외식산업 외식 2
외식업체견학외식산업의미래와이외공의전망
[외식산업 업체의 현황 분석] CJ FOOD 외식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극복방안 [A+ 추천 레포트]
[외식산업] 외식과 외식산업의 개념(정의), 특성, 경영형태, 성장요인, 전망과 과제
패밀리레스토랑, 어디로? (외식산업,FR시장현황,FR시장,FR시장확산요인,외식산업특징,외식산...
외식 산업 분석 - 외식산업분석,외식산업,패밀리레스토랑분석,패스트푸드분석,커피전문점분석...
외식업 {외식과 외식업의 개념, 외식상품의 구성요소, 외식산업의 기능과 특성, 외식산업의 ...
[일본의 외식산업 변천사] 일본 외식산업의 발전과정(일본외식산업 발전단계)
[외식산업] 외식산업의 정의와 특성, 20세기와 21세기의 외식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