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
2. 친환경 가공 기술의 경향
3. 절삭유 사용의 문제점
4. 해결책
5. 결론
2. 친환경 가공 기술의 경향
3. 절삭유 사용의 문제점
4. 해결책
5. 결론
본문내용
당하는 특별 이사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 보전을 위한지출액은 ‘92년 의 경 우 579백만 마르크(약 450억원)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비용이 상승하고 있고 이러한 비용은 주로 환 경 문제에 관한 데이터를수집하기 위하여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내 회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차원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시작으로 각종 폐기물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Machine Tool Agile Manufacturing Research Institute를 중심으로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MTU), University of Califonia-Berkeley (UCB),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UNL),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UlUC) 등의 대학들이 공동으로 가공 공정에 있어서 지구 환경(Environmental), 작업재해(Health), 안전(Safety) 등 유해 요소의 예측 및 억제 방안 정립,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절삭유의 특성과 역할 도출, 건식 가공 공정 기술의 개발, 특수(비일반) 가공 공정에 있어서 폐기물의 특성 평가, 환경 친화를 고려한 절삭 가공 공정의 계획 수립 등을 주 연구 목적으로 하여 환경 친화형 가공(Environmentally Conscious Machining: ECM)에 관한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시건대의 경우는 환경 친화형 가공 Test-bed를 구축하고 절삭유 역할의 모델링, 절삭유 특성 분석 및 선 정 기준안 정립, 절삭 칩 형성 특성의 분석, 절삭유와 공구 폐기물의 억제화, 건식 가공, 특수 복합 가공 기술의 개발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 내용으로 환경 친화형 생산(Environmentally Conscious Manufacturing: ECM)에 관한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기계 기술 연구소에서 생산 분야에서의 경제적, 기술적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지구환경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형 기계 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에너지 소비량이 적을 것, 지구 생태계로 의 부하가 적은 신자원 에너지로 전환할 것, 폐기량이 적거나 재활용 처리가 용이한 폐기물일 것, 지구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을사용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것 등을 실현하기 위한 Ecofactory (Ecology-Based Factory 혹은 Ecologically Conscious Factory의 압축 표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고 있으며,게이오대 및 사이타마대 등을 중심으로 극소량의 절삭유를 사용하거나 절삭유를 대체하여 냉풍 공급 에 의한 건식 가공을 추구하기 위한 관련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절삭유 사용 문제점
절삭가공공장은 환경문제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절삭유의 사용이다. 절삭유의 사용은 사실 경제성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예로서 독일에서 수행한 한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절삭유의 구매와 유지보수비용은 전체 생산원가의 7.5%와 17%에 각각 이르는데 반하여 공구의 비용은 4%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유럽지역에서는 강제적인 환경법률의 제정과 맞물려 점차 절삭유의 사용을 줄이고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절삭유는 절삭과정에서 냉각과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작용에 의하여 공구와 공작물의 온도는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공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가공된 공작물은 내부 잔류응력이 줄어들게 되며, 공작물의
그룹 내 회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차원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시작으로 각종 폐기물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Machine Tool Agile Manufacturing Research Institute를 중심으로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MTU), University of Califonia-Berkeley (UCB),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UNL),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UlUC) 등의 대학들이 공동으로 가공 공정에 있어서 지구 환경(Environmental), 작업재해(Health), 안전(Safety) 등 유해 요소의 예측 및 억제 방안 정립, 가공 공정에 있어서 절삭유의 특성과 역할 도출, 건식 가공 공정 기술의 개발, 특수(비일반) 가공 공정에 있어서 폐기물의 특성 평가, 환경 친화를 고려한 절삭 가공 공정의 계획 수립 등을 주 연구 목적으로 하여 환경 친화형 가공(Environmentally Conscious Machining: ECM)에 관한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시건대의 경우는 환경 친화형 가공 Test-bed를 구축하고 절삭유 역할의 모델링, 절삭유 특성 분석 및 선 정 기준안 정립, 절삭 칩 형성 특성의 분석, 절삭유와 공구 폐기물의 억제화, 건식 가공, 특수 복합 가공 기술의 개발 등을 중심으로 한 연구 내용으로 환경 친화형 생산(Environmentally Conscious Manufacturing: ECM)에 관한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기계 기술 연구소에서 생산 분야에서의 경제적, 기술적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지구환경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형 기계 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에너지 소비량이 적을 것, 지구 생태계로 의 부하가 적은 신자원 에너지로 전환할 것, 폐기량이 적거나 재활용 처리가 용이한 폐기물일 것, 지구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을사용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것 등을 실현하기 위한 Ecofactory (Ecology-Based Factory 혹은 Ecologically Conscious Factory의 압축 표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고 있으며,게이오대 및 사이타마대 등을 중심으로 극소량의 절삭유를 사용하거나 절삭유를 대체하여 냉풍 공급 에 의한 건식 가공을 추구하기 위한 관련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절삭유 사용 문제점
절삭가공공장은 환경문제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절삭유의 사용이다. 절삭유의 사용은 사실 경제성이나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예로서 독일에서 수행한 한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절삭유의 구매와 유지보수비용은 전체 생산원가의 7.5%와 17%에 각각 이르는데 반하여 공구의 비용은 4%에 불과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유럽지역에서는 강제적인 환경법률의 제정과 맞물려 점차 절삭유의 사용을 줄이고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절삭유는 절삭과정에서 냉각과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작용에 의하여 공구와 공작물의 온도는 저하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공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가공된 공작물은 내부 잔류응력이 줄어들게 되며, 공작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