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의 개념과 중요성 및 정신건강에서 말하는 정상과 비정상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의 개념과 중요성 및 정신건강에서 말하는 정상과 비정상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건강의 개념

2. 정신건강의 중요성

3. 정신건강에서 말하는 정상과 비정상
1) 정상과 비정상의 개념정의
2) 정상에 속하는 범주 및 분석
3) 정신의학적 측면에서의 정상
4) 정상과 비정상의 비교 기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가 많다. 고립과 고독은 사르트르도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하였다. 정신적으로 황폐해지고, 인격장애를 수반하는 수가 많기 때문에 정상인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대인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건강한 삶을 위해서 절대로 필요하다.
넷째, 이성(異性)관계가 만족스럽게 이루어져야 정상인이다.
정신분석 차원에서 이성과의 관계를 아주 중요시한다. 정신병리적인 여러 요소들이 이성 문제에서 일어난다. 또 정신장애의 증상들 중에 성과 관련된 증상들이 많다. 우리는 이성 관계를 원만하게 가지는 사람을 정상인이라고 한다.
다섯 째, 현실에서 자신의 능력을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그 능력에 맞추어서 살아가는 사람은 정상인이다. 자신의 능력을 정확히 알고 그 능력에 맞추어서 살아가는 사람이 정상인이다. 자신의 능력에서 벗어난 일에 뛰어든 사람은 욕망과 현실 사이의 괴리 때문에 마음의 고통을 심하게 받는다. 그것을 인식하고 자기의 삶에 만족을 찾는 사람이 정상인이다.
여섯 째, 직업 적응을 잘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사람이 정상인이다.
자기의 직업에 끊임없이 불만을 토로하면서 살아가는 사람을 흔히 본다. 그런 사람은 불만만큼 마음에 고통을 받으면서 살아가는 사람이다.
4) 정상과 비정상의 비교 기준
(1) 통계적 기준
이 기준은 평균적인 것을 정상으로 보고 그 기준의 범위에서 이탈하면 문제라고 보는 시각이다.평균적인 범주나 확률이라고 하는 객관적인 기준을 갖고 정상- 비정상을 판단하고 있다. 이것을 심리학적 관점에 적용하면 인간의 다양한 행동 특성이나 능력에 대해 평균적인 범주를 만들어 이것으로부터 이탈하는 정도가 크면 클수록 비정상의 정도가 크다고 보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행동 특성이나 능력은 신장이나 체중처럼 객관적으로 그 평균을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탈의 정도에 대한 판단이 어렵고 때문에 판단자의 주관이 개입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영유아기나 아동의 행동은 그 변화의 가능성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크기 때문에 한번의 검사 결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문제 행동의 판단시에는 반복적인 검사와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2) 가치적 기준
이 기준은 아동의 성장에 대한 부모나 교사의 기대와 욕심, 그리고 이상(理想)이라고 하는 가치적 기준의 관점에서 \'정상-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런 부모의 기대나 이상이라고 하는 가치적 기준은 개인, 사회, 문화,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고 변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다.
(3) 의학적 기준
이 기준은 심리적인 이상을 신체적 이상과 관련지어서 생각하는 것으로 의학적 진단이나 검사 방법을 통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ㄴ경미한 경우에는 의사들간의 판단의 차이가 잇을 수 있으며 또한 심리적 이상이 바로 의학적 증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에 정상과 이상의 판단이 어렵고 그 경계선을 긋는 것도 쉽지 않다.
(4) 일상적 생활 기준
이것은 개인의 지금까지의 생활, 즉 행동이나 태도 발달의 경과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즉, 이상(異常)이라는 단어의 의미 그대로 평소와 다른 모습이나 상태가 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이 기준에서는 평소 그 아동의 생활이나 행동을 잘 이해하고 있는 부모나 교사의 판단이 중요한 자료가 된다.
(5) 발달적 기준
발달 심리학에서는 예를 들어 몇 세가 되면 무엇이 어느정도 발달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 주고 있다. 아동의 행동을 판단할때도 연령에 따른 적합한 발달의 상태라고 하는 기준을 갖고 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영유아기의 발달과정은 시간적으로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부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15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