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질병연구 자료
나. 대상자 사정자료
다. 진단 검사
라. 임상검사
마. 약물
라. 처치(4.15당일)
마. 간호과정
reference)
나. 대상자 사정자료
다. 진단 검사
라. 임상검사
마. 약물
라. 처치(4.15당일)
마. 간호과정
reference)
본문내용
해 준다.Y
: 두개내압을 상승시키고 폐용적을 감소시키는 트렌델렌버그 체위는 취하지 않는다.
: 측위로 눕혀서 머리를 작은 담요나 수건을 말아서 등에다 대주는 체위를 취한다.
: 기관의 직경을 감소시키므로 목은 과도 신전 시키지 않는다.
- 호흡기내 분비물 배출 위한 경타, 진동, 체위배액을 실시 한다.Y
* 진동시 호흡수가 60~80회/분 이상인 신생아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폐엽부위를 돌아가면서 진동시킨다.
- 필요시 흡인한다.
: 약 2시간마다 흡인을 한다
: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 경련과 서맥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점액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소독된 생리식염수를 카테터 끝에 발라 재빨리, 부드 럽게 기관지에 삽입한다.
: 삽입할 때는 카테터를 막아 흡인이 되지 않도록 하고 뺄 때 흡인 되도록 한다.
기관지 관이 폐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5초이상 경과하지 않도록 한다.
: 카테터를 endotracheal tube끝보다 약 0.5cm 깊게 삽입한다.
- pH, PCO2, PO2, O2saturation을 체크한다.Y
- 필요시 ambu bag을 적용한다.
- 적절한 보온 유지를 위해 warmer를 사용한다Y
- ventilator에 대한 반응을 사정한다.Y
5)평가(4.17.수)
- 환아는 ventilator를 weaning하였다.
- 환아의 suction횟수는 2시간에 1번에서 duty에 한번이었다.
- 환아 chest retraction 아직 남아있는 상태이다
- 호흡수 :54회/분, pH 7.39/ PO2 85.5/ PCO2 48.5 정상범위 유지하고 있다.
2. 생리적 미성숙. 광선 요법과 관련된 체온변화 가능성(4.15.월)
1) 사정
S:아이가 열이나요! 일환이 학생아 체온좀 재봐요!!
O - 신생아의 생리적 특징: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다
: 피하지방층이 얇아 열보유 능력이 떨어진다
: shevering 기전을 통한 열생산 능력이 떨어짐
- 체온: 37.4℃
- 환아 팔, 다리 온 몸에 노란색의 모습.
- 생 후 4일째.
- 빌리루빈 수치 11.5 mg/
- photo therapy 중
2) 진단 : 생리적 미성숙, 광선 요법과 관련된 체온변화 가능성
3) 목표: 신생아의 체온은 정상범위에 있을 것이다.
4) 계획 & 수행
- 영아의 warmer 셋팅을 적절하게 한다Y
- 수분 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warmer 표면의 rap을 이용한다Y
- 2시간 간격, 필요시 수시로 체온을 측정한다.Y
- 고체온증의 증상을 관찰한다: 신경,근육기능의 저하,피로,무기력,의욕상실,심리적변화,환각증세 등
- 광선요법 시, 영아의 옷을 완전히 벗기고 체위변경을 자주하여 빛이 직접 골고루 가도록한다Y
-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자주 모니터 하도록 한다.Y
5) 평가(4.16)
- 환아의 빌리루빈 수치는 10.9로 호전되어 광선 요법 stop한 상태이다.
- 환아 체온 37.0℃로 유지하고 있다.
3. 기관 삽관, ventilator와 관련된 구강점막 변화
1) 사정
S:아이가 응아응아 울때 각질등 피부 손상이 일어나요 !!
O- 환아 입술에 각질이 많이 일어난 상태
- 현재 NPO 상태로 구강으로 아무것도 섭취하지 못하고 있음
- 8.5 cm 기관 삽관 중
- ventilator 통해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
2) 진단: 기관 삽관, ventilator와 관련된 구강점막 변화
3) 목표: 대상자의 입술의 각질 상태 및 구강 건조함이 없을 것이다.
4) 계획 & 수행
- humidification 할 수 있는 적정한 환경을 제공한다Y
- 생리식염수, petroleum젤리, Vit A나 D성분이 있는 lip balm을 발라준다.
:갈라진 입술이나 입술의 촉촉함을 유지 시켜준다
- 필요시 처방된 sialogogues(: 침을 분비를 늘리는)를 투약할 수 있다..
- 산소 공급시 삽입되는 관으로 인한 자극시 항생연고를 발라준다
- 자주 환아의 구강상태를 파악한다
5) 평가
- oral feeding 후, 환아 입술의 각질 및 구강상태 건조함이 없다.
reference)
1.김미예 외(1999).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수문사
2.이화자 외(1994).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도서출판 정담.
3.김조자 외(2003). 성인간호학2. 서울:현문사
4.홍창의 편(1999). 소아 과학 6th. 서울: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Mi Ja Kim 외.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 USA:Mosby
: 두개내압을 상승시키고 폐용적을 감소시키는 트렌델렌버그 체위는 취하지 않는다.
: 측위로 눕혀서 머리를 작은 담요나 수건을 말아서 등에다 대주는 체위를 취한다.
: 기관의 직경을 감소시키므로 목은 과도 신전 시키지 않는다.
- 호흡기내 분비물 배출 위한 경타, 진동, 체위배액을 실시 한다.Y
* 진동시 호흡수가 60~80회/분 이상인 신생아에게는 적용하지 않는다.
폐엽부위를 돌아가면서 진동시킨다.
- 필요시 흡인한다.
: 약 2시간마다 흡인을 한다
: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관지 경련과 서맥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점액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소독된 생리식염수를 카테터 끝에 발라 재빨리, 부드 럽게 기관지에 삽입한다.
: 삽입할 때는 카테터를 막아 흡인이 되지 않도록 하고 뺄 때 흡인 되도록 한다.
기관지 관이 폐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5초이상 경과하지 않도록 한다.
: 카테터를 endotracheal tube끝보다 약 0.5cm 깊게 삽입한다.
- pH, PCO2, PO2, O2saturation을 체크한다.Y
- 필요시 ambu bag을 적용한다.
- 적절한 보온 유지를 위해 warmer를 사용한다Y
- ventilator에 대한 반응을 사정한다.Y
5)평가(4.17.수)
- 환아는 ventilator를 weaning하였다.
- 환아의 suction횟수는 2시간에 1번에서 duty에 한번이었다.
- 환아 chest retraction 아직 남아있는 상태이다
- 호흡수 :54회/분, pH 7.39/ PO2 85.5/ PCO2 48.5 정상범위 유지하고 있다.
2. 생리적 미성숙. 광선 요법과 관련된 체온변화 가능성(4.15.월)
1) 사정
S:아이가 열이나요! 일환이 학생아 체온좀 재봐요!!
O - 신생아의 생리적 특징: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다
: 피하지방층이 얇아 열보유 능력이 떨어진다
: shevering 기전을 통한 열생산 능력이 떨어짐
- 체온: 37.4℃
- 환아 팔, 다리 온 몸에 노란색의 모습.
- 생 후 4일째.
- 빌리루빈 수치 11.5 mg/
- photo therapy 중
2) 진단 : 생리적 미성숙, 광선 요법과 관련된 체온변화 가능성
3) 목표: 신생아의 체온은 정상범위에 있을 것이다.
4) 계획 & 수행
- 영아의 warmer 셋팅을 적절하게 한다Y
- 수분 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warmer 표면의 rap을 이용한다Y
- 2시간 간격, 필요시 수시로 체온을 측정한다.Y
- 고체온증의 증상을 관찰한다: 신경,근육기능의 저하,피로,무기력,의욕상실,심리적변화,환각증세 등
- 광선요법 시, 영아의 옷을 완전히 벗기고 체위변경을 자주하여 빛이 직접 골고루 가도록한다Y
-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자주 모니터 하도록 한다.Y
5) 평가(4.16)
- 환아의 빌리루빈 수치는 10.9로 호전되어 광선 요법 stop한 상태이다.
- 환아 체온 37.0℃로 유지하고 있다.
3. 기관 삽관, ventilator와 관련된 구강점막 변화
1) 사정
S:아이가 응아응아 울때 각질등 피부 손상이 일어나요 !!
O- 환아 입술에 각질이 많이 일어난 상태
- 현재 NPO 상태로 구강으로 아무것도 섭취하지 못하고 있음
- 8.5 cm 기관 삽관 중
- ventilator 통해 지속적으로 산소 공급
2) 진단: 기관 삽관, ventilator와 관련된 구강점막 변화
3) 목표: 대상자의 입술의 각질 상태 및 구강 건조함이 없을 것이다.
4) 계획 & 수행
- humidification 할 수 있는 적정한 환경을 제공한다Y
- 생리식염수, petroleum젤리, Vit A나 D성분이 있는 lip balm을 발라준다.
:갈라진 입술이나 입술의 촉촉함을 유지 시켜준다
- 필요시 처방된 sialogogues(: 침을 분비를 늘리는)를 투약할 수 있다..
- 산소 공급시 삽입되는 관으로 인한 자극시 항생연고를 발라준다
- 자주 환아의 구강상태를 파악한다
5) 평가
- oral feeding 후, 환아 입술의 각질 및 구강상태 건조함이 없다.
reference)
1.김미예 외(1999).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수문사
2.이화자 외(1994).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도서출판 정담.
3.김조자 외(2003). 성인간호학2. 서울:현문사
4.홍창의 편(1999). 소아 과학 6th. 서울: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Mi Ja Kim 외.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 USA:Mosby
추천자료
모성 간호학 - 분만장 실습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실습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정형외과병동 실습-척추궁 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DDST][DDST적용][DDST분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 폐렴(Pneumonia) &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여성간호학실습] 자궁근종 Laparoscopic myomectomy 근종절제술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학과 실습 -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실습- 폐렴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Alcohol Dependence 알코올 의존증, 알코올 중독 ...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os 척추협착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간호과정, 출처 등 기...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