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관련 UCC 선정 기준
Ⅲ. 선정 UCC 소개
1. Urban Parks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① New York Central Park 개관
②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소개
2.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1, 2)
① Golden gate park 개관
②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1, 2) 소개
Ⅳ. 선정 UCC분석
1. 선정 UCC분석 기준2. 선정 UCC분석 결과
2. 선정 UCC분석 결과
① 기획완성도 측면
② 예술적인 측면
③ 기술적인 측면
④ GIS와의 연계여부
⑤ 내용적인 측면
Ⅴ. 결론
<참고문헌 및 동영상 주소 >
Ⅱ. 관련 UCC 선정 기준
Ⅲ. 선정 UCC 소개
1. Urban Parks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① New York Central Park 개관
②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소개
2.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1, 2)
① Golden gate park 개관
②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1, 2) 소개
Ⅳ. 선정 UCC분석
1. 선정 UCC분석 기준2. 선정 UCC분석 결과
2. 선정 UCC분석 결과
① 기획완성도 측면
② 예술적인 측면
③ 기술적인 측면
④ GIS와의 연계여부
⑤ 내용적인 측면
Ⅴ. 결론
<참고문헌 및 동영상 주소 >
본문내용
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특히 구글어스를 이용해 시청자의 전반적인 공원 내 시설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⑤ 내용적인 측면
1) 정확성(accuracy)/신뢰성(believability)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일반적인 도심공원의 기능과 Central park의 역사에 대한 객관적 사실 전달하고 있으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마찬가지로 Golden gate park의 역사에 대한 객관적 사실 전달하고 있다.
2) 완전성(complete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부각하여 도심공원의 중요성 강조할 필요하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전체적인 내용 구성의 일관성이 있다.
3) 최신성(timeli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나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주제의 한계로 인해 최근 이슈나 혹은 최신정보에 대한 내용이 없다
4) 관련성(relevance)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도심공원의 기능적인 측면과 생태적인 측면을 좀 더 강조하여 중요성 인식을 제고한다면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으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내용 그 자체보다 지리학적 tools을 사용한 표현적, 기술적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었다.
5) 유희성(playful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대표적인 도심공원인 Central park를 소재로 흥미를 유발하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Golden gate park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 제시하고 있다.
6) 유용성(useful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도심공원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질이 높지 않아 흥미를 유발하기엔 부족하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내용자체만으로 지구온난화와 연계하여 생각하기 힘들다.
Ⅴ. 결론
도시공원의 녹지공간 확보를 통해 도심 생태계 보존, 쾌적한 생활환경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온실가스 억제 및 열섬현상 완화, 홍수억제 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Urban Parks: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는 도심공원의 대명사인Central park를 배경으로 하여 도심공원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있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질이 높지가 않다는 점이 아쉽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는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Golden gate park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사진과 삽화 이외에도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공원 내의 지리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선정된 UCC 모두 직접적으로 GIS와 연관되는 내용이 빠져있었는데 만약 GIS를 사용하게 된다면 도시광역공간 차원에서의 도심녹지공간 확보 및 관리를 통하여 도시계획의 효율성 제고 및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효과적으로 대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동영상 주소 >
- 네이버 사전검색(두산대백과사전 제공) http://100.naver.com/
- 유튜브 http://www.youtube.com
- 구글 http://www.google.co.kr
-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http://www.youtube.com/watch?v=NzhQIjv-UI4
-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 1 http://www.youtube.com/watch?v=Y2lJEIUewoo
-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 2
http://www.youtube.com/watch?v=c4l-A5794Lw
⑤ 내용적인 측면
1) 정확성(accuracy)/신뢰성(believability)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일반적인 도심공원의 기능과 Central park의 역사에 대한 객관적 사실 전달하고 있으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마찬가지로 Golden gate park의 역사에 대한 객관적 사실 전달하고 있다.
2) 완전성(complete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부각하여 도심공원의 중요성 강조할 필요하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전체적인 내용 구성의 일관성이 있다.
3) 최신성(timeli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나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주제의 한계로 인해 최근 이슈나 혹은 최신정보에 대한 내용이 없다
4) 관련성(relevance)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도심공원의 기능적인 측면과 생태적인 측면을 좀 더 강조하여 중요성 인식을 제고한다면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으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내용 그 자체보다 지리학적 tools을 사용한 표현적, 기술적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었다.
5) 유희성(playful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대표적인 도심공원인 Central park를 소재로 흥미를 유발하며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Golden gate park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 제시하고 있다.
6) 유용성(usefulness)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의 경우 도심공원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질이 높지 않아 흥미를 유발하기엔 부족하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의 경우 내용자체만으로 지구온난화와 연계하여 생각하기 힘들다.
Ⅴ. 결론
도시공원의 녹지공간 확보를 통해 도심 생태계 보존, 쾌적한 생활환경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온실가스 억제 및 열섬현상 완화, 홍수억제 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Urban Parks: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는 도심공원의 대명사인Central park를 배경으로 하여 도심공원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있지만, 제공되는 정보의 질이 높지가 않다는 점이 아쉽다.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는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Golden gate park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사진과 삽화 이외에도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공원 내의 지리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선정된 UCC 모두 직접적으로 GIS와 연관되는 내용이 빠져있었는데 만약 GIS를 사용하게 된다면 도시광역공간 차원에서의 도심녹지공간 확보 및 관리를 통하여 도시계획의 효율성 제고 및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효과적으로 대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동영상 주소 >
- 네이버 사전검색(두산대백과사전 제공) http://100.naver.com/
- 유튜브 http://www.youtube.com
- 구글 http://www.google.co.kr
- Urban Parks : Good for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http://www.youtube.com/watch?v=NzhQIjv-UI4
-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 1 http://www.youtube.com/watch?v=Y2lJEIUewoo
- A history of golden gate park 2
http://www.youtube.com/watch?v=c4l-A5794L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