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Ⅱ. 일본 검도의 생성배경
Ⅲ. 검도의 한국 도입과 초기 진화과정
Ⅳ. 해방이후 검도의 정착과 발전
V. 결 론
【참고 문헌】
Ⅱ. 일본 검도의 생성배경
Ⅲ. 검도의 한국 도입과 초기 진화과정
Ⅳ. 해방이후 검도의 정착과 발전
V.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있다.
V. 결 론
본 연구는 한국 검도의 도입 및 시대적 발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검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앞으로의 한국 검도 발달 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현대검도의 모습은 치바 슈사쿠의 호쿠신일도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어려서부터 검술에 대단한 재능을 보인 치바 슈사쿠는 당시 성행하던 ‘나카니시하 잇도류’의 계승을 포기하고 당시로서는 위험한 도전이었던 호쿠신무소류와 이토잇토사이의 일도류를 합친 검도의 집대성이라 불려지는 호쿠신일도류를 고안해냈다.
둘째, 검도는 도입 시 전쟁의 수단에서 수련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전해지게 되었고, 서양의 학문과 문화가 점점 밀려들어오는 조선의 개화기, ‘부국강병’이라는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과정에서 일본의 강한 군사력을 통감하며 자의, 타의에 의해 받아들이게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격검’ 지금의 검도로 볼 수 있다.
셋째, 개화기 이후 검도는 수련의 목적이 아닌 군사적 훈련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조선의 신식군대 훈련내용으로 포함된 검술은 일본인 교관에 의해 강압적으로 훈련되는 형태를 띠며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 도장검도의 시초라 불리는 조선무도관이 설립되면서 보다 많은 이들이 검도를 접하고 알리게 된다.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검도교육은 공립학교에서의 정식 과목 채택을 계기로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되는 발판이 마련된다. 1934년 '조선신궁경기대회'와 1935년 ‘전조선체육대회’는 전국적으로 검도를 받아들이고 수련하였던 인구가 증가하고 완전한 정착이 이루어졌음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일제 군국주의가 끝을 향해 달려가던 황국신민통치기는 검도의 정치적, 군사적 목적이 이전보다 극대화되면서 일반대중들은 검도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되었다.
검도는 해방이후 군경을 중심으로 대중화 되어 오늘날에는 사회체육 혹은 스포츠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고, 경기규정에서도 스포츠화 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전성과 점수위주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 문헌】
경성상업고등학교동창회편(1973). 경기상업50년, 경기상업고등학교 동창회.
김영갑 외(2005). 검도의 정체성 확보방안. 한국체육철학회지, 13(3)
김영학 (1999). 우리나라 검도의 변화추이와 방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10
장재이·최종균·허건식(2000). 우리나라 검도의 도입기 양상. 선문대학교 자연과학논총, 3
최동재·남승우(2007). 한국 검도의 발전과정과 의미. 한국스포츠리서치, 18(2)
윤성식(1999). 근대 전·후 한국 검도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학래(1989). 한국유도발달사. 보경문화사.
임영무(1987). 체육사신강. 교학사.
大島宏太郞. 安藤宏三(1986). 劍道獨習敎本. 東京書店.
鄭喬(1884). 大韓季年史, 國史編纂委員會
Egloos, 현대검도의 형성과 무도정신, 2008년 11월 2일 검색.
Mookas, 검도 한국원류에 대한 일본의 반론, 2006년 2월 5일자.
V. 결 론
본 연구는 한국 검도의 도입 및 시대적 발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검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앞으로의 한국 검도 발달 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현대검도의 모습은 치바 슈사쿠의 호쿠신일도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어려서부터 검술에 대단한 재능을 보인 치바 슈사쿠는 당시 성행하던 ‘나카니시하 잇도류’의 계승을 포기하고 당시로서는 위험한 도전이었던 호쿠신무소류와 이토잇토사이의 일도류를 합친 검도의 집대성이라 불려지는 호쿠신일도류를 고안해냈다.
둘째, 검도는 도입 시 전쟁의 수단에서 수련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전해지게 되었고, 서양의 학문과 문화가 점점 밀려들어오는 조선의 개화기, ‘부국강병’이라는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과정에서 일본의 강한 군사력을 통감하며 자의, 타의에 의해 받아들이게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격검’ 지금의 검도로 볼 수 있다.
셋째, 개화기 이후 검도는 수련의 목적이 아닌 군사적 훈련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조선의 신식군대 훈련내용으로 포함된 검술은 일본인 교관에 의해 강압적으로 훈련되는 형태를 띠며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 도장검도의 시초라 불리는 조선무도관이 설립되면서 보다 많은 이들이 검도를 접하고 알리게 된다.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검도교육은 공립학교에서의 정식 과목 채택을 계기로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되는 발판이 마련된다. 1934년 '조선신궁경기대회'와 1935년 ‘전조선체육대회’는 전국적으로 검도를 받아들이고 수련하였던 인구가 증가하고 완전한 정착이 이루어졌음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일제 군국주의가 끝을 향해 달려가던 황국신민통치기는 검도의 정치적, 군사적 목적이 이전보다 극대화되면서 일반대중들은 검도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되었다.
검도는 해방이후 군경을 중심으로 대중화 되어 오늘날에는 사회체육 혹은 스포츠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고, 경기규정에서도 스포츠화 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전성과 점수위주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 문헌】
경성상업고등학교동창회편(1973). 경기상업50년, 경기상업고등학교 동창회.
김영갑 외(2005). 검도의 정체성 확보방안. 한국체육철학회지, 13(3)
김영학 (1999). 우리나라 검도의 변화추이와 방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10
장재이·최종균·허건식(2000). 우리나라 검도의 도입기 양상. 선문대학교 자연과학논총, 3
최동재·남승우(2007). 한국 검도의 발전과정과 의미. 한국스포츠리서치, 18(2)
윤성식(1999). 근대 전·후 한국 검도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학래(1989). 한국유도발달사. 보경문화사.
임영무(1987). 체육사신강. 교학사.
大島宏太郞. 安藤宏三(1986). 劍道獨習敎本. 東京書店.
鄭喬(1884). 大韓季年史, 國史編纂委員會
Egloos, 현대검도의 형성과 무도정신, 2008년 11월 2일 검색.
Mookas, 검도 한국원류에 대한 일본의 반론, 2006년 2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