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의 종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술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유도 경기규칙 ☯
☯ 검도경기규칙 ☯
☯ 경호무술 경기규칙 ☯
☯ 대한합기도 경기규칙 ☯
☯ 택견경기규칙 ☯
☯ 공수도 경기규칙 ☯
☯ 권격도 경기규칙 ☯

본문내용

하고 경기시간 종료의 신호를 한다.
제40조(표시계) 표시계는 주임 1명, 계원 2명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심판원의 판정을 정
하게 표시한다.
제41조(기록계) 기록계는 주임1명, 계원 2명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유효격자의 부위 및 반칙의 종류와 횟수, 경기의 소요시간등을 기록한다.
제42조(선수계) 선수계는 주임 1명, 계원 2명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선수의 소집, 용구의 검사 등에 임하며 경기가 지체 없이 진행되도록 한다.
제 14장 심판기 등의 규격
제43조(경기자의 등띠 규격) 경기자의 등때 규격은 그 길이를 70cm, 폭을 5cm로 하고 새 깔은 청, 백 두가지로 한다.
* 국제규정은 심판기 및 등띠의 색깔을 홍.백으로 한다.
경호무술 경기규칙
경기의 종류 및 방식
1) 개인전 : 각 체급별 개인단위로 대전 방식. 단 차상위 체급과 2체급의 통합전을 할 수 있다.
2) 단체전 : 단체전간의 대전방식
☆경기의 방식☆
1) Single Elimination Tournament
- 싱글 일리미네이션 : (개인 토너먼트)
2) Round Robin 라운드 로빈 : (리그전)
3) Double Repechage 더블 레퍼샤지 : (패자부활전)
본 협회가 공인하는 모든 대회는 4 개 팀 이상이 참가하여야 하며 각 체급별로 4인 이상이 대전한 경우에만 그 성적이 인정된다.
# 해설
(1) 개인전은 각 체급별, 개인단위로 대전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하나 대회규정이 정하는 채 점방식에 따라 개인전의 성적을 종합하여 단체등위를 결정 할 수 있다.
(2) 단체전은 단체간 대전의 결과에 따라 단체단위로 승패가 가려지는 방식을 말한다.
(3) 위와 같은 단체전 대전에서 경기를 모두 진행하기 전에 한편이 먼저 3승을 하였을 때는 나머지 경기를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패한 단체가 나머지 경기를 일방적으로 포 기할 때는 그때까지의 성적에 관계없이 그 단체의 성적을 기권패로 처리한다.
☆경기시간☆
1. 남자 경기는 2분 3회전, 회전간 휴식시간 1분으로 한다.
2. 여자부 . 초등부 . 중등부는 1분 3회전, 회전간 중간 휴식은 30초로 한다.
3. 협회는 대표자회의를 통해서 1, 2항의 경기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 해설
(1) 회전간 휴식시간 중 선수는 자기측 코치석에 설치된 의자에서만 쉬도록 허용하며 항시 주심의 감시 아래 있어야 한다.
(2) \'갈려\' 선언시, 주심은 반드기 \'계시\'를 선언하여 경기중지상태로 전환하여 경기시간을 고의로 소모시키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
☆추첨☆
1. 경기 개시일 이전에 협회 임원과 참가팀 대표의 참석하에 집행하며, 추첨순위는 경량급 에서 중량급으로 대회 참가팀의 가나다 순에 의한다.
2. 추첨에 불참한 참가팀에 대하여는 추첨임원이 이를 대행한다.
3. 대표자회의의 결정에 의해 추첨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계체량☆
1. 당일 대전선수는 경기 전날에 계체를 받아야 한다.(단, 대표자 회의에서 이를 조정 할 수 있다.)
2. 계체시 남자는 팬티, 여자는 상의 흰 반팔 T셔츠와 하의는 공인 도복 차림으로 한다. 단 본인이 원할 경우 전 나체로 할 수도 있다.
3. 계체는 1회로 하여 미달 또는 초과시는 계체시간 내에 한하여 1회의 계체를 더할 수 있 다.
# 주
(1) 당일 대전선수 : 본 협회 또는 대회본부가 미리 발표한 대전일정상 경기가 예정된 모든 선수를 말한다.
(2) 경기 전날 : 계체 시간은 대회본부가 사전에 정한 것을 따르며 이는 대표자회의 시 선 수단에 통보되어야 한다. 본 협회의 권장 계체 시간은 07시~08시 사이이 다.
(3) 계체실격 : 각 선수가 대회에 임하여 계체량에 실격했을 때는 기본점수의 배정도 받을 없다.
(4) 계체량은 참가팀의 감독자 입회하에 지정된 장소와 시간에 계체 위원에 의해 실시한다.
☆경기진행☆
선수의 호출 - 경기시간 3분전부터 1분 간격으로 3회 호출한다. 경기개시 예정시간 1분 경과 후에도 출장하지 않는 선수는 대전포기로 간주한다.
신체 및 복장 점검 - 호출된 선수는 지정된 검사대에서 협회가 지명한 검사원에 의해 신체 및 복장, 용구검사를 받아야 하며, 상대방에게 혐오를 주는 용모나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물건을 지녀서는 안 된다.
선수입장 - 검사를 마친 선수는 1명의 코치와 함께 대기석으로 입장한다.
경기의 시작과 종료 - 매회전 마다 주심의 \"시작\" 선언으로 개시되며, \"그만\" 선언으로 종료한다. 단, 주심의 \"그만\" 선언 이전이라 하더라도 정해진 경기시간이 종료되면 그 회전이 끝난 것으로 간주한다.
1.경기진행의 절차
가. 선수는 주심의 \"차렷\", \"경례\"에 따라 감독관을 향해 입례한다. 입례는 주먹을 쥔 상태로 양다리 옆에 붙인 자연스런 차렷 자세로 서서 허리는 30도, 머리는 45도 이상의 각도로 숙여 예를 표한다.
나. 주심의 \"준비\", \"시작\"에 따라 경기를 개시한다.
다. 선수는 마지막 회전이 끝나면 지정된 위치에서 마주보고 주심의 \"차렷\", \"경례\"에 따라 입례 한 후 바로 서서 판정을 기다린다.
라. 승자 선언은 주심 자신의 승자쪽 손을 들어 선언하다.
마. 선수퇴장
2.단체전 절차
가. 양 팀 선수는 제출된 명단 순으로 청, 홍 선수위치로 부터 일렬 횡대로 마주보고 선다.
나. 경기진행은 5항의 절차에 따른다.
다. 양 진영 선수는 경계지역 밖의 지정된 장소에서 대기하고 순서에 따라 대전한다.
라. 경기종료 직후 양 진영 선수는 경기지역에 입장하여 마주보고 선다.
마. 승자선언은 주심 자신의 승자쪽 손을 들어 선언한다.
☆허용기술☆
1. 손기술 : 바른 주먹의 인지와 중지의 앞부분을 이용한 공격
2. 발기술 : 복사뼈(복숭아뼈) 이하의 발부위를 이용한 공격
가. 허용부위
1. 몸통부위 : 몸통호구로 보호되는 부위로서 손기술과 발기술의 공격이 허용된다. 단, 척추부위는 공격을 할 수 없다.
2. 얼굴. 목부위 : 뒤통수를 제외한 얼굴 전면을 말하며 발기술에 의한 공격만이 혀용 된다.
# 주
(1) 손기술 : 바른 주먹의 인지와 중지의 앞부분을 이용한

키워드

유도,   규칙,   검도,   경호무술,   택견,   공수도,   권격도,   무술종류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3.0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