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과배분제도
⑴ 성과배분제도의 의의와 특징
⑵ 성과배분제도의 유형과 특성
2. 연봉제
⑴ 연봉제의 의의
⑵ 연봉제의 확산배경
⑶ 적용대상의 문제
⑷ 연봉제의 특징
⑸ 연봉제의 유형
⑹ 연봉제의 장단점
(7) 연봉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한 과제
⑴ 성과배분제도의 의의와 특징
⑵ 성과배분제도의 유형과 특성
2. 연봉제
⑴ 연봉제의 의의
⑵ 연봉제의 확산배경
⑶ 적용대상의 문제
⑷ 연봉제의 특징
⑸ 연봉제의 유형
⑹ 연봉제의 장단점
(7) 연봉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한 과제
본문내용
폭될 수 있다.
c. 연봉액의 급격한 감소는 종업원의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봉제 실시시에는 평가제도와 그 운영이 중요하다.
d. 유교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선임자 우대원칙과의 갈등이 유발되어 조직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e. 기존 노동법과의 마찰이 우려된다.
(7) 연봉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한 과제
가. 전제조건
a. 연봉제에 대한 조직문화가 존재하거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b. 상호불신 분위기에서는 노사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c. 합리적인 인사고과와 능력개발의 기준설정을 위해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는 물론, 현재 직급간 임금차이의 기준과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고 객관화 할 수 있도록 직급체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나. 성공적 운영방안
a. 연봉제의 도입목적으로 인건비통제를 단기적·부차적 목적이 아닌 주된 목적으로 한다면 종업원의 동기부여와 능력향상을 통한 기업의 성과증대는 어렵게 되어 장기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b. 고과기준의 개선 및 고과기법의 다양화 등 평가시스템의 개선과 고과자 훈련의 강화, 고과결과의 피드백, 특히 평가시스템의 설계에 종업원을 참여시켜 연봉제도와 평가결과의 수용도를 높이는 것이 성공적 운영의 관건이다.
c. 연봉제는 업무의 성격을 무시한 채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서는 성공하기가 어렵다. 일반사무직이나 생산기능직보다는 관리직, 전문·기술직, 영업직을 대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처음부터 개인간의 연봉격차를 크게 해서 실적주의를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생각은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c. 연봉액의 급격한 감소는 종업원의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봉제 실시시에는 평가제도와 그 운영이 중요하다.
d. 유교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선임자 우대원칙과의 갈등이 유발되어 조직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e. 기존 노동법과의 마찰이 우려된다.
(7) 연봉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한 과제
가. 전제조건
a. 연봉제에 대한 조직문화가 존재하거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b. 상호불신 분위기에서는 노사간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c. 합리적인 인사고과와 능력개발의 기준설정을 위해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는 물론, 현재 직급간 임금차이의 기준과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고 객관화 할 수 있도록 직급체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나. 성공적 운영방안
a. 연봉제의 도입목적으로 인건비통제를 단기적·부차적 목적이 아닌 주된 목적으로 한다면 종업원의 동기부여와 능력향상을 통한 기업의 성과증대는 어렵게 되어 장기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b. 고과기준의 개선 및 고과기법의 다양화 등 평가시스템의 개선과 고과자 훈련의 강화, 고과결과의 피드백, 특히 평가시스템의 설계에 종업원을 참여시켜 연봉제도와 평가결과의 수용도를 높이는 것이 성공적 운영의 관건이다.
c. 연봉제는 업무의 성격을 무시한 채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서는 성공하기가 어렵다. 일반사무직이나 생산기능직보다는 관리직, 전문·기술직, 영업직을 대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처음부터 개인간의 연봉격차를 크게 해서 실적주의를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생각은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