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케이스 (CCU)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심증 케이스 (CCU)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협심증, 당뇨병 문헌고찰p.2 ~ 12
Ⅱ. 간호과정
간호사정 p.13 ~ 22

간호진단 및 계획, 수행, 평가 p.22 ~ 27

본문내용

심리적 안정을 증진시켜 협심증 발작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 통증이 시작되면 하던 일을 멈추고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휴식
- Nitroglycerin을 휴대하고 다니고 필요 즉시 복용토록 교육
- 두통, 저혈압, 현기증, 안면 홍조 드으이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 항상 nitroglycerin을 휴대하고 다니고 필요 즉시 복용토록 교육
- 과음, 흡연, 운동, 식사, 정서적 스트레스 등 유발인자를 제거하여 예방
② 부적절한 정보제공과 관련된(약물 자가투여와 위험요인 조절에 대한)지식부족
- 협심통 예견 상황(운동, 식사, 스트레스, 성행위)전에 혀 밑에 투여할 것을 교육
- 경피 첨포형을 심장부근에 부착하여 예상
- 금연, 저칼로리 식사로 체중조절
- 고섬유식으로 소화기 질환 및 변비를 줄여 협심통 발작의 정도와 빈도 줄임
- 규칙적이고 적당한 유산소 운동, 알맞은 생활양식 유지
-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섭취 최소화
③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경우, 통증과 불편감 관리
- 상처는 7일이면 아물지만, 6-8주가 소요되므로 지속적으로 관리
- 부딪히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무거운 것은 들지 말고, 걸레질이나 빨래는 피할 것.
- 하지정맥 부위는 3~4개월까지 부족이 심하므로 다리를 올려둘 것.
2. 당뇨병 (Dibetes mellitus : D.M)
당뇨를 조절하는 장기는 췌장이다. 췌장은 좌상복부 중에 위의 뒤쪽, 내외분비선을 겸비한 선으로 내분비선의 기능은 100~200만개의 랑게르한스섬에 의해 이룬다.
1) 병태생리
(1) 랑게르한스섬 : a세포, b세포, d세포로 구분.
① A세포 (α-세포20%) : - 글루카곤(glucagon)을 분비
글루카곤은 간에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을 만들도록 촉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생성된 포도당은 혈액으로 들어가 혈당을 높이게 된다.
② B세포(β-세포75%): - 인슐린을 분비
인슐린은 세포막에 작용하여 혈관에 존재하는 포도당이 세포 안으로 유입되도록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혈당이 낮아지며, 단백질, 글리코겐, 지방의 합성작용이 활발하다.
③ D세포(δ-세포5%): -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성장호르몬 억제인자)을 분비한다.
- 음식섭취 후 분비되며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한다.
- 성장억제 호르몬은 위장관에서 영양분 흡수를 지연시켜 식사 후 장의 음식물 흡수시간을 지연시킨다.
(2) 당뇨병 분류(Dibetes mellitus : D.M)
췌장의 b세포의 1차적인 인슐린 분비의 결핍, 완전부족, 인슐린 수용체의 결손으로 일어나는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 대사의 복합적인 장애이다.
①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 제1형 당뇨병
- 인슐린이 결핍상태에 있어서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상태이다.
- 유전, 면역, 환경요인에 의해 발병한다.
②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 제2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성과 달리 식이요법, 운동요법, 경구혈당강하제로 병세를 조절 가능한 상태이다.
-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저하가 발병에 관여한다.
(인슐린 저항성 : 정상적으로는 인슐린은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내에서
포도당 대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
2) 임상증상 및 진단검사
(1) 임상증상
제1형 당뇨병(인슐린의존형)
제2형 당뇨병(비인슐린의존형)
시작시기
어느 연령에서나 올수 있지만 보통 30세 이전에 온다.
보통 35세 이후에 오나 어린이에게 올 수 있다.
시작형태
보통 급하게 온다.
서서히 진행한다.
인슐린분비
거의 없다.
정상이거나 정상이상의 경우도 있다.
빈도
10%
85%~90%
케톤증
발생할 수 있다.
거의 오지 않는다.
인슐린주사
필요하다.
20~30%의 대상자에게만 필요하다.
시작시 체중
정상 체중이거나 마른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상태이지만 한국에서는 80%가 비만이 아니다.
치료
식이요법, 운동요법, 인슐린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경구용 혈당강하제 혹은 인슐린 요법
①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비교
② 당뇨병의 증상에 따른 병태생리
증 상
병 태 생 리
다뇨증
혈당증가로 신세뇨관에 포도당의 재흡수가 되지 않는다.
다음증
다뇨증은 심한 탈수를 초래하여 갈증을 일으킨다.
다식증
조직 파괴와 소모는 허기증을 초래하여 많이 먹게 한다.
체중감소
포도당이 세포의 에너지를 이용될 수 없으므로 저장된 지방과 단백질이 분해되어 에너지로 이용된다.
③ 기타 증상
피로와 권태감, 빈뇨, 외음부의 가려움증, 감염에 대한 감수성 증가, 신경이상, 발기부전, 월경불순, 치주질환, 무증상 등이 있다.
(2) 진단검사
① 혈당검사
공복 시 혈당(Fasting blood sugar, FBS)
- 8시간 동안 수분을 제외한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한다.
- 공복 시 혈당수치 70-110mg/dl 정상, 111-125mg/dl 공복혈당장애, 126mg/dl 이상 당뇨병.
식후 2시간 혈당(2hour postprandial blood sugar)
- 식사 시작 2시간 후에 혈당을 측정한다.
- 정상인의 혈당은 식후 30~1시간 정도면 최고농도를 나타낸다.
- 식후 1시간이 지나면 혈당이 100-140mg/dl, 식후 2시간 지나면 혈당은 정상수치인
80-120mg/dl 정도이다.
②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
- 혈당이 정상으로 돌아오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③ 당화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 : HbA1c)
-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정도를 나타낸다.
④ 당화알부민(glycosylated albuman, fructosamine)
- 2~3주 동안의 혈당조절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이다.
⑤ 인슐린, 인슐린 수용체, 인슐린 항체
- 제1형, 제2형 당뇨병을 구별하기 위해 인슐린 검사이다.
⑥ 요케톤검사
혈당수준이 200mg/dl이상일때 지방이 포도당 대신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
하는 방법이다.
⑦ 기타 - 혈청삼투질 농도(정상수준 275~300mOsm/kg이고 당뇨병 시 증가),
- 요단백 검사(소변속 단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6.01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