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카페베네 소개
2. PPL 마케팅
1) PPL 정의
2) PPL의 유래
3) PPL 마케팅의 장점 & 효과
4) 카페베네의 PPL 마케팅
(1) 특징
(2) 드라마 속의 카페베네
3. 스타 마케팅
1) 스타마케팅의 정의
2) 스타 마케팅의 유형
3) 카페베네의 스타 마케팅
(1) 카페베네의 전략
(2) 한예슬 효과
4. 감성 마케팅
1) 감성마케팅의 정의
2) 동종 업계의 감성 마케팅
(1) 엔젤리너스 - 스토리텔링
(2) 스타벅스 - 오감마케팅
3) 카페베네의 감성 마케팅
(1) 시각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인테리어
(2) 고객 참여 유도 & 문화마케팅
5. 결론 - 마케팅의 승리
2. PPL 마케팅
1) PPL 정의
2) PPL의 유래
3) PPL 마케팅의 장점 & 효과
4) 카페베네의 PPL 마케팅
(1) 특징
(2) 드라마 속의 카페베네
3. 스타 마케팅
1) 스타마케팅의 정의
2) 스타 마케팅의 유형
3) 카페베네의 스타 마케팅
(1) 카페베네의 전략
(2) 한예슬 효과
4. 감성 마케팅
1) 감성마케팅의 정의
2) 동종 업계의 감성 마케팅
(1) 엔젤리너스 - 스토리텔링
(2) 스타벅스 - 오감마케팅
3) 카페베네의 감성 마케팅
(1) 시각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인테리어
(2) 고객 참여 유도 & 문화마케팅
5. 결론 - 마케팅의 승리
본문내용
음악과 향기, 이미지 등이 상품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는 자신의 감성 코드와 일치하는 브랜드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로열티의 필요조건이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헌신적인 고객을 확보할 수 없다.
‘감성마케팅’이라는 책에서는 감성마케팅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전사적 차원에서 고객과의 지속적 유대를 추구하는것으로, 고객 자신이 소중하게 여겨지고 배려 받는다고 느끼게 함으로써 로열티를 갖게 하는 것.” 즉, 감성 마케팅 시대에 고객이 구매하는 것은 제품 그 자체가 아닌 아름다워지고 싶은 꿈이나 경험, 즐거움, 자부심, 인간적인 정 등이라 하겠다.
감성 마케팅은 적절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고 강화하는 것과 소비자 경험을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감성을 전략적 단계로 끌어올린다. 감성 마케팅은 고객의 라이프사이클, 즉 고객유치에서 판매활성화와 고객보유, 재활성화까지 모든 단계를 포괄한다. 특히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경험은 시각과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의 결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감성 마케팅은 가슴 마케팅으로 불리기도 하며, 오감을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2) 동종 업계의 감성 마케팅
(1) 엔젤리너스 - 스토리텔링
엔제리너스 커피는 15세기 이후 ‘신의 선물’이라 불리며 등장한 커피와 가브리엘, 라파엘, 안젤라 세 명의 천사를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메신저 스토리를 만들었다.
“ 짓궂은 장난을 일삼아 오던 악동천사 가브리엘은 인간에게 행복을 전하고 오라는 명령을 받고 인간세계로 추방당한다. 평소 자신이 좋아하던 맛있고 향 좋은 커피로 인간들에게 행복을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가브리엘. 마침내 가브리엘은 천사의 마음을 녹여낸 커피를 인간들에게 전하게 된다. ”
마치 외국의 전래동화와 같은 위의 이야기는 ‘엔제리너스커피’(이하 엔제리너스)의 브랜드 스토리이다. 엔제리너스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감미로운 맛과 향으로 우리의 몸과 영혼을 따뜻하게 해주며,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Angelinus(우리안의 천사)’는 신의 선물을 마시는 사람들의 쉼터이자 영혼의 공간, 천사처럼 부드럽고 달콤한 정통 커피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곳, 천사의 영혼을 닮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머무르는 곳이라는 허구의 스토리를 통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데 성공했다. 소비자들이 매장을 찾아 커피를 마시며 실제로 브랜드 스토리를 느끼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천사캐릭터를 활용한 MD제품, 문구류 등을 출시하며 감성마케팅의 대표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다.
(2) 스타벅스 - 오감마케팅
“ 스타벅스는 커피를 판매하지 않는다. 커피 문화를 판매한다. “는 말이 이제 유명한 어구가 돼 버린 것처럼 스타벅스 매장은 단지 커피만 파는 장소가 아니라 커피를 마시면서 즐겁고 친밀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감성적인 경험의 공간으로 탈바꿈 하였다.
바로 스타벅스는 ‘오감’을 활용한 감성마케팅을 펼쳤다. 매장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풍기는 은은한 커피향, 재즈나 클래식과 같은 우아한 음악, 부글부글 뜨거운 우유가 피처 안에서 끓어오르는 소리, 커피가 나왔음을 알리는 바리스타의 목소리 등 소비자들의 오감을 자극 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감성마케팅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① 시각 - 고객들이 매장에서 포근하고 안락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연출, 시선을 끌어 고객 유입에 나서고 있는데 초록빛 로고를 비롯하여 갈색 톤의 나무 장식과 각종 인테리어 소품 등이 시각적인 편안함을 주고 있다.
② 미각 - 고객의 입맛에 맞는 맞춤 커피를 제공, 미각을 자극하고 있다. 스타벅스의 커피 컵은 고객들이 취향에 맞게 첨가물을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돼 있으며 이런 사항을 매장 내 홍보물을 통해 게시해 놓았다.
③ 청각 - 스타벅스에서만 들을 수 있는 음악을 클래식, 재즈, 오페라, 블루스 등으로 다양하게 편성, 계절 또는 분기별로 들려주고 있어 마니아들에게 특별함과 친숙함을 주고 있다. 이 스타벅스 음악은 미국 본사 측이 음반사와의 제휴를 통해 전세계 매장에 배포한 것으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어 다른 외식업소나 음반에서는 들을 수 없는 스타벅스 만의 음악들로 구성돼 있다.
④ 후각 - 고객들의 후각을 자극하고 매장에서 커피 향을 물씬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타벅스는 매일 아침 매장 오픈 전 원두를 그라인딩 해 커피향이 매장 전체에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전 매장 금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공향이 나는 커피나 향이 강한 음식물도 판매하지 않는다.
⑤ 촉각 - 로스팅하지 않은 연두빛깔의 생두와 로스팅 단계별로 색깔이 각각 다른 원두를 진열해 놓아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 이를 마음껏 만져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고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이 마시는 커피를 촉각을 통해서 느끼고 체험할 수 있으며, 자신이 마시는 커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3) 카페베네의 감성 마케팅
(1) 시각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인테리어
국내 소비자들은 미국이나 유럽과는 달리 커피전문점의 이용에 있어서 Take Out 보다는 \'도심 속의 낭만과 휴식을 위한 공간\', \'복합 문화 공간\'을 지향 하고 있다.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공간을 떠나서 책을 읽는다든지, 스터디, 휴식 등을 취하는 여유를 즐기는 공간을 원하고 있다.
카페베네는 주 고객층인 20, 30 대가 선호하는 정통 유럽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로 기존 타 커피브랜드와는 차별화된 인테리어를 통해 젊은 층은 물론 다양한 고객층을 끌어들였다. 유러피언 스타일의 빈티지와 모던함이 잘 조화된 \'모던빈티지\'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하지만 원목 느낌을 잘 살린 외관과 매장 내 인테리어는 자연의 느낌을 주며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공간분할과 아늑함을 주는 조명으로 도심 속 휴식공간을 부각시켰다. 실제로 프랑스 랑스 역 광장에 있던 대형시계를 사오거나 기둥과 벽에는 거친 시멘트의 질감을 사용하였다.
게다가 매장별로 별도의 PC를 설치하여 카페 내에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붙박이 의자마다 콘덴서를 달아 놓아
‘감성마케팅’이라는 책에서는 감성마케팅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전사적 차원에서 고객과의 지속적 유대를 추구하는것으로, 고객 자신이 소중하게 여겨지고 배려 받는다고 느끼게 함으로써 로열티를 갖게 하는 것.” 즉, 감성 마케팅 시대에 고객이 구매하는 것은 제품 그 자체가 아닌 아름다워지고 싶은 꿈이나 경험, 즐거움, 자부심, 인간적인 정 등이라 하겠다.
감성 마케팅은 적절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고 강화하는 것과 소비자 경험을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감성을 전략적 단계로 끌어올린다. 감성 마케팅은 고객의 라이프사이클, 즉 고객유치에서 판매활성화와 고객보유, 재활성화까지 모든 단계를 포괄한다. 특히 브랜드에 대한 감성적 경험은 시각과 청각, 촉각, 후각, 미각 등의 결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감성 마케팅은 가슴 마케팅으로 불리기도 하며, 오감을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2) 동종 업계의 감성 마케팅
(1) 엔젤리너스 - 스토리텔링
엔제리너스 커피는 15세기 이후 ‘신의 선물’이라 불리며 등장한 커피와 가브리엘, 라파엘, 안젤라 세 명의 천사를 통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메신저 스토리를 만들었다.
“ 짓궂은 장난을 일삼아 오던 악동천사 가브리엘은 인간에게 행복을 전하고 오라는 명령을 받고 인간세계로 추방당한다. 평소 자신이 좋아하던 맛있고 향 좋은 커피로 인간들에게 행복을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가브리엘. 마침내 가브리엘은 천사의 마음을 녹여낸 커피를 인간들에게 전하게 된다. ”
마치 외국의 전래동화와 같은 위의 이야기는 ‘엔제리너스커피’(이하 엔제리너스)의 브랜드 스토리이다. 엔제리너스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감미로운 맛과 향으로 우리의 몸과 영혼을 따뜻하게 해주며,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메신저 역할을 하는 ‘Angelinus(우리안의 천사)’는 신의 선물을 마시는 사람들의 쉼터이자 영혼의 공간, 천사처럼 부드럽고 달콤한 정통 커피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곳, 천사의 영혼을 닮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머무르는 곳이라는 허구의 스토리를 통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데 성공했다. 소비자들이 매장을 찾아 커피를 마시며 실제로 브랜드 스토리를 느끼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천사캐릭터를 활용한 MD제품, 문구류 등을 출시하며 감성마케팅의 대표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다.
(2) 스타벅스 - 오감마케팅
“ 스타벅스는 커피를 판매하지 않는다. 커피 문화를 판매한다. “는 말이 이제 유명한 어구가 돼 버린 것처럼 스타벅스 매장은 단지 커피만 파는 장소가 아니라 커피를 마시면서 즐겁고 친밀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감성적인 경험의 공간으로 탈바꿈 하였다.
바로 스타벅스는 ‘오감’을 활용한 감성마케팅을 펼쳤다. 매장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풍기는 은은한 커피향, 재즈나 클래식과 같은 우아한 음악, 부글부글 뜨거운 우유가 피처 안에서 끓어오르는 소리, 커피가 나왔음을 알리는 바리스타의 목소리 등 소비자들의 오감을 자극 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감성마케팅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① 시각 - 고객들이 매장에서 포근하고 안락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연출, 시선을 끌어 고객 유입에 나서고 있는데 초록빛 로고를 비롯하여 갈색 톤의 나무 장식과 각종 인테리어 소품 등이 시각적인 편안함을 주고 있다.
② 미각 - 고객의 입맛에 맞는 맞춤 커피를 제공, 미각을 자극하고 있다. 스타벅스의 커피 컵은 고객들이 취향에 맞게 첨가물을 선택, 조절할 수 있도록 돼 있으며 이런 사항을 매장 내 홍보물을 통해 게시해 놓았다.
③ 청각 - 스타벅스에서만 들을 수 있는 음악을 클래식, 재즈, 오페라, 블루스 등으로 다양하게 편성, 계절 또는 분기별로 들려주고 있어 마니아들에게 특별함과 친숙함을 주고 있다. 이 스타벅스 음악은 미국 본사 측이 음반사와의 제휴를 통해 전세계 매장에 배포한 것으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어 다른 외식업소나 음반에서는 들을 수 없는 스타벅스 만의 음악들로 구성돼 있다.
④ 후각 - 고객들의 후각을 자극하고 매장에서 커피 향을 물씬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타벅스는 매일 아침 매장 오픈 전 원두를 그라인딩 해 커피향이 매장 전체에 퍼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전 매장 금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공향이 나는 커피나 향이 강한 음식물도 판매하지 않는다.
⑤ 촉각 - 로스팅하지 않은 연두빛깔의 생두와 로스팅 단계별로 색깔이 각각 다른 원두를 진열해 놓아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 이를 마음껏 만져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고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이 마시는 커피를 촉각을 통해서 느끼고 체험할 수 있으며, 자신이 마시는 커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3) 카페베네의 감성 마케팅
(1) 시각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인테리어
국내 소비자들은 미국이나 유럽과는 달리 커피전문점의 이용에 있어서 Take Out 보다는 \'도심 속의 낭만과 휴식을 위한 공간\', \'복합 문화 공간\'을 지향 하고 있다. 단순히 음료를 마시는 공간을 떠나서 책을 읽는다든지, 스터디, 휴식 등을 취하는 여유를 즐기는 공간을 원하고 있다.
카페베네는 주 고객층인 20, 30 대가 선호하는 정통 유럽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로 기존 타 커피브랜드와는 차별화된 인테리어를 통해 젊은 층은 물론 다양한 고객층을 끌어들였다. 유러피언 스타일의 빈티지와 모던함이 잘 조화된 \'모던빈티지\'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단순하지만 원목 느낌을 잘 살린 외관과 매장 내 인테리어는 자연의 느낌을 주며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공간분할과 아늑함을 주는 조명으로 도심 속 휴식공간을 부각시켰다. 실제로 프랑스 랑스 역 광장에 있던 대형시계를 사오거나 기둥과 벽에는 거친 시멘트의 질감을 사용하였다.
게다가 매장별로 별도의 PC를 설치하여 카페 내에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붙박이 의자마다 콘덴서를 달아 놓아
추천자료
호텔산업 마케팅(사례)
마케팅 어드벤처 독후감입니다
대중문화 마케팅
마케팅의 종류별 개념, 특징
스포츠마케팅 활성화 방안
[마케팅] 나를 위한 상큼한 에너지, 스무디킹
CAFFEBENE 카페베네 마케팅전략 분석과 카페베네 브랜드분석및 카페베네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아모레퍼시픽 오설록 티하우스 마케팅 4P, STP, SWOT 분석과 오설록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신제품개발 마케팅전략 기획 보고서,의류피팅 체형인식기계
커피전문점시장분석, 카베베네, 엔제리너스, 커피산업,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
black smith 블랙스미스 마케팅전략분석과 블랙스미스 소비자행동모델분석과 블랙스미스 마케...
뉴발란스(New Balance) 브랜드분석과 뉴발란스 마케팅 SWOT,4P,STP 전략분석과 뉴발란스 새로...
「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
[마케팅론]마케팅개념이 정보화 시대에 발전하는 방향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