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정치ㆍ사회 블로그의 현황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정치ㆍ사회 블로그의 현황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블로그란 무엇인가
1) 블로그의 유형
2) 블로그의 이용 동기
3) 블로그의 영향력

2. 정치ㆍ사회 블로그의 등장
1) 정치ㆍ사회 블로그의 등장
2) 사회 블로그의 등장

3. 포털의 블로그 서비스

4. 정치ㆍ사회 블로그의 현황 분석
1) 전문성을 갖춘 블로거의 등장
2) 풍자와 해학적인 사회ㆍ정치 비평
3) 텍스트보다는 이미지, 이미지보다는 영상 중심
4) 자신만의 주관적ㆍ직설적인 논평
5) 정치ㆍ사회 기사 외, 다양한 정보 제공
6) 블로그 참여 확대 서비스 - Daum의 My view기능
7) 여성 블로거의 저조한 참여
8) 신문사의 기자 블로그

5. 생각해 봐야 할 문제
Ⅲ 결 론

본문내용

치ㆍ사회 영역의 글을 읽고 효능감을 느낀 후, 이것이 자극제가 되어 자신 스스로 블로거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블로거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자신의 글만을 단순히 올리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현재 자신의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들의 많은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많은 사람들이 블로거가 되는 현상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Ⅲ 결 론
허핑턴포스트 www.huffingtonpost.com
는 블로그를 이용한 정치 뉴스 사이트로, 기자들을 영입해 기존 신문과 블로그의 장점을 섞어 성공한 미디다. 허핑턴포스트는 미국 10대 블로그에 들며, 미디어 블로그로는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블로그다. 미국의 여류 작가인 아리아나 허핑턴이 2005년 만든 허핑턴포스트는 처음부터 기존의 전통 언론사를 벤치마킹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블로그라는 미디어의 자유로움과 신속성에 기자 시스템을 결합하여 새로운 뉴미디어의 전형을 만든 것이다. 블로그의 취약점 중 하나인 신뢰를 전통미디어 벤치마킹으로 극복하고, 시사주간지인 타임이나 영국의 옵서버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블로그' 사이트로 자리 잡는다. 주간한국, 2009년 7월 27일 2283호 신문보도
허핑턴포스트는 블로그가 지닌 빠른 속도를 통해 다른 사이트보다 앞서고, 외부 사이트와의 연결(link)을 통해 지배력을 확장했으며, 기자 외에도 시민이라면 누구나 기고가 가능한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해 블로그의 장점과 기존 언론의 장점을 결합했다. '기존신문+오마이뉴스+블로그'의 장점만 결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인식한 우리나라 기획재정부도 일찌감치 블로그를 통한 정책 홍보에 나서고 있다. ‘몬이의 블루마블(blog.naver.com/mofesponsor)’ 블로그에 개설한 ‘정부 정책 바로알기’ 코너가 단적인 예다. 잘 나가는 블로거를 경제정책 홍보에 직접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블로그와 소통하라’…美·韓 정부 경제정책 홍보위해 팔걷어' 국민일보, 2009년 11월 12일 1689자 신문보도
이제 우리는 웹 2.0을 궁극적으로 광고와 홍보가 아닌 대화와 교감이 함께하는 진화된 마인드로 이해해야 한다. 서로 정치ㆍ사회 문제에 대해서 전문가들만이 아닌, 일반 시민들이 함께 이야기하고 교감하며 의견을 나누는 장소가 필요하다. 일반 신문들이나 기존 언론매체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에는 아직 문제가 많다. 그래서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서슴없이 할 수 있는 일종의 1인 미디어인 블로그가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블로그가 어떻게 발전할지 어떠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양성과 개방성을 두루 갖춘 대안저널리즘으로서의 새 공론장 기능을 할 블로그는 민주주의 과정에서 개인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는 만들어줌으로써 새로운 풀뿌리 민주주의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의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제를 통해서 많은 블로그들을 살펴보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들이 이용하냐는 것에서부터 얼마나 개인이 정치ㆍ사회 영역에서 이야기를 이끌어 내고 해결하는 역할을 할지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해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블로그가 새로운 대안저널리즘의 기능을 충분히 소화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앞에서 소개한 My view를 통해 나도 블로그에 열심히 참여할 것이고, 나아가서는 한사람의 여성 블로거로, 정치ㆍ사회 영역에 참여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참고 블로그 ■
▶ 개인
별가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ldj0896
송병준의 함께하는 사회 http://blog.naver.com/sjhannah
Mr and Mrs 조광동(재미언론인)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pratt1977
차윤희 블로그 http://blog.naver.com/staylong78/
창조를 위한 파괴 http://blog.naver.com/booyaso
유창선의 시선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
봉PD의 세상 깔아보기 http://bbongpd.tistory.com/
밑에서 본 세상 http://blog.jinbo.net/marishin/
내가 너의 밥이다 http://blog.naver.com/yupspd
어리석은 이의 세상 살이 http://blog.naver.com/yekus
▶ 정치인
유시민의 헌법 제1조 http://usimin.tistory.com/
진대제의 새로운 시작 http://blog.naver.com/djchin839/
김성진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ilovejin1/
이수헌 블로그 http://blog.naver.com/mangmai/
임정헌 블로그 http://blog.daum.net/yfwpdaegu/
유종필 블로그 http://blog.naver.com/tallsnake
▶ 언론인
블로그 와이드 http://www.blogwide.com/
양영유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yangyyy
김영철 기자(조선일보)의 블로그 http://blog.chosun.com/blog.screen?userId=kimjawon
고재열의 독설닷컴 http://poisontongue.sisain.co.kr/
강원일보 기자블록그 http://blog.kwnews.co.kr/Main.asp
정경열 기자 블로그 http://blog.chosun.com/blog.screen?userId=imager
김진희 기자 블로그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winny78
정천기 기자 블로그 http://blog.yonhapnews.co.kr/chuuki/
황세희 기가 블로그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sehee94
최보윤 기자 블로그 http://blog.chosun.com/blog.screen?userId=bbo1313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6.16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