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영화와 상징
① 보편적 상징
② 개인적 상징
③ 원형적(신화적) 상징
Ⅲ. 영화와 배경
Ⅳ. 영화와 이데올로기 - 비판적으로 읽기
① 가장 미국적인 이미지
② 미국의 패권주의와 편견
③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두려움
④ 영화에서 그려지고 있는 한국인
Ⅴ. 영화의 구성
Ⅵ. 인물의 성격화
Ⅶ. 영화의 갈등
Ⅷ. 국어교육의 측면에서 영화의 활용 방안
(1) 문자언어와 영상언어의 비교
① 감독의 가치관에 따라서
② 수용자에 따라서
③ 매체의 특성에 따라서
(2) 논술 교육에의 활용
(3) 대립된 주제에 대한 말하기
(4) 작품의 이해력 향상
① 비판적 읽기
② 비교․대조하며 읽기
③ 상상하며 읽기
④ 함축적 의미 파악하며 읽기
Ⅸ. 결론
※ 참고문헌
Ⅱ. 영화와 상징
① 보편적 상징
② 개인적 상징
③ 원형적(신화적) 상징
Ⅲ. 영화와 배경
Ⅳ. 영화와 이데올로기 - 비판적으로 읽기
① 가장 미국적인 이미지
② 미국의 패권주의와 편견
③ 변화하는 세계에 대한 두려움
④ 영화에서 그려지고 있는 한국인
Ⅴ. 영화의 구성
Ⅵ. 인물의 성격화
Ⅶ. 영화의 갈등
Ⅷ. 국어교육의 측면에서 영화의 활용 방안
(1) 문자언어와 영상언어의 비교
① 감독의 가치관에 따라서
② 수용자에 따라서
③ 매체의 특성에 따라서
(2) 논술 교육에의 활용
(3) 대립된 주제에 대한 말하기
(4) 작품의 이해력 향상
① 비판적 읽기
② 비교․대조하며 읽기
③ 상상하며 읽기
④ 함축적 의미 파악하며 읽기
Ⅸ.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영화 <빠삐용>과 유치환의 시 <깃발>을 비교해보자. <빠삐용>을 본 사람이라면, 영화의 절정 부분에 해당하는 절벽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만약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바다가 있고, 그 한 쪽에는 절벽이 그려질 것이다. 유치환의 <깃발>도 마찬가지이다. 절벽에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고, 깃발을 바다를 보고 있는 장면으로 그려질 것이다. 영화 <빠삐용>에서 죄수가 바다로 뛰어내리는 것은, 자유에 대한 갈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치환의 시 <깃발>의 경우,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면서 ‘소리없는 아우성’을 지르는 것은 인간 본연의 자유, 이상향에 대한 갈망 등을 상징한다. 그리고 그 갈망의 대상은 각각 ‘바다’와 ‘해원’으로 나타나 있다. <깃발>은 이러한 주제를 추상적인 심상으로 드러낸 것이고, <빠삐용>은 이것을 현실화된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깃발>을 읽고 추상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독자에게, 문학적 상상력의 전(前) 단계에서 현실화된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깃발>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④ 함축적 의미 파악하며 읽기
영화는 문학과는 달리 영상이나 음향으로 모든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상상력의 빈곤을 가져오거나, 사색의 깊이를 제한한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영화와 문학에서의 상상력은 대등한 의미를 지닌다. VTR이나 컴퓨터로 영화를 보기도 하지만,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고 했을 때, 우리는 2시간 남짓 되는 상영시간동안에 영화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어떠한 장면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 다음에 나타나는 장면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문학은 이와는 다르다. 문학작품을 읽다가 이해가 되지 않으면 다시 책장을 넘겨서 내용을 확인한 다음,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수가 있다. 어떻게 보면 이해에 있어서, 문학보다는 영화를 이해하는데 보다 많은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영화 내의 한 장면이나, 그 장면에 등장하는 사물이 때로는 큰 주제를 암시하기도 한다. 영화의 이미지는 시의 심상이 현실로 재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이미지를 시의 심상이라고 가정하고, 영화 장면의 함축적인 의미를 파악해 내고, 감독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면 문학의 이해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단편영화의 예를 들어보자. 단편영화는 10분 내외의 짧은 시간에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통 영화와는 달리 장면이나 대사가 상당히 절제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사 한 마디 없이 장면의 제시로만 영화의 전체를 채우는 경우도 있다. 단편영화는 짧은 시간에 많은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서 함축적으로 장면을 제시한다. 따라서 장면 하나하나, 대사 하나하나의 이해가 중요하다. 김대현 감독의 단편영화 <영영>를 보자. 이 영화는 8분 30초짜리 영화로, 대사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노모보다 일찍 세상을 뜬 청년이 방 안에 누워있고, 노모는 아주 천천히 자식의 마지막 숨결을 느끼고, 온 몸을 정갈하게 닦고 있다. 가끔 아들이 햇살을 등지고 자전거를 타고 웃는 모습이 비쳐진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어머니는 느닷없이 시계의 추를 손으로 잡는다. 그리고 하루가 지나간다. 하루가 지나도 시간은 그대로 멈추어 있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영화는 끝을 맺는다. 이 영화에서 시계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어머니에게 있어 아들은 햇살을 등지고 자전거를 타고 웃으면서 다가오는 일상적인 존재이다. 일상적인 존재이지만, 어머니는 그 일상적인 존재에서 안식을 찾고 기쁨을 찾게 되는데, 그 기쁨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어머니가 시계추를 붙잡는 행위는 두 가지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하나는 시간을 멈춤으로써, 자식을 떠나보내지 않겠다는 마음이고, 또 하나는 아들이 죽음으로써 어머니의 삶도 끝이 났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화도 마찬가지로 문학적인 상상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Ⅸ. 결론
앞으로 국어교육은 국어 현상을 바탕으로 한 국어의 규범적, 사회적, 문화적 작용태를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단순히 분절적이고, 고립적이며, 반복적인 언어 기능 습득을 위한 국어교육이 아니라 종합적인 언어 사용 실천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향에서 매체 언어의 교육을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특히 여기에서 다룬 영화는 가장 대중적이고, 종합적인 언어 요소를 많이 가진 매체이다. 영화와 국어교육의 접목은 필연적이며 더욱이 문학과의 상관관계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는 영화의 상징, 배경, 이데올로기, 구성, 성격화, 갈등 등의 특징을 알아보고 국어교육 측면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화는 앞으로 매체언어가 지닌 특성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국어교육의 또 다른 텍스트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영상매체와 활자매체 간의 거리를 좁히고, 언어활동으로 파악된 매체 언어의 비판적인 이해 등을 통해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매체 언어의 향유자가 되도록 지도하는 방향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김동훈, 여간내기의 영화교실, 대경출판, 1996.
2. 김성곤, 문학과 영화, 민음사, 1997.
3. ______ 외, 문학에 이르는 길, 열음사, 1998.
4. 김준오, 詩論, 삼지원, 1998.
5. 이동진, 함께 아파할 수 있다면,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조선일보사, 2000.
6. 정재형, 정재형 교수의 영화강의, 영화언어, 1996.
7. 우에죠 구리오,구종상 최은옥 역, 영상학개론, 이진출판사, 2001.
8. 제임스 모나코양윤모 역, 영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 혜서원, 1993
9. 조셉 보그스이용관 역,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제3문학사,1998.
※ 인터넷 자료
1. 김중철, 소설의 영상화와 이야기의 변형 - <삼포가는 길>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학회, 2000.
(문학과 영상학회 봄 학술대회, http://www.englit.or.kr/film/index.htm)
2. 강성률, <아름다운 시절>의 화면 구도와 색채 고찰, 웹진 씨네포커스, 2000년 3월호.
(http://www.cinefocus.co.kr/newcinefocus/theory/2000_03/theory02.htm)
영화 <빠삐용>과 유치환의 시 <깃발>을 비교해보자. <빠삐용>을 본 사람이라면, 영화의 절정 부분에 해당하는 절벽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장면을 기억할 것이다. 만약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바다가 있고, 그 한 쪽에는 절벽이 그려질 것이다. 유치환의 <깃발>도 마찬가지이다. 절벽에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고, 깃발을 바다를 보고 있는 장면으로 그려질 것이다. 영화 <빠삐용>에서 죄수가 바다로 뛰어내리는 것은, 자유에 대한 갈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치환의 시 <깃발>의 경우,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면서 ‘소리없는 아우성’을 지르는 것은 인간 본연의 자유, 이상향에 대한 갈망 등을 상징한다. 그리고 그 갈망의 대상은 각각 ‘바다’와 ‘해원’으로 나타나 있다. <깃발>은 이러한 주제를 추상적인 심상으로 드러낸 것이고, <빠삐용>은 이것을 현실화된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깃발>을 읽고 추상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독자에게, 문학적 상상력의 전(前) 단계에서 현실화된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깃발>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④ 함축적 의미 파악하며 읽기
영화는 문학과는 달리 영상이나 음향으로 모든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상상력의 빈곤을 가져오거나, 사색의 깊이를 제한한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영화와 문학에서의 상상력은 대등한 의미를 지닌다. VTR이나 컴퓨터로 영화를 보기도 하지만,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고 했을 때, 우리는 2시간 남짓 되는 상영시간동안에 영화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어떠한 장면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 다음에 나타나는 장면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문학은 이와는 다르다. 문학작품을 읽다가 이해가 되지 않으면 다시 책장을 넘겨서 내용을 확인한 다음,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 수가 있다. 어떻게 보면 이해에 있어서, 문학보다는 영화를 이해하는데 보다 많은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영화 내의 한 장면이나, 그 장면에 등장하는 사물이 때로는 큰 주제를 암시하기도 한다. 영화의 이미지는 시의 심상이 현실로 재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이미지를 시의 심상이라고 가정하고, 영화 장면의 함축적인 의미를 파악해 내고, 감독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면 문학의 이해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단편영화의 예를 들어보자. 단편영화는 10분 내외의 짧은 시간에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통 영화와는 달리 장면이나 대사가 상당히 절제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사 한 마디 없이 장면의 제시로만 영화의 전체를 채우는 경우도 있다. 단편영화는 짧은 시간에 많은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서 함축적으로 장면을 제시한다. 따라서 장면 하나하나, 대사 하나하나의 이해가 중요하다. 김대현 감독의 단편영화 <영영>를 보자. 이 영화는 8분 30초짜리 영화로, 대사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노모보다 일찍 세상을 뜬 청년이 방 안에 누워있고, 노모는 아주 천천히 자식의 마지막 숨결을 느끼고, 온 몸을 정갈하게 닦고 있다. 가끔 아들이 햇살을 등지고 자전거를 타고 웃는 모습이 비쳐진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어머니는 느닷없이 시계의 추를 손으로 잡는다. 그리고 하루가 지나간다. 하루가 지나도 시간은 그대로 멈추어 있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영화는 끝을 맺는다. 이 영화에서 시계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어머니에게 있어 아들은 햇살을 등지고 자전거를 타고 웃으면서 다가오는 일상적인 존재이다. 일상적인 존재이지만, 어머니는 그 일상적인 존재에서 안식을 찾고 기쁨을 찾게 되는데, 그 기쁨이 사라져버린 것이다. 어머니가 시계추를 붙잡는 행위는 두 가지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하나는 시간을 멈춤으로써, 자식을 떠나보내지 않겠다는 마음이고, 또 하나는 아들이 죽음으로써 어머니의 삶도 끝이 났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화도 마찬가지로 문학적인 상상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Ⅸ. 결론
앞으로 국어교육은 국어 현상을 바탕으로 한 국어의 규범적, 사회적, 문화적 작용태를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단순히 분절적이고, 고립적이며, 반복적인 언어 기능 습득을 위한 국어교육이 아니라 종합적인 언어 사용 실천을 강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향에서 매체 언어의 교육을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특히 여기에서 다룬 영화는 가장 대중적이고, 종합적인 언어 요소를 많이 가진 매체이다. 영화와 국어교육의 접목은 필연적이며 더욱이 문학과의 상관관계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여기서는 영화의 상징, 배경, 이데올로기, 구성, 성격화, 갈등 등의 특징을 알아보고 국어교육 측면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화는 앞으로 매체언어가 지닌 특성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국어교육의 또 다른 텍스트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영상매체와 활자매체 간의 거리를 좁히고, 언어활동으로 파악된 매체 언어의 비판적인 이해 등을 통해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매체 언어의 향유자가 되도록 지도하는 방향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 참고문헌
1. 김동훈, 여간내기의 영화교실, 대경출판, 1996.
2. 김성곤, 문학과 영화, 민음사, 1997.
3. ______ 외, 문학에 이르는 길, 열음사, 1998.
4. 김준오, 詩論, 삼지원, 1998.
5. 이동진, 함께 아파할 수 있다면,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조선일보사, 2000.
6. 정재형, 정재형 교수의 영화강의, 영화언어, 1996.
7. 우에죠 구리오,구종상 최은옥 역, 영상학개론, 이진출판사, 2001.
8. 제임스 모나코양윤모 역, 영화, 어떻게 읽을 것인가, 혜서원, 1993
9. 조셉 보그스이용관 역, 영화보기와 영화읽기, 제3문학사,1998.
※ 인터넷 자료
1. 김중철, 소설의 영상화와 이야기의 변형 - <삼포가는 길>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학회, 2000.
(문학과 영상학회 봄 학술대회, http://www.englit.or.kr/film/index.htm)
2. 강성률, <아름다운 시절>의 화면 구도와 색채 고찰, 웹진 씨네포커스, 2000년 3월호.
(http://www.cinefocus.co.kr/newcinefocus/theory/2000_03/theory02.htm)
추천자료
- [토론과 국어교육][토론과 문학교육][토론과 사회교육][토론과 과학교육][토론과 인터넷교육]...
- 영어과교육평가(영어평가),국어과교육평가(국어평가),수학과교육평가(수학평가),과학과교육평...
-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과학과평가(...
-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 열린교육의 국어과 지도(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지도(영어교육), 열린교육의 수학과 ...
- 제7차교육과정 국어과(제7차국어과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 영어과(제7차영어과교육과정), ...
- 국어과(국어교육)의 지역화학습, 과학과(과학교육)의 지역화학습, 사회과(사회교육)의 지역화...
-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과학과평...
- [학습평가][교육평가]국어과(국어교육)의 학습평가,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수...
- [국어교육평가][사회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체육교육평가][바른생활교육평가][음악교육평가...
- [평가기준][국어과교육][영어과교육][공통사회과교육][공통과학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과교...
- [교육평가][국어과교육][수학과교육][사회과교육][과학과교육][도덕과교육][체육과교육]국어...
- [북한의 교육][북한의 국어교육][북한의 영어교육][북한의 역사교육][북한의 도덕교육][북한...
- 체육수업아이디어(체육교육아이디어), 국어수업아이디어(국어교육아이디어), 사회수업아이디...
소개글